주간 정덕현

○○남, ○○녀, 쏟아지는 신조어, 왜?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남, ○○녀, 쏟아지는 신조어, 왜?

D.H.Jung 2009. 10. 8. 23:46
728x90

신조어 속에 숨겨진 세태

드라마 '결혼 못하는 남자'가 방영될 때, 우리는 초식남이라는 신조어를 듣게 되었다. 초식남. 풀만 먹는 남자를 지칭하는 말이 아니다. 위키디피아의 정의를 보면, 초식남은 '남성다움(육식적)을 강하게 어필하지 않으면서, 주로 자신의 관심분야나 취미활동에는 적극적이나 이성과의 연애에는 소극적인 남성을 일컫는 말'이다. 초식남과 함께 고개를 든 신조어가 건어물녀다. 이 신조어는 2007년 방영된 일드 '호타루의 빛'의 주인공인 호타루라는 여성에게서 비롯된 말이다. 일 잘하고 능력 있는 여성이지만 연애에는 도통 관심이 없어 퇴근하고 나면 후줄근한 트레이닝복에 대충대충 살아가는 싱글 여성을 뜻하는 말이다. 연애세포가 말라 건어물처럼 되었다고 해서 건어물녀라고 불린다.

이것이 끝이 아니다. 우엉남, 토이남, 품절남, 엣지녀, 인상녀, 짐승남... 이 끝없는 신조어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생겨나는 양상이다. 그리고 그런 신조어들 옆에는 늘 연예인들의 이름이 달라붙는다. 오지호는 대표적인 우엉남이고, 유희열은 토이남, 빅뱅의 탑은 짐승남... 이런 식이다. 신조어가 어떤 트렌드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연예인들은 어떻게든 이 신조어와 만나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러한 신조어가 붙는 연예인들은 뜨고 있는 연예인을 표상하는 것처럼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복잡한 세상, 정리가 필요해
이렇게 ○○남, ○○녀처럼 어떤 특정 성향을 가진 이들을 지칭하는 신조어들은 최근에 갑자기 나타난 경향은 아니다. 과거에도 신세대, X세대, 와인세대 같은 세대를 지칭하는 신조어들이 있었고, 오렌지족, 낑깡족, 야타족 같은 족속들을 지칭하는 신조어들이 있었다. 깊게 들여다보면 그 신조어들은 다 비슷비슷해 보이지만 각기 조금씩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그것은 과거처럼 성별의 구분이 되어있지 않은 신조어들과 달리, ○○남, ○○녀 같은 최근 신조어들은 남성과 여성을 마치 성별 구분하듯 나누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 이러한 신조어들이 한번 나오면 일정 기간 동안 홀로 트렌드를 유지하던 과거와는 달리, 요즘은 거의 매일같이 새로운 신조어가 쏟아져 나온다는 것도 다른 점이다.

먼저 남성과 여성이 나누어지는 양상은 그만큼 성별이 동등하게 자신들의 개성을 드러낼 정도로 다채로운 성향이 구분되는 사회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것을 에둘러 말해준다. 그리고 여기에 하나 덧붙여지는 것은 ○○남, ○○녀 같은 용어들이 그 자체로 재미있는 놀이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신조어들은 현재 인터넷이라는 공간 속에서 특정 부류와 특정 성향을 분류하는 놀이가 하나의 트렌드가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러한 놀이성은 신조어들이 폭발적으로 쏟아지는 이유를 어느 정도는 설명해준다.

하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왜 이런 놀이가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는가 하는 질문을 통해서야 비로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인터넷이라는 공간으로 표면화 되는 사회의 복잡성이 그 원인을 제공한다. 물론 사회는 예전부터 복잡했지만, 인터넷이라는 공간은 다른 매체와 달리 복잡한 사회의 구석구석에 있는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저마다의 개성을 드러내는 곳이다. 그러니 그 다양한 성향과 특징들이 몇 마디로 정리되고 구획되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요구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양한 별종들이 공존하는 세상
중요한 것은 이렇게 신조어로 정리되는 성향들이 갖고 있는 독특함이다. 신조어가 만들어지는 조건 중 독특함이나 특별함은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것을 듣고 신기하다거나 궁금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평범한 신조어는 그저 사장될 뿐이다. 초식남을 예로 들면 과거에는 이런 성향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구석이 많았다. 남성이 남성다움을 어필하지 않고 연애에도 그다지 관심이 없는 인물은 별종으로 여겨지곤 했다.

가부장적 사고관이 지배했던 사회는 다양한 성향을 배제하고 누구나 따르기를 요구되는 성향이 획일적으로 제시됐지만 지금은 다르다. 이런 과거의 별종들은 이제는 다양성의 품속으로 들어와 당당히 한 자리를 차지하고 심지어는 그 성향에 대한 공감대까지도 넓혀나간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초식남이나 건어물녀로 지칭되는 이들이 과거 신세대나 X세대처럼 다수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과거의 신조어가 구획하는 인물군들이 소품종 다수를 지칭했다면, 지금은 다품종 소수를 지칭하는 경향이 짙다.

즉 특이한 성향을 가진 소규모 집단들이 생겨나고 있고 그 특이한 성향에 대한 거부보다는 수용하는 자세가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양성의 추구의 또 다른 얼굴이다. 인터넷은 이제 다채로운 인간군상들을 서로서로 뽐내듯 드러내고 또 인정하는 다양성 게임의 재미에 빠져있다는 것. 획일적인 과거를 생각해보면 그것을 하나하나 깨부수는 이 작금의 다양성 게임이 주는 매력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신조어, 시대를 읽는 기호 혹은 상품을 위한 포장
하지만 이처럼 다양성의 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신조어들을 그저 긍정적인 것으로만 치부해도 좋을까. 문제는 과거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그러한 발 빠른 마케터들의 상품 판매를 위한 성향에 대한 선점이다. 신조어는 때로는 자생적으로 생긴다기보다는 이해관계를 가진 특정인들에 의해 제시되고 배포되어 조장된다는 점이다. 실제로 신세대니 X세대니 와인세대니 할 때 그 용어들은 새롭게 부상하는 개성을 가진 이 세대들을 특정 감성을 가진 상품 마케팅의 영역으로 묶어두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상품의 구매가 멋져 보이는 세대로의 편입으로 이어지는 심리적인 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함이다. 이런 세대나 성향을 구획하는 신조어들이 가진 마케팅 경향은 지금에도 달라진 것이 없다. 이것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인터넷에 한 신조어를 검색해보는 것이다. 초식남이나 건어물녀라고 치면 그 키워드를 가진 무수한 상품들과 회사들이 줄줄이 창에 떠오르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신조어들이 다양해진 것은 현재의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상품 마케팅 역시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해진 특정 세력들을 겨냥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즉 이 시대는 다양한 개성들에 맞추는 맞춤 생산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다.

신조어는 이처럼 작금의 시대를 읽어낼 수 있는 기호로서 존재하면서, 동시에 산업과 만나면서 거꾸로 사회에 제시되기도 하는 마케팅의 그물이기도 하다. 그러니 자신은 가만히 있지만 어느 순간, 어떤 부류로 분류될 때 그것은 자신이 이미 어느 그물 속에 들어가 있다는 얘기다. 신조어가 갖는 다양성의 놀이에 빠지는 것은 긍정적일 수 있으나, 그 상품성의 그물에 걸려드는 것은 조심해야 될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신조어를 표상하는 연예인이라는 존재 역시 마찬가지다. 연예인을 지칭하는 신조어는 그 시대를 읽어내는 기호로 읽히기도 하지만, 또 거꾸로 연예 비즈니스를 위해 만들어지고 조장되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