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주말드라마 전성시대, 그 빛과 그림자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주말드라마 전성시대, 그 빛과 그림자

D.H.Jung 2009. 10. 26. 10:03
728x90

안정된 가족드라마로의 회귀, 주말드라마 전성시대를 만들다

지난주 주간 시청률표를 들여다보면, 20위권에 포진된 주중드라마는 이른바 대작드라마라고 할 수 있는 월화의 ‘선덕여왕’과 수목의 ‘아이리스’와 일일드라마인 ‘다함께 차차차’, ‘밥줘’, 이렇게 네 편이다. 고정 시청층을 확보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주중에 강세를 갖고 있는 일일드라마를 빼놓고 보면 주중 심야드라마의 대작 쏠림현상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대목이다.

반면 주말드라마를 보면 20위권에 들어있는 드라마들은 ‘수상한 삼형제’, ‘천만번 사랑해’, ‘그대 웃어요’, ‘보석비빔밥’, 이렇게 네 편이나 된다. 주말드라마 경쟁에 뛰어들어 있는 작품들은 이들 네 편과 함께 ‘열혈 장사꾼’과 ‘인연만들기’까지 합하면 무려 여섯 편이나 된다. 이렇게 된 것은 저녁 시간대와 심야시간대에 한 편씩 방송3사가 경쟁을 벌이게 되면서부터이다. 물론 과거에도 주말드라마는 비슷한 패턴으로 방송3사가 경쟁을 벌였지만 작금의 상황은 그 경쟁이 더 치열해진 양상이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상황을 가져온 것일까.

그 이유는 대작드라마 이외에 시청률을 담보하는 형식으로서 가족드라마가 어떤 대안처럼 제시되어 있고, 그것이 주말 시간대와 잘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주말드라마 시장은 전통적으로 가족드라마 시장이었다. 따라서 현재 주간시청률 20위권에 들어있는 드라마들의 면면을 보면 거의 모두 가족드라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니시리즈 성격이 강한 ‘열혈 장사꾼’이나, 가족드라마 속의 멜로보다는 멜로드라마 속의 가족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인연만들기’가 순위에 들지 못하는 것은 아마도 그 원인을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가족드라마가 하나의 대안처럼 된 것은 그 경제성 차원으로도 볼 수 있다. 대작드라마가 갖는 스펙터클은 그만큼 제작비의 투여를 요구하지만, 가족드라마는 스펙터클보다는 인물들의 갈등 같은 관계로 끌어가는 드라마이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시청률을 끄집어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이 가능성을 극대화해 보여준 사례가 ‘찬란한 유산’이다. 이 5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는 주말드라마 시장에서 가족드라마의 저비용 고효율을 실증해 보여주었다.

‘찬란한 유산’의 성공으로 주말 가족드라마의 틀도 약간은 변형되었다. 물론 과거처럼 전통적인 방식의 가족드라마들, 가족들의 좌충우돌 결혼 성공기를 다루는 ‘솔약국집 아들들’ 같은 드라마가 있었지만, 이제는 그 가족드라마의 편안한 가족이야기 속에 미니시리즈가 갖는 극적 상황을 집어넣는 것이 하나의 공식처럼 굳어지고 있다. ‘수상한 삼형제’가 가끔씩 보여주는 불륜의 상황 같은 극적인 연출장면들과, ‘천만번 사랑해’의 대리모라는 자극적 상황이 그것이다.

‘그대 웃어요’는 상대적으로 이 자극적 상황을 벗어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가진 자들이 갖는 허위의식이 불편할 정도로 제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권선징악적인 도덕적 틀 속에서 긍정적으로 처리되고 있다는 점은 극을 전체적으로 밝은 분위기로 유지시켜준다. 이것은 정확히 ‘찬란한 유산’이 갖고 있던 틀과 일치한다. 불편한 관계들이 등장하지만, 그 관계의 해결에 있어서 도덕적 틀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애초에 막장드라마라고 낙인찍혀 시작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건강한 면이 보여지는 의외의 임성한표 드라마, ‘보석비빔밥’도 마찬가지다. 막장의 어른들과, 그들을 내쫓는 자식들이 등장하지만 그 자식들의 건실함과 밝은 모습은 드라마를 막장의 어둠에 빠뜨리지 않는다. 즉 ‘찬란한 유산’이 보여주었던 자극적 설정과 도덕적 틀의 유지를 이들 드라마들이 해내고 있다는 이야기다.

주말드라마 전성시대는 거꾸로 말해 가족드라마 전성시대의 다른 말이다. 여기에는 현 드라마계에도 드리워진 불황의 그늘을 거꾸로 되짚어볼 수 있는 단초가 있다. 어떤 실험을 하기보다는 좀 더 안정된 구조를 요구하는 불황의 여파로 인해, 가족드라마라는 전통적인 틀이 대안처럼 제시되고 있는 게 작금의 상황이다. 우리네 드라마는 현재 대작으로 승부하거나, 가족드라마라는 전통적으로 안정된 틀로 회귀하고 있다. 드라마 생태계의 고른 발전을 위해서는 중간 규모의 덩치에 보편적인 장르면서도 나름의 신선한 실험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