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선덕여왕'은 연장방영으로 무엇을 잃었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선덕여왕'은 연장방영으로 무엇을 잃었나

D.H.Jung 2009. 12. 15. 07:36
728x90

연장방영이 드라마에 미치는 영향

'선덕여왕'에서 미실(고현정)이라는 존재는 절대적이다. 이 사극의 구조 자체가 미실이라는 거목을 세워두고 그것을 하나하나 무너뜨리면서, 동시에 여왕이라는 자리까지 성장해가는 덕만(이요원)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드라마가 애초에 '삼한일통'을 목적으로 세워지지 않은 것이라면, 미실의 죽음과 함께(즉 덕만의 여왕즉위와 함께) 극은 끝나는 것이 정상이다. 극의 절정과 결말 사이가 길어지면 극이 흐트러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선덕여왕'의 선택은 연장방송이었다. 그리고 이 연장이 방송사에는 일정의 혜택으로 돌아간 것이 분명하지만, 우리네 사극 역사에 한 획을 그을 수 있었던 '선덕여왕'에게는 불운이었다. 연장방송 속에서 미실이라는 캐릭터에 대한 여운도 사라져갔고, 그러자 거기에 바락바락 대들면서 때론 그녀를 닮으려하고 때론 그것을 넘어서서 여왕의 자리에 오른 덕만 역시 매력을 잃게 되었다. 이것은 덕만을 도와주던 일련의 인물들, 예를 들면 유신(엄태웅)이나 비담(김남길), 춘추(유승호), 알천(이승효), 월야(주상욱) 같은 캐릭터들도 마찬가지다.

연장에 들어가면서 이 미션사극이 가진 최대의 난점은 바로 미실 같은 그저 가만히 앉아서 입 꼬리만 조금 틀어도 위기상황이 연출되는 적수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즉 미션사극은 주인공을 끝없이 위기상황 속으로 밀어 넣고 그 위기를 헤쳐 나오면서 생겨나는 국면전환을 반복하면서 드라마의 추진력이 생기는 것인데, 이미 미실 같은 품격 있는(?) 위기상황을 경험해본 터라, 새롭게 제시되는 위기가 그다지 매력이 없었다는 이야기다. 그나마 비담을 그 자리에 세워 유신을 몰아내는 위기상황을 연출한 것 역시 "사랑한다면 아낌없이 빼앗으라"는 미실의 한 마디가 실어준 힘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유신의 위기와 백제의 침공, 염종(염효섭)의 책략으로 위기상황이 이어지고, 그 안에 소소한 수수께끼 같은 에피소드들(흑(黑)자로 시작되는 백제 스파이 에피소드나 일거에 백리를 가는 백제의 기마부대 에피소드 같은)을 집어넣지만, 그것이 극을 팽팽하게 하기보다는 어딘지 산만한 느낌을 주는 것은 미실 같은 진중하고 매력적인 위기를 찾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치 미실의 빈 자리를 채우려는 강박적인 느낌마저 주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출이 과도해지는 것은 여전히 그 약해진 스토리의 힘을 보충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없다는 방증인 셈이다.

당장의 위기 상황 만들기에 급급하다보니, 미실이라는 거목 아래 만들어진 여유 속에서 위기가 가진 대의나 현실풍자, 시대정신을 두고 벌이는 논쟁 같은 품격 있는 과거의 대결구도는 찾기가 어려워졌다. 드라마가 여유를 잃은 것이 가장 잘 드러나는 대목은 죽방(이문식)과 고도(류담) 같은 캐릭터들의 극의 긴장을 풀어주는 유머가 사라졌다는 점이다. 물론 그들의 존재 역시 팽팽한 긴장감이 먼저 전제된 후에라야 빛을 발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렇게 되자, 그 빈 자리를 차고 오는 것은 비담과 덕만이 뒤늦게 만들어가는 멜로다. 물론 이 멜로가 의미 없는 것은 아니었다. 덕만은 여왕이라는 존재로서 한 개인의 사랑을 할 수 없는 존재라는 아킬레스건이 있다. 그러니 덕만에게 사랑으로서 접근하는 비담은 여왕으로서의 덕만에게는 위기상황이 아닐 수 없다. 즉 덕만의 여왕와 여인 사이에서의 갈등은 이 사극에 새로운 위기를 제공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것 역시 비담이 덕만에게 밀서를 통해 순정을 보임으로써 온전히 멜로의 틀로 바뀌었다. 대신 이 사실을 안 비담의 무리들이 그를 자기 편에 세우기 위해 모함하게 되면서 위기는 덕만의 위기가 아니라 비담의 위기로 바뀌었다. 비담의 절절한 사랑이 대중들에게 다가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지금껏 '선덕여왕'이 달려온 이야기 틀거리에 잘 맞는지는 의문이다. 이들의 갑작스런 멜로가 조금은 생뚱맞게 느껴지는 것은 그 때문이다.

지금 미실 사후에 '선덕여왕'은 또 하나의 새로운 사극을 쓰고 있다. 덕만의 성장을 다루는 사극으로서의 '선덕여왕'은 미실이 죽는 지점에서 일단락되었다. 여왕이 된 후에 겪게 되는 공신들 사이의 갈등과 새로 왕이 된 자가 겪게 마련인 신하들과의 갈등, 그리고 갑자기 등장한 백제와의 갈등은 또 한 편의 사극으로 만들어도 충분한 소재거리가 된다. 기계적으로 보면 미실이 죽기 전과 죽은 후의 이야기가 연결은 되지만, 안타깝게도 드라마에는 그것이 추구하는 일관된 통일성이라는 것이 있어 감성적으로는 앞과 뒤가 잘 연결되지 않는다.

이것은 사극이 그리는 세계가 현실과 다른 점이다. 현실의 역사는 그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흘러가지만, 사극은 그 역사의 한 단면을 하나의 이야기 맥락으로 꿰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단순한 연장이 아니라, 미실 사후부터 삼한일통까지의 과정을 '선덕여왕' 시즌2로 그릴 수는 없었던 것일까. 미실의 죽음과 함께 끝났으면 하나의 신화로서 미실도 살고 덕만도 살 수 있지 않았을까. 이것이 '선덕여왕'의 연장방영이 안타까운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