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추노'의 혁명, 그 실패가 실패가 아닌 이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추노'의 혁명, 그 실패가 실패가 아닌 이유

D.H.Jung 2010. 3. 25. 07:22
728x90

'추노', 역사에 이름 한 줄 없는 그들만의 역사

송태하(오지호)가 석견(김진우)을 구명하기 위해 한밤중 몰래 저자거리에서 봉림대군(이준)을 만나는 장면에서 대길(장혁)은 태하처럼 무릎을 꿇지 않는다. 그저 건들대며 간단한 목례를 할 뿐. 짧은 장면이지만 이 길바닥을 전전하며 살아가는 추노꾼 대길과 봉림대군의 만남 사이에는 묘한 긴장감이 흐른다. 그것은 우리가 사극이라고 하면 늘 봐왔던 그런 풍경, 즉 왕이나 세자 앞에서는 누구나 무릎을 꿇고 고개를 조아리는 그 풍경이 아니기 때문이다.

잠시 후 봉림대군은 어둠 속으로 사라지고, 그 곳은 대길과 태하가 그를 좇는 철웅(이종혁)과 부하들이 한 판 벌이는 자리로 바뀐다. '추노'는 이처럼 역사 속의 인물을 어둠 저편으로 밀어내고 대신 그 자리에 역사 바깥에 존재하던 인물들을 세워놓는다. 봉림대군은 아마도 역사에 수많은 말을 남겼을 것이지만 이 사극에서는 주인공인 민초들이 심지어 농 섞인 말을 계속 떠들어댈 동안 줄곧 침묵하고 있다. 허구의 인물 대길은 그렇게 역사의 인물 봉림대군을 만나 "여기는 내 세상"이라고 말하는 듯하다.

'추노'가 그리는 세계는 확실히 과거의 사극들과는 그 시선부터가 다르다. 과거 사극에 등장하던 천민들은 신분상승을 꿈꾸었지만, '추노' 속의 천민들은 더러운 양반들의 세상과 한 판 대결을 벌이고 있다. 신분이 엄연한 시대에 천민들과 양반들이 벌이는 대결. 즉 이 사극은 세상이 뒤집어질 혁명을 꿈꾼다. 하지만 어디 혁명이 쉬운가. 그리고 우리는 이미 역사를 통해 그 혁명이 번번이 실패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혁명은 그리 낭만적인 것이 아니다.

송태하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은 "열망이 욕망으로 바뀐" 조선비(최덕문)로 인해 뒤집어지고, 노비들의 세상을 꿈꾸는 노비당은 결국 그 분(박기웅)이 이경식(박응수)의 사주를 받은 인물로 밝혀짐과 동시에 와해된다. 업복(공형진)의 의구심은 현실로 나타난다. 즉 '추노'는 저 '수호지' 같은 혁명의 낭만성을 판타지로서 그려내는 사극이 아니다. 오히려 '추노'는 그 혁명의 실패를 아프지만 똑똑히 바라본다.

그래서 결국 남은 것은 혁명이 아니라 개인의 생존이 되었다. 대길은 조용히 살아가라고 하지만 송태하는 석견과 혜원을 데리고 청으로 빠져나가려 한다. 그 과정에서 불을 보듯 뻔한 것은 그들을 좇는 철웅과의 마지막 대결이다. 하지만 이 대결 역시 이제는 혁명과는 상관없는 개인적인 차원의 대결이 되어버렸다. 대길은 "은혜는 잊어도 원수는 꼭 갚는다"는 말처럼 철웅에 남은 빚을 갚으려는 것이고, 송태하는 개인적인 이유로 끝없이 그를 추격하는 철웅을 피하려는 것이다. 그렇게 혁명은 저물었고, 남은 자들은 저마다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을 친다.

그렇다면 민초들이 꿈꾸었던 혁명이 이처럼 무참하게 무너지는 과정을 이 사극은 왜 굳이 주목했던 것일까. 그것은 바로 그렇게 실패했으나(그래서 역사에 한 줄도 남아있지 않지만) 그래도 당대에 사람답게 살고자 꿈꾸었고 싸웠던 민초들이 있었다는 것을 증언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추노'를 통해 수없이 죽어나간 민초들의 삶을 보았고, 그 역사에 한 줄 남겨지지 않은 그들에게 이름을 붙였다. 더럽게 팍팍한 인생을 살다간 천지호(성동일)는 물론이고, 업복이와 짝귀(안길강) 그리고 노비들이 주인되는 세상을 꿈꾸었던 개놈이(이두섭)와 끝봉이(조희봉) 같은 인물들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추노' 속의 혁명은 실제 역사에서처럼 실패했지만, 그 실패한 혁명을 낮은 자들의 위치에서 조명함으로써 '추노'는 저들만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는데 성공한다. 이것은 기존 역사의 재현으로서 시작되었던 사극이, 지난한 세월을 거쳐 이제는 사극 스스로 역사를 써가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말해준다. 실로 추노가 그려내는 역사는 공자왈 맹자왈 하는 양반들의 이야기를 알아먹지 못할 외계어로 만드는 세계다. 낮은 자의 시각으로 저자거리의 언어로, 때론 몸의 언어로 한 컷 한 컷 그려진 민초들의 역사, 사극이 복원해낸 그네들의 역사, 그것이 바로 '추노'다. 역사의 사극에서 사극의 역사로. 혁명은 과거의 그 때가 아니라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