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연예인들의 자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연예인들의 자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D.H.Jung 2010. 4. 1. 07:46
728x90

연예인들의 자살,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닌 이유

고 최진실씨가 간 그 길을 동생 최진영씨도 따라갔다. 우발적인 자살이라고 하지만 그 자살이라는 극단적 상황이 어찌 그저 갑작스레 다가온 것이라 말할 수 있을까. 마지막 한 방울로 물이 넘치기 전까지 이미 마음이라는 사발에는 계속 해서 물이 차오르고 있었을 것이다. 시간이 흐르고 겉으로는 가까스로 웃고 있었지만,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바라봤던 그 마음 속에는 한없이 쏟아지는 우울의 눈물이 흘러내리고 있었다.

흔히들 '마음의 감기'라고 표현하는 우울증은 사실은 감기처럼 경미한 수준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다가오지만 심지어 목숨마저 앗아가는 결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측근의 이야기로는 고 최진영씨가 제대로 된 우울증 치료를 받지 못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연예인이라는 직업이 가진 특성 때문이다. '우울증'이나, '정신과' 같은 단어는 사실 일반인도 꺼리게 되는 것들이다. 하물며 대중들의 시선에 노출되어 있는 연예인들은 오죽할까.

연예인들은 특히 우울증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직업적 특성을 갖고 있다. 먼저 사적인 생활과 공적인 생활이 엄밀히 구분되지 않고 혼재되는 상황이 그렇다. 사적인 공간은 개인에게 어떤 쉼터로서의 역할을 해주는데, 연예인들의 경우에는 이것 역시 늘 외부에 드러내질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게다가 작금의 매체 환경은 연예인의 일거수일투족이 아주 사소한 일상에서조차 보호되지 못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연예인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쉽게 겪는다. 늘 평탄한 삶을 살아가는 일반 대중들과는 달리, 연예인들은 인기에 휘둘리는 삶을 살아간다. 극단적인 포커스를 받아온 이들은 그 카메라 세례가 사라지고 나면 마음 한 가운데 텅 빈 공허를 지독하게 경험할 수밖에 없다. 고 최진영씨가 공백기에 일이 없어 힘들다는 사실을 여러 차례 털어 놓은 것은 그 박탈감의 강도를 잘 말해준다. 또한 이런 공백기 이후에 새롭게 연예활동을 들어갔을 때 역시 그 스트레스는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 이미 공백기의 힘겨움을 겪었기 때문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연예인들의 노동이 육체적인 노동보다 정신적인 노동에 더 가깝다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대중들에게 자신을 노출시킨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정체성의 혼란과 스트레스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정신적인 노동에 종사하는 연예인들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마치 우리가 예방주사를 맞듯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은 연예인들의 모습이 사회적인 롤 모델이 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문제는 '정신과'라는 특정 진료과에 대한 대중들의 잘못된 인식을 어떻게 바꿔나갈 것인가 하는 점이다. 감기에 걸리면 내과에 가고 상처가 나면 외과에 가면서 마음이 아프면 왜 정신과에 가지 않으려고 하는 것일까. 이것은 오래된 정신과 의사들의 고민이기도 하다. 심지어는 '정신과'라는 이름 자체를 다른 것으로 바꿔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상황을 연예인들의 자발적인 '정신건강 참여 프로그램'으로 바꿔나갈 수 있지 않을까. 연예인들도 마음이 아프면 당당히 찾아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만들어진다면, 그것은 거꾸로 일반인들의 정신과 문턱까지 낮출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예인은 현 변화해가는 사회 속에서 도드라진 존재들로서, 일반인들의 삶을 좀더 극적으로 보여주는 인물들이란 점에서, 그들의 자살은 단지 거기에만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장차 일어날 사회적 변화 속에서 일반인들도 똑같이 겪어야할 상황으로 다가올 것이고 이미 그렇게 되어가고 있다(일반인들 역시 사생활과 공적 생활의 경계는 점점 무너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연예인들의 자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