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하녀', 그녀는 여전히 밑에 있었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하녀', 그녀는 여전히 밑에 있었다

D.H.Jung 2010. 5. 14. 06:27
728x90

1960년 '하녀'와 2010년 '하녀', 뭐가 달라졌을까

'하녀'라는 말은 이제 우리의 일상어에서 사라진 지 오래다. 아래 하(下)자와 계집 녀(女)자를 쓰는 이 단어는 다분히 계급적으로 읽힌다. 즉 신분제도가 있던 시대에 사용되었던 이 '하녀'라는 단어는 지금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것은 동일한 제목의 원작 영화인 김기영 감독의 '하녀'가 개봉되던 1960년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당대에 사용되던 말로 제목을 바꾼다면 '식모' 정도가 될 것이다. 그런데 왜 이 '하녀'라는 단어가 1960년에도 또 50년이 지난 2010년에도 그대로 제목의 자리에 앉아있을까.

아마도 김기영 감독은 '하녀', 즉 새롭게 등장하는 식모라는 직업군(?)에서, 당대 산업사회의 태동기에 물질주의가 가져올 욕망의 표상을 발견했을 것이다. 김기영 감독의 '하녀'는 분명 그 속에 계급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물질 자본주의의 욕망으로서의 의미다. 작은 집에서 이층집으로 이사한 후, 벌어지는 사건들은 바로 그 물질적 풍요가 사건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걸 암시한다. 좁은 집에서(물질적 풍요가 없는 시점에서) 하녀는 없어도 되는 직업군이지만, 넓어진 집에서는 하녀라는 새로운 욕망이 탄생한다.

그 잉여의 욕망을 표상하는 하녀가 한 가족을 파탄내는 이야기는, 물질의 주인을 자처하며 살아가는 자본주의 속 삶에서, 바로 그 물질이 거꾸로 주인을 속박하고 파탄내는 그 현실을 하나의 섬뜩한 우화처럼 그려낸다. 재미있는 건 이 김기영 감독의 '하녀'는 이 모든 이야기를 액자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한 사내의 내적인 욕망을 들여다보게 해주었다는 점이다. 아마도 이 정신분석적인 구성은 프로이트의 영향으로 보인다.

50년이 지난 현재, 임상수 감독에 의해 다시 만들어진 '하녀'가 50년 전 그것과 같을 수는 없다. 당대는 자본주의의 태동기였지만, 지금은 고도 자본주의의 중심에 들어와 있기 때문이다. 돈(물질)에 의해 탄생하는 자본주의의 하녀(계급) 역시 좀 더 견고해졌다. 김기영 감독의 하녀는 공장에서 일하다 소박한 중산층의 이층집으로 들어오지만, 임상수 감독의 하녀는 저자거리의 왁자한 소음과 어떤 절망으로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소란 속에서 살아가다 비현실적으로까지 느껴지는 초상류층의 이층집으로 들어온다. 양극화는 더욱 첨예해졌다.

계급의 첨예함은 이 2010년 '하녀'의 공간연출로 더 도드라진다. 카메라는 종종 부감에서 주인이 하녀를 내려다보듯 거기 서 있는 인간군상들을 내려다본다. 김기영 감독의 '하녀'가 이층의 한 켠에 마련된 방에서 남자의 욕망의 손길을 기다렸다면, 임상수 감독의 '하녀'는 아예 계급에 맞게 1층엔 하녀가 2층엔 주인이 산다. 주인은 늘 하녀를 위에서 내려다보고, 하녀는 주인을 올려다본다. 마지막 클라이막스에서 그 상황은 잠시 역전되지만 그 역전은 오르지 못할 공간을 점유한 자의 파국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달라진 건, 이제는 하나의 시스템이 된 계급이 절대로 바뀌어지지 않을 견고함으로 절망적인 뉘앙스를 풍긴다는 점이다. 김기영 감독의 '하녀'는 한 가정을 파탄내지만, 임상수 감독의 '하녀'는 하녀만 희생된다. 견고한 자본주의의 시스템 속에서 하녀란 돈이 있으면 언제든 교체될 수 있는 소모품 같은 존재다. 주인집 사람들은 모든 일이 마치 벌어지지 않은 것처럼 무표정하게 살아간다.

임상수 감독의 지독히도 냉소적인 시선은 철저히 판타지를 거부하면서 아프지만 섬뜩한 작금의 자본주의 상황을 그려낸다. 원작에는 없는 유일한 인물로 윤여정이 연기한 하녀가 돋보이는 건, 그녀의 투정과 화풀이가 이 꽉 막힌 시스템을 펼쳐놓은 숨 막히는 영화 속에 유일한 숨 쉴 틈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대체 이 바늘로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올 것 같은 시스템 앞에서 어찌 절망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을까. 위안이라고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아마도 이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은 듯 살아가는 주인집 가족들의 그 무표정일 것이다. 돈이면 뭐든 할 수 있고 지워버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그들 역시 돈의 하녀이긴 마찬가지니까. '하녀'는 5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늘 밑에 있었다. 저 위에 자본이란 주인을 세워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