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과거로 가는 드라마, 복고인가 보수화인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과거로 가는 드라마, 복고인가 보수화인가

D.H.Jung 2010. 6. 21. 07:35
728x90

1970년대 인기를 끌었던 ‘전우’의 2010년판 리메이크는 화려한 스펙터클로 무장했다. 레드원 카메라로 찍어 선보인 첫 전투신은 안방극장을 뜨겁게 달구었다. 폭격기가 쏟아 붓는 폭탄과 기관포 세례에 튀는 흙가루가 그 미세한 입자까지 드러내며 허공에 흩어지고 빗줄기처럼 날아드는 총알 속으로 미친 듯이 뛰어다니는 병사들의 모습은 과거 ‘배달의 기수’ 같았던 ‘전우’의 전투신을 더 실감나게 재현해냈다. 첫 방 시청률은 16% 남짓(AGB 닐슨). 반공드라마가 아니냐는 논란 속에서도 성공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제빵왕 김탁구’의 시대적 배경은 1970년대 경제 개발 시대. 김탁구(윤시윤)라는 인물이 갖은 고난을 이겨내고 제빵업계의 1인자로 서는 과정을 그린다. 배고픔의 시절, 빵이 심지어 어떤 판타지로 다가왔던 70년대. 이 드라마에는 어린 시절의 탁구가 당대 코미디언들을 흉내내듯 그 시대의 향수를 자아내는 장면들이 도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드라마는 초반부부터 당대의 작품들을 떠올리게 하는 신파극과 치정극으로 물들어 있다. 월드컵 시즌의 특수를 맞아서(경쟁드라마가 없는 상황) 시청률은 벌써 25%에 육박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들 드라마들이 모두 1970년대 개발시대를 향수하고 있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개발이나 성장에 대한 집착이나, 반공이라는 구시대적 가치관에서 완전히 달라진 2010년 현재, 왜 이들 드라마들은 여전히 그 과거의 가치에 대한 애착을 보이는 걸까. 이것은 과연 단지 시대에 대한 향수를 담아내는 복고 트렌드에 불과한 것일까. 아니면 이미 보수화의 길을 걷고 있는 드라마가 이제 노골적으로 그 정체를 드러낸 것일까.

사실 최근 드라마는 보수화의 길을 걸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표적인 것이 주말 저녁 KBS1에 편성된 일련의 드라마들이다. ‘명가’는 하필이면 현 방통위원장의 종친인 경주 최씨 이야기를 다뤘다는 점 때문에 보수적인 것만은 아니다. 드라마가 내세운 ‘노블레스 오블리제’라는 메시지는 자칫 ‘가진 자의 논리’를 정당화해줄 소지가 다분하다. ‘명가’에 비해 그 후속작인 ‘거상 김만덕’은 여성 성장극을 집어넣어 그 보수적인 색채를 드라마적인 힘으로 많이 누른 흔적이 보이지만 그 메시지만은 동일했다. 그리고 이어 방영되는 ‘전우’는 여전히 반공드라마의 논란 위에 서 있다.

한편 주말극으로 끊임없는 막장 논란에도 불구하고 40%에 육박하는 시청률로 종영한 ‘수상한 삼형제’ 역시 드라마의 퇴행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과거의 틀을 더 독하게 현재에 재현했다. 과거 드라마들의 고질적인 소재였던, 고부갈등이나 불륜, 한 여자를 두고 벌이는 치정극은 이 드라마에서 더 자극적으로 무장한 채 반복되면서 많은 시청자들의 공분을 샀다. 이 퇴행적인 양상은 이 드라마가 경찰청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는 사실(이것 때문에 한때 경찰만을 옹호하는 드라마로 논란이 인 적도 있다)보다 더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막장이라 취급돼도 시청률만 높으면 마치 ‘국민드라마’인 양 심지어 자긍심까지 갖는 모습은 자칫 드라마의 상업화와 시청률 지상주의의 늪으로 타 드라마들까지 빠뜨릴 위험성이 있다.

올해 초에 큰 인기를 끌었던 ‘공부의 신’도 마찬가지다. 마치 입시경쟁 속에서 성공할 수 있는 비법이라도 가르쳐 줄 듯 나섰던 이 드라마는 그래서 시청률 고공행진을 거듭했지만, 기존 입시 제도를 결국은 두둔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물론 드라마 후반부에 와서 이런 메시지는 슬쩍 ‘진정한 공부’에 대한 이야기로 바뀌었지만, 이것은 ‘수상한 삼형제’가 패악스런 가족들의 자극적인 이야기로 점철되다 마지막에 급속히 봉합했다고 해서 착한 드라마라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다. 이들 드라마들은 어떤 면으로 봐도 시간을 거꾸로 되돌려 놓은 듯한 드라마 소재와 진행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 드라마가 70년대를 향수하거나 6.25 같은 전쟁을 다루지 말란 법은 없다. 하지만 과거를 다룬다고 해서 과거의 메시지를 반복하는 것은 시대착오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2010년도에는 2010년도에 맞는 메시지를 가져야 한다. 그것이 아니라면 드라마는 현 대중들과 공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퇴행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시청률에서 성공한 드라마들은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아직까지 리모콘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보수적인 중장년 시청층 때문일까.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오히려 이들 드라마들의 뛰어난 위장술 때문인지도 모른다. 화려한 스펙터클과 엄청나게 빠른 속도의 스토리 진행 같은 것은 드라마의 실체를 보기 어려울 정도로 현란하다. 게다가 이들 드라마들은 스스로를 복고라고 말하지 보수라고 말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