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사극의 확장, 시대극이 선전하는 이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사극의 확장, 시대극이 선전하는 이유

D.H.Jung 2010. 6. 28. 07:29
728x90

사극과 시대극 천하, 드라마는 과거를 추억 중

흔히 사극은 장르적인 관점에서 조선시대 이전을 역사적인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을 일컫는다. 그 후의 역사, 즉 구한말 이후의 근대와 현대에 이르는 시대를 다루는 드라마를 우리는 시대극이라 지칭한다. 물론 장르적으로는 약간씩 다른 느낌을 준다. 하지만 과거에 있던 역사를 가져와 현재를 말한다는 점에서 사극이나 시대극은 궤를 같이 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실제로 자세히 분석해보면 시대극들은 거의 사극의 틀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자이언트’는 공간을 강남땅으로, 시간을 7,80년대로 잡고 있지만 그 땅 위에서 벌어지는 소규모 전투(?)와 치열한 복마전은 사극과 거의 유사하다. ‘제빵왕 김탁구’는 70년대의 향수를 근간으로 하지만, 버려졌다가 다시 거성식품이라는 왕국으로 귀환해 왕좌를 노리는 김탁구(윤시윤)의 성장담을 다룬다는 점에서 작금의 퓨전사극을 그대로 닮아있다. 한국전쟁을 겪은 지 60년이 지난 것을 기화로 제작된 ‘로드 넘버원’이나 ‘전우’도 마찬가지다. 이 치열한 전쟁의 풍경은 사극 속에서 익히 보아왔던 처절한 산악 전투장면들을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보면 현재 월요일부터 주말까지 일주일 내내 우리는 드라마 속에서 이 사극의 구조를 만나고 있는 셈이다. 월화에는 실제로 ‘동이’가 그 시청률 수위를 차지하고 있고, ‘자이언트’가 그 뒤를 좇고 있으며, 수목에는 ‘제빵왕 김탁구’가 앞서가고 ‘로드 넘버원’이 그 뒤를 좇는다. 주말 밤에는 새로 편성된 ‘전우’가 17% 대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기존 동일 시간대의 드라마들보다 훨씬 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대체 어떤 요소가 이 과거를 추억하는 드라마들을 강력하게 만드는 걸까.

그 해답은 다시 사극의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옛이야기가 갖는 힘이다. 옛이야기는 대중들에게 그 극적 상상력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과장을 허용한다. 따라서 좀 더 드라마틱한 이야기들이 가능해진다. ‘자이언트’의 강모(이범수) 가족이 겪는 이야기는 지나치게 구성되어 있어 우연의 요소들이 많지만, 그것은 시대극이라는 옛이야기의 틀로 들어가면서 시대의 대표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허용된다. 강모는 개발시대의 입지전적인 인물을, 성모(박상민)는 중정으로 표상되는 당대의 권력을, 미주(황정음)는 그 시대를 버텨내고 은막에 오른 스타를 대표한다.

‘제빵왕 김탁구’가 가진 자극적이고 막장적인 요소들은 그 시대가 가졌던 가부장제 하의 몰상식한 일들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인정된다. ‘로드 넘버원’이나 ‘전우’가 다루는 한국전쟁이라는 소재는 전쟁이 으레 그러하듯이 비윤리적인고 폭력적인 이야기들로 점철되며 때로는 생존 앞에 놓인 인간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이 등장하지만 그것은 전쟁이라는 시대적 아픔 속에서 이해된다.

또한 과거를 추억하는 드라마들이 선전하는 두 번째 이유는 이 옛이야기가 가지는 극성이 현대극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하다는 점이다. 현대극에서 갈등이라고 하면 주로 마음의 상처를 주는 정도가 되지만, 이 옛이야기 속에서 갈등은 종종 그 대상의 죽음으로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그 힘이 강하다. ‘동이’ 같은 사극은 물론이고 ‘자이언트’나 ‘제빵왕 김탁구’ 같은 시대극에서도 인물의 죽음은 현대극에 비해 현저하게 빈번하다. 물론 전쟁을 다루는 ‘로드 넘버원’이나 ‘전우’는 말할 것도 없다.

세 번째는 이들 과거를 다루는 드라마들 속에 내재한 성장드라마의 요소다. 이 성장 드라마는 사극의 기본 패턴으로 이제 자리하고 있는 것인데, 시대극이라고 해서 다른 것은 아니다. ‘자이언트’는 개발시대의 비극 속에서 강모의 가족이 생존해가는 이야기를 다루지만, 그것은 또한 강모 가족의 성장드라마이기도 하다. ‘제빵왕 김탁구’는 불륜과 치정이 난무하는 막장의 시대를 살아내고 성장하는 김탁구의 성장드라마다. 물론 전쟁 드라마들을 성장드라마로 보기는 어렵지만, 분명 전쟁을 바라보는 시선의 성장은 거기에도 존재한다.

사극이 가지는 옛이야기의 힘, 강력한 극성, 성장 드라마적 요소는 작금의 시대극들이 왜 선전하고 있는지를 잘 말해준다. 어찌 보면 이것은 사극의 확장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때 시대극은 특정한 시대나 인물을 찬양한다는 논란으로 시들했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시대극이라면 늘 떠올리는 개발시대의 성공에 대한 집착 같은 것들이 현대인들의 마음에 쉬 닿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작금의 시대극은 현재의 사극들이 계속 추구해왔던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과거를 소재로 한 현재의 이야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시청자들을 새롭게 만나고 있다. 과거라는 시간대가 하나의 강력한 장애요소가 되고, 그걸 바라보는 현재의 시선이 그 장애를 넘어서는 인물들에 천착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들 시대극은 그 과거의 시간에 매몰되지 않고 오히려 그 시간적인 간극 사이의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