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자이언트'의 급상승, 그 이유와 과제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자이언트'의 급상승, 그 이유와 과제

D.H.Jung 2010. 7. 20. 08:13
728x90

'자이언트' 일으킨 가족애, 그 가능성과 한계

'자이언트'의 시청률은 최근 몇 회 동안 갑자기 올랐다. 10% 언저리에 머물던 시청률은 18%대까지 올랐고, 현재는 16%에서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 대작 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자이언트'의 초반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이유는? 국책성 드라마라는 오해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이런 오해는 눈 녹듯 풀렸다. 복마전을 방불케 하는 엎치락뒤치락하는 사건들의 연속은 누가 선이고 누가 악인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긴박하게 흘러갔다.

강남땅을 두고 벌이는 치열한 각축전은 사극의 전투를 연상케 할 정도. 하지만 국책성 드라마라는 오해가 풀리고,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사건의 연속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은 정체상태였다. 이런 멈춰선 '자이언트'의 거대한 몸을 움직이게 한 것은 도대체 뭘까. 바로 가족이었다. 어린 시절 뿔뿔이 흩어졌던 강모(이범수)와 성모(박상민) 그리고 미주(황정음)가 차례차례 재회하는 장면에서 좀체 움직이지 않을 것 같았던 '자이언트'의 무거운 시청률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31빌딩 앞에서 미주가 그녀를 바라보는 강모의 금방이라도 눈물을 터뜨릴 듯한 눈을 보면서 "오빠?"하고 말했을 때, 미주 앞에 나타난 성모가 옛날 사진관에서 찍었던 빛바랜 사진을 꺼내들 때, 그리고 강모를 구해낸 성모가 동생에게 "내가 네 못난 형이다"라고 말할 때 드라마의 집중도는 극에 달했다. 우리네 드라마에서 '가족'이라는 코드가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 지가 그대로 드러나는 순간이다.

가족 코드가 '자이언트'에 부여한 힘은 그간 끝없이 벌어졌지만 깊은 감정이입을 만들지는 못했던 일련의 사건들을 남다르게 만들었다. 잡혀온 강모를 폭행하는 조필연(정보석)을 바라보는 성모의 눈빛에는 불꽃이 튀었고, 이것은 그간 묻혀있던 성모라는 캐릭터를 재발견하게 만들었다. 박상민의 연기가 갑자기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이 재발견된 캐릭터의 힘이기도 하다. 한편 연기력 논란까지 불러 일으켰던 황정음 역시 가족을 만나 미주라는 캐릭터가 살아나면서 '눈물의 여왕'으로 재탄생되었다. 이것은 가족이라는 코드가 그저 뿔뿔이 흩어져만 보이던 사건들 사이에 어떤 강력한 접합제 역할을 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캐릭터는 감정선이 녹여진 사건들 속에서 살아나기 마련이다.

'자이언트'의 시청률이 급상승한 또 하나의 이유는 멜로다. 그간 겉으로만 빙빙 돌던 강모와 정연(박진희)의 멜로가 급물살을 타면서 드라마는 좀 더 애틋해졌다. 정식이 저지른 살인누명을 뒤집어쓰고 도망 다니는 강모를 위해, 정연은 머뭇대던 감정을 드디어 드러낸다. 멜로 역시 가족 코드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사건들에 깊은 감정선을 부여한다.

물론 가족코드나 멜로코드가 가진 단점도 있다. 그것은 사건을 단순화시키고, 선악구도를 너무 뚜렷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가족으로 뭉치기 전에는, 또 멜로로 서로를 사랑하기 전에, 이 드라마는 어떤 방향으로 튈 지 감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선악구도가 불분명했다. 하지만 관계가 명확해지자, 이제 가족을 중심으로, 또 연인을 중심으로 선악구도는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된다. 선악구도보다는 권력과 욕망을 두고 벌어지는 끝없는 전쟁의 양상이 장점이던 '자이언트'라는 시대극에는 조금 아쉬운 점이기도 하다.

결국 '자이언트'의 시청률 급상승에는 우리네 드라마에서 가족코드와 멜로코드가 왜 그리도 오래도록 반복되는 지를 잘 말해준다. 우리에게 이 두 코드는 식상하면서도 강력하다. 따라서 적절히 사용된다면 큰 효과를 가져오지만, 지나치게 매몰되면 오히려 식상해질 위험성도 생긴다. '자이언트'가 계속적인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사건과 이들 코드 사이에 적절한 균형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