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70년대가 피었습니다, 활짝!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70년대가 피었습니다, 활짝!

D.H.Jung 2010. 7. 29. 07:16
728x90

'이끼', '자이언트', '제빵왕 김탁구'가 70년대를 택한 이유

드라마와 영화의 시대적 배경으로 70년대가 다시 피어나고 있다. 수목드라마로 40%의 시청률을 넘보고 있는 '제빵왕 김탁구'는 70년대의 질곡을 겪고 자라난 김탁구(윤시윤)가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 제빵왕으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현재 상승세를 타고 있는 '자이언트'도 70년대 개발시대 강남땅을 놓고 벌이는 치열한 개발전쟁을 다루고 있다. 한편 벌써 25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이끼'도 그 근간을 보면 70년대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70년대 개발시대에 아버지가 겪은 고통의 시간들을 현재의 신세대 주인공이 하나씩 되밟아가는 이야기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하필 70년대 개발시대를 이들 콘텐츠들이 다루고 있을까. 흥미로운 것은 이들 작품들이 이 시대를 다루는 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끼'는 70년대 개발시대가 갖고 있던 그 폭력적인 정서를 바탕에 깔고 있다. 즉 영화가 그리는 것은 지금 현재를 만든 그 과거의 왜곡된 폭력의 역사를, 현재의 신세대를 대변하는 주인공이 파헤쳐가는 이야기다. '자이언트'는 군사정권에서부터 개발시대를 지나오면서 한 가족이 겪게 되는 파멸과 생존 그리고 복수와 성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이끼'와 거의 같은 맥락의 이야기를 하는 셈이다. 이것은 '제빵왕 김탁구'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작품은 온갖 시련을 겪으며 성장해 결국 제빵왕이 되는 과정을 그리는데, 이것이 또 7,80년대의 폭력적인 시대와 연관을 맺는다. 즉 이들 작품들은 모두 개발시대가 남긴 트라우마를 현재의 주인공이 넘어서려 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주목할 것은 이들 작품들이 70년대라는 시대를 배경으로 담으면서 각 장르가 가진 한계를 넘어고 있다는 점이다. '자이언트'와 '제빵왕 김탁구'는 70년대를 하나의 극적 장애요소로 다루면서 이제 한 물 간 것이라 여겨진 시대극을 다시 부활시켰다. 과거 '에덴의 동쪽'이나 '태양을 삼켜라' 같은 시대극들이 과거를 재현하고 그 속에 꿈틀대던 욕망들을 끄집어내 보여주는 것에 만족함으로써 어떤 한계를 드러냈다면, '자이언트'와 '제빵왕 김탁구'는 그 과거가 현재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질문하고 있다. 결국 과거를 소재로 하지만 과거만을 다루는 것은 아니고 현재와 만나는 지점을 찾아냄으로써 그걸 보는 현재의 시청자들을 공감하게 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청세대의 확장이다. 70년대를 다룸으로써 현 드라마의 주시청층인 중장년층을 자연스럽게 끌어들일 수 있게 되었고, 그 시대를 넘어 성장하는 주인공을 그려냄으로써 현재의 젊은 시청층까지 소구할 수 있었다. 이들 드라마들의 높은 시청률은 바로 이 시청 세대의 폭넓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영화 '이끼'에서도 마찬가지다. 사실 웹툰 원작의 영화가 거의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그 소구 세대가 달랐기 때문이다. 웹툰이 좀 더 젊은 세대가 향유하는 매체라면 영화는 좀 더 폭넓은 세대를 겨냥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아버지 세대의 이야기와 현 세대의 이야기가 중첩되는 '이끼'는 그 한계를 70년대라는 시점을 끌어들여 넘어서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아픈 과거도 시간이 지나면 추억이 된다는 말이 있다. 개발시대는 우리에게 경제적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그 이면에 또한 많은 상처를 남긴 게 사실이다. 최근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개발시대는 막연히 당대를 향수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또 그 아픔을 넘어서려는 안간힘을 보여준다는 데서 여러모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