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방가 방가', 욕조차 뭉클해지는 영화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방가 방가', 욕조차 뭉클해지는 영화

D.H.Jung 2010. 10. 1. 15:25
728x90

외국인 근로자와 청년 실업은 어떻게 만났나

육상효 감독의 영화는 어딘지 사람 냄새가 난다. 첫 단편작이었던 '슬픈 열대'가 그랬고, 시나리오로 청룡영화상, 대종상, 백상예술대상에서 상을 받았던 '장미빛 인생'이 그렇다. 그는 사회의 그늘 속에 가려진 낮은 존재들을 프레임 속에 넣어 그들이 얼마나 반짝반짝 빛나는 존재인가를 보여준다. '방가 방가'가 비추는 그늘은 두 가지다. 하나는 지옥 같은 취업전쟁 속에 스펙 없이 내던져진 고개 숙인 청춘이고, 다른 하나는 인권 사각지대에 놓여진 외국인 근로자들이다.

영화는 마치 '폭소클럽'에서 "사장님 나빠요"하고 외국인 노동자를 흉내냈던 블랑카(정철규)처럼 외국인 특유의 말투가 주는 웃음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그 자리에 누가 봐도 한국 사람인 김인권이 얼굴을 들이민다. "저는 부탄 사람입니다"하고 꺼내는 그의 말은 그 '내추럴 본 동남아 삘'이 나는 김인권의 얼굴 때문에 빵 터진다. 그리고 이어지는 이야기는 스펙 없이, 그럴 듯한 외모 없이 취업이란 언감생심인 우리 사회의 차가운 현실이다.

취업이 안돼 부탄 사람으로 위장해 외국인 노동자로 취업하는 이 아이러니한 상황은 결코 웃을 일이 아니다. '나는 부탄사람입니다'라는 말에는 먼저 웃음이 묻어나지만, 한국인이 한국 사람이라 말하지 못하게 된 그 현실은 눈물 나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의 시선은 이 낮은 자들의 생고생담을 리얼하게 보여주면서 풍자의 웃음을 이끌어낸다. 부탄 사람으로 위장한 방가(김인권)는 취업한 의자 공장에서 심지어 외국인 노동자의 구박을 받으며 생활한다. 그러면서 이 청년 실업자와 외국인 노동자는 그 낮은 위치에서 맞이하는 똑같은 사회의 냉대를 공감하게 된다.

인간 취급 받지 못하는 건, 취업을 못하는 청년 실업자들이나, 또 취업을 했다고 해도 외국인 노동자들처럼 온갖 착취를 당하면서 하루하루를 불안하게 살아가는 비정규직이나 다르지 않다. 영화는 이처럼 가장 낮은 지대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노동의 문제를 바라본다. 하지만 놀라운 건 이 결코 가볍지 않은 문제들에 의해 영화가 지나치게 심각해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육상효 감독의 따뜻한 시선과 김인권이라는 배우가 가진 발군의 코믹 연기는 영화를 보는 내내 웃음을 터트리게 하고, 또 가슴 한 구석을 따뜻하게 만든다. 영화의 압권(?)이라고 할 수 있는 방가가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욕 강의'를 하는 장면은 이 낮은 자들의 심정을 담아내면서 통쾌한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욕 먹기를 밥 먹듯 하며 살아왔으리라 짐작되는(그래서 그들은 그토록 욕에 익숙하다) 그들이 거꾸로 욕을 배워 욕하던 이들에게 되돌려주는 통쾌함. '강아지 계열 17번'에 해당하는 욕은 어쩌면 이 힘없는 이들이 할 수 있는 유일하지만 강력한 저항처럼 여겨진다.

물론 영화는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 현실에 침잠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판타지라고 할 수 있을 법한 전망을 보여주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전하려는 주제의식은 전혀 훼손되지 않는다. 즉 실컷 웃은 뒤에 남는 진한 가슴 저림은 이 영화의 전망이 하나의 현실이었으면 하는(그러나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은) 깊은 바람에서 나오는 것이다.

김인권이라는 배우는 어쩌면 이 영화 속 방가가 느꼈던 그 감정을 영화판에서 느꼈을 지도 모르겠다. 꽃미남이 아니면 주연이 될 수 없는 세상에서 늘 주변에서 머물렀던 그가, 영화 속에서 "나는 한국사람 입니다. 한국에서 일하고 한국에서 돈 벌고 한국에서 밥 먹고 살아가는 나는 한국사람 입니다."라고 말할 때, 그 '한국사람'이라는 지칭이 마치 '배우'로도 들리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 주변인들, 즉 외국인 근로자나 스펙 없는 청년 실업자 그리고 김인권처럼 만년 감초로 불리던 배우가 주연이 되는 영화. '방가 방가'가 유쾌한 건 그 전복이 주는 통쾌함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