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시크릿 가든', 도대체 어떤 엔딩이 최선입니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시크릿 가든', 도대체 어떤 엔딩이 최선입니까

D.H.Jung 2011. 1. 13. 08:16
728x90

'시크릿 가든'의 엔딩, 새드일까 해피일까

노트에 비가 올 날짜를 적고,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바라보며 그 모습을 그대도 똑같이 봤으면 좋겠다고 편지를 쓰는 김주원(현빈)의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시리게 만든다. 그는 뇌사 상태에 있는 길라임(하지원)과 영혼 체인지를 통해 그녀를 살리고 자신이 대신 죽으려 한다. 저 앞에서부터 밀려오는 검은 구름과 섬뜩하게 내리치는 번개. 그 속으로 길라임과 함께 차를 몰고 달려 들어가는 김주원. 비가 오기 직전, 하늘이 어둑해지고 쿠르릉 천둥소리가 울리는 그 전조만으로 가슴이 서늘해지는 것처럼, '시크릿 가든'은 어떤 설렘과 두려움이 뒤섞인 '전조의 드라마'다.

사실 이 전조는 첫 회에서 길라임이 화려한 액션을 선보이는 스턴트우먼으로 등장했을 때부터 이미 예고된 것이다. 왜 하필 스턴트우먼인가. 이런 질문을 던져본 시청자라면 그 직업이 갖는 위험성에 앞으로 그녀에게 벌어질 사고의 전조를 예감했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우스꽝스럽게 시작된 영혼 체인지라는 상황 역시 후반부에 김주원이 빗속을 뚫고 뛰어드는 장면의 전조가 된다. 두 사람의 영혼이 서로 묶여버리는 이 상황이 주는 코믹한 스토리들은, 그 영혼 중 하나가 죽음 앞에 서게 되면서 순식간에 비극으로 돌변한다.

이 희비극을 넘나드는 사랑의 이야기 역시, 김주원이 길라임을 만난 뒤, 자꾸만 자기 주변을 서성대는 길라임의 잔상을 느끼는 장면에서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만질 수도, 안을 수도 없지만 거기 분명히 늘 존재하는 그녀. 그것은 축복이면서 비극적이다. 그리고 이건 사랑의 본질이다. 사랑은 기억으로 존재하는 것이지 영원히 물질적인 세계에 남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후반부에 길라임 대신 뇌사에 빠졌던 김주원이 깨어난 후, 엘리베이터 사고 이후의 기억을 잃어버리는 건 이 드라마가 결국 가야됐던 숙명처럼 여겨진다. 그들은 거기서부터 다시 시작한다. 분명 만났던 것 같은 기시감은 있지만, 마치 처음처럼 시작되는 사랑같이.

'시크릿 가든'의 엔딩에 쏠린 지대한 관심과 다양한 해석들은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 때문이지만, 또한 이 드라마가 '전조의 드라마'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무언가 벌어질 것 같은 분위기가 역력한데다, 그 벌어지는 사건이 늘 시청자들이 기대했던 어떤 방향으로만 흘러가는 것도 아니다. '한 발 다가가면 두 발 도망가는' 김주원과 길라임의 관계는 핑크빛으로 물들다가 핏빛으로 변하는 종잡을 수 없는 행보를 보인다. 그러니 이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스토리에 언뜻언뜻 보이는 전조는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를 만들어낸다. 엔딩은 그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다.

아마도 이 사랑스런 커플의 해피엔딩을 요구하는 건 인지상정일 것이다. 하지만 통상적인 해피엔딩은 자칫 이 드라마가 구축해온 세계를 훼손할 수도 있다. 이 드라마는 신데렐라 이야기가 늘 그러하듯, 결혼에 골인하고는 "그래서 왕자와 신데렐라는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끝나는 그런 스토리를 그리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왕자와 신데렐라가 만나 완전한 소통에 이르는 길, 그래서 궁극의 행복에 도달하는 그 과정을 그리려 한 것이 '시크릿 가든'이다. 영혼 체인지는 바로 그 역지사지의 과정을 겪기 위해 동원된 방법이 아닌가.

만일 김주원이 길라임에게 몸을 내주고 대신 뇌사 상태가 되는 것으로 결말을 맺었다면 어땠을까. 그것은 과연 새드엔딩일까. '타자가 만나 완전한 하나가 되는 길'. '시크릿 가든'이 추구하는 이 주제의식을 두고 본다면, 김주원의 몸에 길라임의 영혼이 깃든 상태는 반드시 새드엔딩이라 치부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 길라임의 영혼이 차츰 세월을 겪으며 김주원의 몸과 완전히 동화되어갈 때, 그들은 비로소 완전한 하나가 될 테니까.

물론 이 드라마는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다시 김주원을 살려내고 청년 시절의 기억으로 되돌려 다시 길라임과의 사랑을 이어간다. 도대체 어떤 엔딩이 최선이 될까. 양자가 서로 만나 사랑하게 되었다거나 결혼에 골인했다는 식의 통상적인 엔딩이 과연 최선일까. 아니면 충격적일 수 있지만 오랜 여운을 남길 수 있는 새드앤딩 속에서 어떤 긍정을 찾아내는 게 최선일까. 이 '전조의 드라마'는 엔딩에 대한 어떤 전조를 미리 보여주었을까. 귀추가 주목되는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