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우리 시대, 가수란 어떤 존재인가 본문

옛글들/명랑TV

우리 시대, 가수란 어떤 존재인가

D.H.Jung 2011. 3. 29. 08:33
728x90

가수들의 예능출연을 바라보는 두 시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는 가수다'(사진출처:MBC)

우리 시대, 가수란 도대체 어떤 존재일까. 가수의 정체성을 묻는 질문은 해묵은 것처럼 보인다. 즉 90년대 비주얼을 내세운 기획형 아이돌 그룹들이 등장했을 때도 이 질문은 등장했었다. 하지만 그 때로부터 또 많은 것들이 변했다. 디지털 환경을 맞아 음반시대가 저물고 음원시대가 열렸다. 가수들은 더 이상 노래만 해서는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을 맞이했고 재빨리 대형기획사들은 방송사에 드라마에서부터 예능까지 아이돌들을 포진시켰다. TV 어디를 틀어도 아이돌을 발견할 수 있는 시대가 되어갈수록 '노래만 하는 가수들'이 설 무대는 점점 사라졌다.

가수들의 '예능-드라마 러쉬'가 이어졌다. 예능과 드라마를 모두 석권하고(?) 이른바 트리플 크라운을 이룬 이승기의 등장은 모두들 그를 경이롭게 바라보게 했지만, 이제 아이유가 '영웅호걸'에 출연하고 '드림하이'에서 연기를 한다고 해서 호들갑을 떠는 이들은 없다. 그만큼 가수들의 예능 드라마 출연은 그다지 새로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예능 프로그램이 아이돌뿐만이 아니라 이른바 '노래만 하는 가수들'이 설 자리까지 마련해주었다는 점이다. 아무도 찾아주지 않던 '세시봉 친구들'은 '놀러와'에 놀러온 후 세간에 주목을 받았다.

'세시봉 친구들'에서 확인한 것은 예능이 '노래하는 가수들'을 끌어안았을 때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나온다는 것이었다. 토크쇼에 나온 가수들은 노래에 스토리를 엮었다. 김태원은 '네버 엔딩 스토리'의 탄생배경을 특유의 재치 있는 입담으로 전해주었고, '세시봉 친구들'의 노래는 그들의 전설 같은 세시봉 시절 스토리와 결합되어 환상의 하모니가 되었다. 노래가 달라진 것은 아니었다. 다만 노래에 스토리가 곁들여지면서 노래에 대한 집중도가 그만큼 높아졌던 것이다.

이 변화하는 가수들의 환경과 대중들의 기호를 재빠르게 포착해 예능으로 끌어들인 건 쌀집아저씨 김영희 PD였다. 그는 '나는 가수다'를 통해 '노래하는 가수들'의 노래 자체에 대한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한편, 그 노래를 위한 최고의 무대도 만들었다. '세시봉'이 우연한 발견이었다면 '나는 가수다'는 적극적인 기획의 산물이었다.

'나는 가수다'는 제목처럼 가수의 정체성을 묻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논란을 야기했다. 즉 가수들이 '서바이벌' 같은 혹독한 예능의 장치 속에 들어가면서까지 노래를 해야 하는가 하는 전통적인 가수상에 힘이 실린 비판적 관점과, 가수들도 달라진 대중문화의 환경 속에 들어와 노래해야 한다는 우호적 관점이 갈렸다. 실제로 '나는 가수다'에서 노래를 부른 가수들의 곡은 순식간에 음원차트를 쓸어버렸다. 신보를 내고 활동을 하는 아이돌들이 순위권 바깥으로 밀려나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가수의 예능 출연에 대한 엇갈린 두 시선. 이것은 대중음악의 예능 종속인가, 아니면 예능과의 동거인가.

이러한 대중음악과 예능이 한 틀 속에서 공존하게 된 것은 예능의 환경이 바뀌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리얼 예능이 등장하면서 무언가 예능적인 기술들, 예를 들면 연기력이나 개인기 같은 것들이 그다지 필수요건이 되지 않게 됨으로써 현재 예능은 장르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인물들을 끌어들이는 블랙홀이 되었다. 김태원 같은 전설의 기타리스트가 국민할매로 불리고, 양준혁 같은 야구의 전설이 '남자의 자격'에 출연하게 된 건 모두 이 리얼 예능이라는 형식 덕분이다. 리얼 예능은 거꾸로 리얼리티를 더 강조해야 한다는 점에서 점점 더 개그맨 같은 예능 기술자(?)들에서 멀어져 새로운 분야의 인물들로 넓혀져 가는 추세에 있다.

'나는 가수다'는 가수들이 예능의 콘테스트 형식 속으로 들어온다는 점에서 단지 예능 출연을 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가수들의 정체성 논란이 더 증폭된 것은 그 때문이다. 음악 프로그램이 하지 못하는 것을 예능이 해줄 때, 음악은 또한 예능에게 해줘야할 몫이 있게 마련이다. '왜 가수는 그저 노래만 하면 안 되는가', 하는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은 일견 타당하지만, 이미 스토리텔링과 맞물리고 대중들과 더 밀착되어 호흡하기를 요구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런 지적은 심지어 보수적으로까지 읽힌다.

이제 달라진 환경 속에서 질문은 '왜 가수는 그저 노래만 해야 하는가'로 바뀌고 있다. 물론 애호가들이나 전문가들은 그저 노래만으로도 가수들의 음악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 콘텐츠들 속에서 대중들에게 노래는 배경음악이 되어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 배경음악을 다시 집중해서 듣게 만드는 방법으로서 예능의 툴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완전히 새로운 일도 아니다. 한때 뮤직비디오라는 이름으로 음악이 영상의 서사를 빌려왔던 것이나, 또 영화나 드라마 OST라는 장치를 빌어 스토리텔링을 하려 했던 것들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