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청춘합창단'의 감동, 시청률로는 안보여요 본문

옛글들/명랑TV

'청춘합창단'의 감동, 시청률로는 안보여요

D.H.Jung 2011. 7. 11. 10:01
728x90


시청률로는 볼 수 없는 '청춘합창단'의 감동

'남자의 자격': 사진출처(KBS)

이건 오디션이 아니다. 누군가를 심사하고 뽑는 자리라기보다는 그 분들의 삶을 듣고 느끼는 자리다. 그래서 '남자의 자격', '청춘합창단'의 단원을 뽑는 자리에서 한 쪽에 앉아있는 심사위원들은 이 온몸으로 오는 묵직한 삶의 이야기에 눈물을 주체하지 못한다. 그들이 어찌 감히 심사를 할 수 있으랴. 조금 음정이 불안하고 박자가 틀린다고 해도 날 것으로 다가오는 이 감동을 어찌 부정할 수 있으랴.

작년 '남자의 자격' 하모니편 합창대회에서 듣게 된 실버합창단의 노래에 모두가 알 수 없는 눈물을 흘렸던 것이 바로 이것이었다. 그 노래가 조금 힘에 벅차고 간혹 틀린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맞추기 위해 노력에 노력을 한 어르신들의 마음을 거기서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힘겨워도 그 무언가가 그토록 노래하게 한 어르신들의 그 마음을 고스란히 떨리는 목소리로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청춘합창단'의 첫 번째 오디션은 바로 그것을 다시 상기시켜 주었다.

33년간 교직생활을 하고 명퇴하여 이제는 춤과 노래를 즐기고 있다는 김우연(60) 어르신은 그 당찬 모습이 부르는 '비목'이란 노래와 그대로 어우러졌다. 일본에서 온 사카이 신지(53)씨는 일본 대지진으로 실의에 빠진 분들에게 희망을 주겠다는 그 마음이 어색한 한국어의 낱말 하나하나를 정성껏 발음해 부르는 '내가 만일'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단어에 신경써 주셔서 부르는 모습이 더 아름다웠다"는 박완규의 말은 허언이 아니었다.

84세의 고령에도 여전히 부끄럽고 귀여우신 노강진 할머니는 42살부터 줄곧 합창을 해올 정도로 음악을 좋아하지만 "나이가 먹어서 소리가 잘 안나요"라고 말했다. 하지만 어르신이 부른 아일랜드 민요 종달새는 바로 자신의 분신이었다. 힘겹지만 또박또박 음정과 박자를 지키려 안간힘을 쓰며 노래하는 어르신은 마치 종달새처럼 아름답게 비춰졌다. 노강진 할머니는 음악이 얼마나 즐겁고 사람을 아름답게 하는지를 몸소 보여 주었다.

"사랑하는 아내가 작년에 먼저 갔습니다" 하고 담담히 말하며 자녀들에게도 자신이 노래 부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는 홍기표(79) 할아버지가 부르는 '고향생각'은 가사 하나하나가 어른신의 마음을 대변하는 듯 했다. "해는 져서 어두운데 찾아오는 사람 없어-" 그래서일까. 그 분의 뒷모습에서 아마도 심사위원들은 저마다 자신의 아버지의 쓸쓸한 뒷모습을 발견했을 것이다. 한편 결혼하는 딸이 혼자 지낼 엄마를 걱정할까봐 혼자서도 잘 살 수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지원했다는 박원지(67) 할머니가 부르는 '무인도'도 마찬가지. 그 노래 속에는 홀로 무인도처럼 외로워도 굳건히 우뚝 서 있는 강한 엄마의 모습이 그려졌다.

15년 전 먼저 세상을 떠난 아들을 잊기 위해 '만남'이라는 노래를 계속 불렀다는 정재선(54)씨의 무반주 노래는 아무런 기교가 없어 그 진심이 그대로 전해졌다.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로 시작해서 "사랑해. 사랑해. 너를 사랑해."로 끝나는 그 곡은 아들을 향해 부르는 엄마의 노래였다. 금방이라도 떨어질 듯한 눈물을 참으려 입술을 꽉 깨무는 뮤지컬 배우 임혜영의 모습은 아마도 모든 시청자들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침체된 분위기를 일소해버린 요들 할머니 유혜정(62) 어르신은 또 어떻고. "저를 떨어뜨리면 굉장히 손해일 거예요. 제가 합창단의 기쁨조입니다."라고 말하는 그녀에게서는 여전히 소녀 같은 청춘이 깃들어 있었다.

'청춘합창단'은 여러 모로 점점 더 자극으로 치닫는 현재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정반대의 면모를 보여주는 아이템이다. 오디션이지만 심사가 아닌 공감이 더 빛나고, 경쟁보다는 협력의 의미가 더 크며, 무엇보다 노래에 있어 기교가 아닌 그 삶의 진심이 묻어나는 진정성이 살아있는 이 아이템은 현재 그 어느 예능 프로그램과도 대체 불가능한 것이다. 그 어떤 젊은이들의 오디션도 보여주지 못한 뜨거운 열정과 감동을 '청춘합창단'은 삶의 더깨가 그대로 드러나는 어르신들의 주름과 환한 웃음과 눈물로 그대로 보여주었다. 여러모로 일요일 저녁 시청률 경쟁 속에 묻히기에 이 깊은 감동은 너무나 아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