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당신도 욕하면서 '짝'을 보나요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당신도 욕하면서 '짝'을 보나요

D.H.Jung 2011. 9. 3. 08:09
728x90


'짝', 진짜 짝짓기 프로그램의 자극

'짝'(사진출처:SBS)

짝짓기. '동물의 암수가 짝을 이루거나, 짝이 이루어지게 하는 일. 또는 교미하는 행위.' 이 단어는 사람들의 만남에 쓰이는 게 아니다. "짝짓기를 합니다" 흔히 '동물의 왕국' 같은 프로그램에서 듣는 단어. 그런데 우리는 남녀가 나와 서로에 대한 속마음을 드러내고 마지막에 가서 커플이 되는 그런 프로그램을 '짝짓기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사실 의미 그대로 생각해보면 이 '짝짓기 프로그램'이라는 지칭 속에는 이 자극적인 성향에 대한 약간의 비판적 뉘앙스가 들어있는 셈이다.

'사랑의 스튜디오'나 '산장미팅 장미의 전쟁' 같은 예전 짝짓기 프로그램 속에도 일반인들의 사생활 노출이나 꺼내기 민망한 속내를 끄집어내는 자극적인 구석은 늘 있어왔다. 하지만 이들 프로그램에는 어떤 안전장치 같은 것이 있었다. 즉 프로그램은 물론 실제상황이지만 그 상황이 다분히 게임적인 틀로 이루어져 있었다는 점이다. 누가 누구를 선택하느냐에 대한 '짝짓기'적 시각의 자극은 바로 이 게임처럼 다루어지는 틀로 인해 어느 정도 용인되었다. 게임이란 출연자들이 속내를 드러내는 도구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숨길 수 있는 도구도 됐던 셈이다.

하지만 '짝'은 다르다. 이 프로그램은 지금껏 본격적으로 지상파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리얼리티쇼'의 첫 얼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리얼리티쇼가 전 세계적인 트렌드이면서도 우리네 지상파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것은 그 일반인들의 사생활을 낱낱이 드러내는 그 정서가 어딘지 잘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짝'의 출현은 다큐멘터리로 시작됐다. 마치 남녀의 심리를 탐구하는 다큐처럼 애정촌에 일단의 남녀를 투입하고 그들 사이에 일어나는 화학작용을 약간의 분석적(?) 시각으로 만들어냈던 것.

하지만 이것은 본격적인 리얼리티쇼의 서막에 지나지 않았다. 시청자들은 그것이 다큐멘터리라기보다는 리얼리티쇼에 가깝다는 것을 '감지'했고, 그러자 아예 '짝'은 노선을 바꾸었다. 어느 정도의 논란을 감수하더라도(어쩌면 논란을 활용하면서), 본격적인 진짜 '짝짓기 프로그램'을 선보이려 한 것이다.

마치 해외의 도촬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이 그런 것처럼 애정촌에 남자들와 여자들이 들어오고 그들이 하는 지극히 사적인 행위에 카메라가 달라붙는다. 그 사이에 벌어지는 지극히 본능적인 욕망들이 그들의 행동과 말에 의해 노출된다. 일반인 사생활 노출이 갖는 자극을 극대화하는 것. 게다가 간간히 제작진은 그들의 속내를 끄집어내기 위한 미션을 부여한다. 이것은 남녀의 심리를 파악하겠다는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면 어떤 실험적인 다큐멘터리가 될 수 있지만, 그 자체를 자극으로 끄집어내 보여주겠다고 하면 노골적인 '짝짓기' 중계가 된다. 성행위가 없지만(해외의 리얼리티쇼는 이것도 보여준다), 구애행위를 하는 그들의 모습 역시 본능을 바라본다는 점에서는 큰 자극인 셈이다. 게다가 때로는 자극적인 속내를 꺼내기 위해 익명성을 장치로 사용하기도 한다. 쪽지에 각자 궁금한 점을 적고, 그것을 무작위로 뽑아서 남자를 세워두고 질문하는 건 그래서 대단히 자극적인 장치가 된다. 이런 미션에서, '속궁합'에 대한 질문이 나오는 건 그래서 놀랄 일이 아니다.

이름이 아니고 남자○호, 여자○호로 불리는 것은 분명 그들의 최소한의 사생활을 지켜주기 위한 장치다. 또 가끔씩 거기 출연자들의 행위나 말을 통해 남자와 여자의 일반적인 심리론을 덧붙이는 것도 자극을 유화시키기 위한 장치다. 하지만 이것은 장치이자 명분이기도 하다. 진짜 '짝짓기'를 날 것으로 보여주기에는 아직 대중정서가 이를 용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당한 포장이 필요한 것이다.

'짝'은 자극적이다. 우리가 막연히 감추어놓았던 그 사적인 것들을 카메라가 들여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 사적인 것들은 결혼이나 사랑이라는 단어로 포장된 남녀 관계의 세계를 '짝짓기'의 본능적인 세계로 바라보게 만든다. 반감이 생길 수밖에 없다. 거기 출연자들은 어쩌면 우리들의 욕망을 대리할 수 있는 캐릭터이기도 한데, 그들의 사생활이 벗겨지는 것은 또한 우리들이 숨겨놓은 사생활이 벗겨진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성적인 판단이 만들어내는 논란은 끝이 없다. 하지만 그럴수록 본능을 바라보고픈 욕망도 커져가는 것이 사실이다. '짝'은 어쩌면 전통적으로 용인된 짝짓기 프로그램의 연장선 위에서 우리 방송에는 좀체 들어오기 힘들었던 리얼리티쇼를 조금씩 중독시키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짝'이 향후 점점 더 많아질 지상파의 리얼리티쇼의 첨병처럼 여겨지는 건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