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하이킥3', 돌아온 희비극의 매력 본문

옛글들/명랑TV

'하이킥3', 돌아온 희비극의 매력

D.H.Jung 2011. 9. 22. 16:22
728x90

'하이킥3', 이 희비극의 마법은 어떻게 가능할까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사진출처:MBC)

김병욱 감독의 하이킥 시리즈가 다시 돌아왔다. 이번엔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이 시트콤 역시 김병욱 감독 특유의 희비극이 녹아있다. '짧은 다리'는 비극적인 요소지만, 그것을 하이킥으로 날려버리는 유쾌한 역습이 희극적으로 다뤄진다. 즉 상황은 비극 그 자체지만 이것을 과장하거나 비트는 것으로 비극은 희극이 된다. 말 그대로 '역습'인 셈이다.

하루아침에 부도로 빚쟁이들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어버린 안내상의 가족. '동행' 같은 다큐멘터리에서나 나올 법한, 안내상 가족의 봉고차를 전전하며 살아가는 모습은 소재적으로 보면 절망적인 사건이다. 또 취업이 되지 않아 고시원을 전전하며 학자금 대출에 허덕이는 백진희도 전형적인 청년실업의 비극을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이 비극은 '하이킥3'의 시점으로 비틀어 보면 유쾌한 풍자를 담아낸 희극이 된다.

길바닥에서 조촐하게 치러지는 안내상의 아내 윤유선의 생일 풍경은 전형적인 홈리스들의 비극을 담고 있지만, 그 장면은 갑자기 터져버린 폭죽이 안내상의 엉덩이를 때리고 마치 ET의 한 장면처럼 하늘을 날아가는 과장된 장면으로 희극이 된다. 당숙에게 도움을 받으러 갔지만 이미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알게 된 안내상이 자살하기 위해 바다로 뛰어들고 이를 막기 위해 가족들이 바다로 뛰어드는 장면도 진지하게 바라보면 비극 그 자체다. 하지만 갈아입을 옷이 없어 배꼽티를 입은 안내상의 모습에 가족이 웃음을 터트리는 장면은 비극 속의 희극을 포착해낸다.

이런 현재 우리가 당면한 현실은 이 시트콤의 첫 회에서 잠깐 미래의 이적이 회고담 형식으로 2011년을 얘기하면서 스케치된 적이 있다. "2011년은 유별난 해는 아니었다." 이렇게 내레이션은 시작되지만 그 장면에는 대조적으로 대지진, 천재지변, 아프리카의 민주화열풍으로 죽고 싸우는 사람들이 흘러나왔다. 그 중 우리나라는 "고물가, 트위터, 현빈, TV오디션 프로그램, 안철수, 그리고 여전히 돈 돈의 해였다"로 묘사되었다. 결국 2011년의 풍경을 담아낼 이 시트콤이 뒤틀어 보여줄 현실들을 나열한 셈이다.

도대체 이 결코 녹록치 않은 힘겨운 2011년의 풍경들은 어떻게 웃음의 소재가 될 수 있을까. 그것은 이 시트콤이 미래의 한 시점에서 이제 할아버지가 된 이적이 과거를 회고하는 관점으로 2011년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닥친 현실은 비극이지만 지나고 나면 하나의 희극 같은 추억이 될 수 있는 게 우리네 삶이 아닌가. 이것은 저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회자되었던 채플린의 명언,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라는 구절과 상통하는 얘기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은 여타의 하이킥 시리즈가 그래 왔던 것처럼 현실의 비극적인 한 단면을 가져와 그것을 한바탕 웃음으로 바꿔놓는다. 겨우 20분 남짓의 짧은 한 방이지만 힘겨운 일상을 살아가는 서민들에게 이 짧은 한 방의 하이킥이 던지는 통쾌함이 어찌 적다 할 것인가. '하이킥3'의 매력은 바로 이 절망조차 웃음으로 돌려놓는 희비극의 마법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