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예능에는 야생 수컷호랑이, 왜? 본문

옛글들/명랑TV

예능에는 야생 수컷호랑이, 왜?

D.H.Jung 2011. 10. 14. 09:44
728x90


강호동에 이어 임재범 수컷호랑이로 자리한 까닭

'바람에 실려'(사진출처:MBC)

요즘 예능에는 야생 수컷호랑이가 출몰한다? '일밤'의 새로운 코너 '바람에 실려'는 마치 '동물의 왕국' 같은 분위기로 시작되었다. 붉은 조명 아래 음영이 잡힌 임재범의 날카로운 눈빛이 화면을 가득 채우며 등장한 뒤, 자막은 그를 '예능 밀림에 뛰어든 야생호랑이'로 설명했다.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출정식에서도 임재범의 느낌은 야생 그 자체였다. 어슬렁어슬렁 걸어 들어온 그와, 이어 소개된 선 굵은 배우 김영호의 등장은 묘한 긴장감을 만들었다. 지상렬은 "느낌 자체가 사자와 호랑이예요"라고 이 분위기를 설명했다.

흥미로운 건 이 야생의 팽팽한 느낌이 웃음으로 바뀌는 과정이다. 그들을 사자와 호랑이로 비유한 지상렬에게 임재범이 "그렇다면 그대는?"하고 묻자 "형님의 먹잇감?"이라고 답하는 식으로 긴장을 살짝 살짝 무너뜨리는데서 웃음이 생겨난다. 대장이라 불러야 될지 형님이라 불러야 될지 고민이라는 지상렬에게 임재범이 "대장은 건강해요"라고 답하고, "오늘 컨디션은 어떠세요?"라는 질문에 제품 광고하듯 "컨디션!"하고 엉뚱한 답변을 던지는 식이다. 또 임재범의 야생의 느낌을 세워 주변인물들이 꼬리를 내리는 모습도 웃음으로 만들어낸다. 지상렬이 "재범이 형님과 촬영할 때는 기저귀차고 나와야 돼요"라는 말은 그런 야생의 긴장관계에서 나오는 유머다.

그런데 이 '야생 호랑이'라는 표현이 낯설지가 않다. 이것은 바로 '1박2일'에서 강호동이 스스로를 표현하던 것이다. "시베리아 야생 수컷 호랑이!" 이 선언은 '1박2일'의 야생을 위해서 한 몸 기꺼이 던지겠다는 선언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강렬한 야생의 느낌을 세워두고 그것을 통해 예능의 웃음을 뽑아내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 집단에서의 강력한 카리스마(그것도 야생의)는 그 자체로 위계질서를 만들고, 이것은 예능의 이른바 '서열 놀이'의 전제가 된다. 군대 개그가 재밌는 것은 바로 이 위계를 깨는 지점에서, 혹은 그 과장된 위계 그 자체가 웃음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야생 호랑이'의 이 같은 예능 출몰(?)은 그런 웃음의 목적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말 그대로 야생의, 즉 '날 것의' 프로그램을 보여주겠다는 얘기기도 하다. '1박2일'이 때로는 꾸며지지 않은 날 것의 '다큐' 같은 느낌을 주는 것처럼, '바람이 실려' 또한 그런 장면을 보여줄 것이라는 예감. 물론 그 중심에는 어디로 튈 지 알 수 없는 야생 호랑이 임재범이 있다. 이미 많은 관계자들을 통해 알려진 것처럼, '바람이 실려'의 미국 촬영은 변수와 의외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실로 제작진에게는 고역이었겠지만 그만큼 임재범의 돌발 행동 그 자체가 이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스토리가 되고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이 야생의 프로그램을 통해 '바람이 실려'는 도대체 무엇을 보여주려는 걸까. 임재범의 존재감에 가려 잘 드러나지 않았지만 이미 이 프로그램은 시작과 함께 그 의도를 자막으로 보여준 적이 있다. 그것은 '음악과 생존의 공존' 그리고 '대자연 속에서 만들어가는 새로운 노래'다. 즉 '일밤'의 '나는 가수다'가, 만들어진 음악의 퍼포먼스를 무대 위에서 보여준다면, '바람이 실려'는 그 음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추적하는 프로그램이다. 예술의 탄생은 우리가 무대에서 봤던 퍼포먼스처럼 그렇게 깔끔하지는 않다. 오히려 일상의 틀을 깨는 그 무언가가 예술을 아름답게 만든다. 그것을 위해 낯선 곳을 기웃거리고 체험하면서 그 속에서 느껴지는 그 무언가를 예술로 만들어내는 것. 이것이 '바람이 실려'가 보려주려는 것이다.

예능에 야생 수컷 호랑이가 출몰하는 것은 거꾸로 작금의 예능이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이제 예능은 야생 그 자체를 지향하게 되었고, 거기서 생겨나는 돌발적인 경험들을 재미의 차원으로 담아내게 되었다. 그 야생이 음악과 기묘하게 공존하는 건 그 창작의 과정이 지극히 영감에 의한 돌발적인 순간에 벌어진다는 점에서 야생을 닮았기 때문이다. 마치 아기가 태어날 때의 그 야생적인 느낌 그대로, 우리는 어쩌면 '바람이 실려'를 통해 음악이 태어나는 그 날것의 장면을 목격하게 될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