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뿌리', 웬만한 장르는 다 있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뿌리', 웬만한 장르는 다 있다

D.H.Jung 2011. 10. 26. 11:58
728x90


'뿌리', 장르의 종합선물상자된 이유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뿌리 깊은 나무'의 첫 시작은 액션 스릴러였다. 궁에 겸사복으로 들어온 채윤(장혁)이 세종(한석규)을 살해하기 위해 상상으로 재구성하는 액션 신은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그렇게 시작된 액션은 채윤의 어린 시절인 똘복(채상우)과 세종의 젊은 시절인 이도(송중기)의 이야기로 넘어가면서 정치드라마라는 장르로 옮겨간다. 세종과 태종 이방원(백윤식) 그리고 정도전 일파의 정치 대결구도가 그것이다.

이 정치 대결의 이야기는 그러나 정치드라마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무휼(조진웅)과 조말생(이재용)의 대결구도로 넘어가면서 액션 장르와 뒤섞인다. 태종이 밀본(정도전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결사)을 찾아내는 과정은 정치적인 해석과 지적인 추리가 절묘하게 얽혀있는 시퀀스였다. 그리고 이제 이 사극은 집현전 학사 연쇄살인사건을 추적하는 채윤의 이야기를 통해 '별순검'이 일찍이 가져왔던 조선판 CSI식의 추리를 본격화하고 있다.

물론 그 중간 중간에 건익사공(작은 대롱에 한 줌 물로 사람을 일사시키는 기술)이나 출상술(일종의 경공법)같은 무협적인 요소까지 가미시키고, 왕이 쌍소리를 하고 똥지게를 지며 개소리(?)를 연구하는 식의 코믹적인 요소도 빼놓지 않는다. 이 정도면 사극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장르들을 소화하고 있는 셈이다. 장르 사극의 종합선물세트라고 할까.

사극이 퓨전화되고 장르화되면서 하나의 새로운 사극은 다른 사극에 그만큼 밀접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역사 바깥으로 나온 사극이라는 공간이 장르화를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래서 '뿌리 깊은 나무'는 여러 기존 사극들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반촌의 이야기에서는 '제중원'이나 '성균관 스캔들'이 엿보이고, 추리적인 요소는 '별순검'이, 액션적인 요소는 '추노'가, 정치적인 요소는 기존 정치사극들이 떠오른다. 실제로 송중기와 장혁의 조합은 그들이 출연했던 작품들을 연상케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조합에도 불구하고 '뿌리 깊은 나무'는 어떻게 기존 사극들 그 이상의 장르적 재미를 보여주고 있는 걸까. 아마도 이것은 스토리도 스토리지만 장태유PD의 연출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연출적인 측면만 빼놓고 보면 이 사극은 우리네 사극들의 전통보다는 오히려 (장르 운용에 묘가 있는) 미드가 가진 장르적 전통을 더 따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궁 안에서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사건들은 '24'같은 미드의 긴박감을 연상시키고, 채윤이 북방에서 벌이는 전투 신들은 '글래디에이터'처럼 인물에 집중함으로써 불필요한 스펙타클의 비효율을 넘어선다.

무엇보다 '뿌리 깊은 나무'가 성취하고 있는 것은 이렇게 다양한 선대의 사극들이 해놓은 성과와 다채로운 장르들이 결합하고 있으면서도 마치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는 점일 것이다. 정치적인 이야기와 액션 그리고 추리가 각각 따로 노는 것이 아니라 모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얘기다. 이것은 사극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이기도 하다.

사극만큼 다양한 장르와 소재의 실험이 가능한 공간은 없다. 사극은 역사는 물론이고, 역사 바깥의 무궁무진한 이야기의 가능성이 열려진 공간이다. 옛이야기가 가진 힘은 현대극의 장르들이 실험할 수 있는 한계를 훌쩍 넘어서게 해준다. 그러니 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을 거쳐 장르사극까지 넘어온 마당에 사극이 실험할 수 있는 것이 더 이상 없다고 한탄할 일은 아니다. 오히려 지금껏 거쳐 온 이 모든 것들을 조합하고 변용하는 것만으로도 사극의 새로운 세계를 끊임없이 창출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지금 그 사극의 무한한 가능성을 우리 앞에 펼쳐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