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나는 청중이다, '나가수'의 진면목 본문

옛글들/명랑TV

나는 청중이다, '나가수'의 진면목

D.H.Jung 2011. 11. 3. 08:52
728x90


'나가수', 문제도 해법도 청중에게 있다

'나는 가수다'(사진출처:MBC)

'나는 가수다'는 가수의 무대일까, 청중의 무대일까. 가수의 정체성을 묻는 제목을 보면 마치 이 무대가 가수가 주인공인 무대처럼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나는 가수다'는 철저히 청중과 대중이 주인공인 무대다. 이 무대가 특별한 것은 가수들보다는(그렇다고 그들이 특별하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청중들 덕분이다. 아주 미세한 숨소리까지 긴장하며 들어주는 청중이 있기 때문에 가수들은 더 긴장하고 자신의 전력을 다하게 된다.

게다가 이 가수들은 지금껏 TV를 통해서는 '들어주는 귀'가 별로 없던 가수들이다. 그러니 이런 청중이 있는 무대가 주는 힘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제 아무리 가창력이 좋은 가수라고 해도 '들어주는 귀(이것은 양적인 문제가 아니라 질적인 문제다)'가 없다면 아무런 의미도 없을뿐더러 잘 부르지도 못할 것이다. 노래는 '공감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라이브 현장에서 관객과 함께 호흡하며 부르는 노래가 더 깊은 감흥을 주는 건 그런 이유다.

하지만 청중들의 귀는 훈련받은 귀가 아니라 그저 감성과 자극에 솔직한 귀다. 그러니 자극이 강한 지르는 창법의 노래는 상대적으로 차분하게 부르는 노래보다 먼저 더 귀에 박히기 마련이다. 조규찬의 도전 첫 라운드에서의 탈락과, 특집으로 기획된 '나가수 출신 가수들'의 경연에서 이소라가 7위를 한 것에 대해 이른바 '막귀 논란'이 생긴 건 이러한 가수별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어 보이는 경연 시스템 때문이다.

그래서 대중들은 전문가들에게 일정 부분 경연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를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 장르적인 고려가 가능해져 좀 더 다양한 가수들이 이 무대에 설 수 있게 될 테니 말이다. 지당한 말이다. 그런데 대중들의 '막귀 논란'에 대한 지적은 어딘지 논리적인 모순처럼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들이 막연히 '나는 가수다'의 청중이라고 지칭하는 그들은 어쩌면 바로 우리들 자신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청중평가단을 신청할 수 있고 평가단에 선정되면 투표할 수 있다.

즉 우리가 '막귀'라는 지적하는 그들은 사실은 우리 자신이다. 김영희PD가 "지금 청중평가단도 달라지고 있다"고 얘기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런 막귀 지적이 마구 쏟아져 나오는 것이 바로 그 달라지고 있는 청중들을 말하고 있는 것이니 말이다. 이 말은 '나는 가수다'의 투표 시스템이 결국 청중에게 달려 있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거기에 문제제기를 하는 순간 이미 그 해결책도 제시되는 셈이란 얘기다.

본래 투표 시스템이라는 것이 그렇다. 누가 더 낫고 못하다는 것을 어떻게 절대적인 기준으로 따질 수 있을까. 다만 한 명을 뽑는 것이니(물론 '나가수'는 세 명을 투표하지만) 각자 청중들이 각자의 취향에 따라 투표하는 것뿐이다. 그런데 이 투표하는 청중들도 여론을 인식하고 있다. 지르는 노래가 당장 귀에는 들어오지만 그것만 좋은 노래가 아니라는 것을 차츰 알아가고 있다. 그러니 '나는 가수다'는 어느 순간에는 지르기만 하는 가수를 외면하게 될 지도 모른다. 그것이 어딘지 촌스러운 발악처럼 여겨질 지도.

'나는 가수다'에 변화를 요구하는 대중들의 목소리는 그 자체로 이미 변화를 담보하고 있다. 그것은 '나는 가수다'라는 무대가 애초부터 가수들의 무대가 아니라 청중들의 무대였기 때문이다. 청중들이 원하는 것을 가수들은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의 노력을 들여 부르는 것뿐이다. 그리고 이것은 가수들의 존재이유이도 하다. '나는 가수다'라는 가수들의 자기존재 증명은 홀로 자기감정에만 빠져 노래하는 가수가 아니라 거기 앉아 있는 청중들과 호흡하는 데서 나온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가수다'의 진면목은 어쩌면 '나는 청중이다'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