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뿌리', 무(武)보다 흥미로운 문(文)의 전쟁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뿌리', 무(武)보다 흥미로운 문(文)의 전쟁

D.H.Jung 2011. 12. 2. 09:03
728x90


한글창제의 의미 되살린, '뿌리'의 가치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뿌리 깊은 나무'에서 세종 이도(한석규)는 내금위장인 무휼(조진웅)에게 묻는다. "무술로 따진다면 내 언변은 어느 정도 실력이 되느냐?" 그러자 무휼은 "조선 제일... 아니 천하 제일검이십니다"라고 말한다. 이러한 비유는 칼보다 강하고 파괴적일 수 있는 글이 가진 힘을 잘 보여준다. 세종은 자신의 논리라는 검으로 글자를 만드는 것에 반대하는 이들을 추풍낙엽처럼 쓸어버린다.

물론 '뿌리 깊은 나무'에 무(武)의 대결이 주는 흥미로움이 없는 건 아니다. 출상술을 쓰는 이방지(우현)와 무휼이 조선제일검의 자리를 놓고 부딪치는 대결이 그렇고, 강채윤(장혁)과 윤평(이수혁)의 쫓고 쫓기는 대결이 그렇다. 하지만 더 흥미로운 건 문(文)의 대결이다. 한글을 만들고 반포하려는 세종과, 그 후폭풍을 감지하고 이를 결사적으로 막으려는 밀본 정기준(윤제문)의 대결.

집현전을 폐지하고서라도 한글을 반포하려는 세종은 한글이 가진 힘을 잘 알고 있다. 그는 "글자를 알면 밥이 나오냐, 양반이 되는 것이냐"고 묻는 강채윤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글자를 알면 백성도 힘이 생긴다. 밥이 나오지는 않지만 밥을 더 많이 만드는 법을 알게 될 것이고 양반이 되지는 않지만 양반들에게 그렇게 힘없이 당하지만은 않는다." 이것은 지식이 권력이던 시대에 글을 독점하던 양반들에게 한글 반포가 공포 그 자체가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래서 장원급제를 한 반촌 노비 서용에 분개한 어린 유생 박세명이 그를 죽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한다. 글이라는 것이 사람 목숨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힘을 갖고 있다는 반증이다. 가리온으로 위장한 정기준은 강채윤에게 이렇게 말한다. "글자만이 오로지 힘인 분들이니 저에게는 검안이고 겸사복 나리께서는 칼이 아니겠습니까요. 가리온이 가리온인 이유는 검안을 잘하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요. 저에겐 그것밖에 없습죠. 저 양반네들은 더 하지 않겠습니까요."

글자를 독점한다는 것은 사실 엄청난 권력을 의미한다. 서양의 종교개혁에서 중요한 것이 라틴어가 아닌 자국의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점과 쿠텐베르크의 인쇄술이다. 이로써 특정인들만이 독점할 수 있었던 종교적 지식이 일반인들에게도 전파되면서 개혁이 이뤄졌다는 얘기다. 그만큼 글의 힘은 칼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해내기도 한다. '뿌리 깊은 나무'에서 태종 이방원(백윤식)이 칼로서 권력을 휘어잡으려고 했다면, 세종 이도는 글로써 독점된 권력을 백성들에게 나눠주는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너만의 조선이란 무엇이냐"는 태종의 질문에 세종은 결국 답변을 준 셈이다.

지금껏 많은 사극들이 있었지만, 이처럼 문(文)의 힘과 문(文)의 대결을 흥미진진하게 다루는 사극은 없었다. 물론 전쟁과 정치, 혹은 인물의 성장, 장르화된 사극 속에서도 말이 갖는 힘은 그 어떤 액션이나 스펙터클보다 강하게 시청자들의 마음을 파고들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뿌리 깊은 나무'처럼 철학적인 깊이를 가지면서도, 그것을 단지 사변이 아닌 팽팽한 대결구도로 그려내는 사극은 일찍이 없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쓰고 있는 이 한글이 가진 가치를 발견하는 일은 이 사극의 또 다른 재미이자 의미다. 무(武)보다 센 것이 문(文)이라는 그 말이 실감나는 사극, 바로 '뿌리 깊은 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