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뿌리', '지랄'로 풀어낸 소통의 사극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뿌리', '지랄'로 풀어낸 소통의 사극

D.H.Jung 2011. 12. 24. 09:21
728x90


소통에 더 갈급한 세상, '뿌리'의 선택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지랄하고 자빠졌네." '뿌리 깊은 나무'에서 '지랄'이라는 대사는 극 전개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화두다. 어린 세종 이도(송중기)가 죽은 아버지 앞에 오열하며 "지랄하지 말라고 그래!"하고 소리칠 때, 그 '지랄'은 이도의 뒤통수를 때렸다. 복잡한 말 장난 같은 이념과 철학의 대결구도 속에서 고뇌하고 힘들어할 때, 이 어린 백성의 한 마디 '지랄'은 오히려 이도에게 속 시원함을 안겨주었을 것이다. 뭐가 그리 복잡한가. 저리 힘들어하는 백성이 있는데.

'지랄'. '마구 어수선하게 떠들거나 함부로 분별없이 하는 행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을 뜻한다. 하지만 이 사극의 대사 속에서 사용되는 '지랄'은 이런 사전적 의미보다는 그럴 듯한 논리가 아닌 직관적으로 사태를 사정없이 드러내는 장치다. '지랄' 앞에 논리란 필요 없다. 그저 그런 속된 말이 나오는 현실만이 던져질 뿐이다. 논리가 가진 자들의 무기라면, 욕은 없는 자들의 무기다.

성장한 세종(한석규)이 등장해 처음 던지는 대사가 '지랄'에서 시작되어 진화된(?) '염병', '우라질'이라는 사실은 이 캐릭터에 대해 많은 걸 얘기해준다. 탁상공론처럼 양반행세하며 입바른 소리하는 권력자들과 집현전에서 토론하는 장면에서 세종은 하나하나 논리로서 대응하지만, 그런 그의 입매에는 묘한 조소가 달려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지랄하고 자빠졌네'라는 말을 들었을 때 그가 느꼈던 그 한 백성의 소회를 입바른 소리하는 신하들에게서 똑같이 느끼기 때문일 게다. 세종은 '지랄'을 통해 처음 백성과 소통했고, 그것을 잊지 않음으로써 백성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위한 글자 창제에 투신하게 된다.

'뿌리 깊은 나무'는 지금껏 세종을 다룬 사극들이 한글의 창제 과정과 그 위대함에 대해 상찬하던 것과는 달리, 창제된 한글을 배포하고 유포하는 과정에 더 방점을 찍었다. 이미 백성들과 소통할 글자를 만들었는데 그 소통체계를 반대하는 무리들과의 한 판 전쟁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다. 밀본의 본원 정기준(윤제문)은 세종과의 독대를 통해 그가 하려 했던 한글 반포의 의미를 퇴색시킨다. 그것은 백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세종 자신을 위한 것이라는 것. 한글 하나 던져주고 알아서 살라는 것은 임금으로서의 직무유기라는 것. 이 뱀의 혀를 가진 정기준의 말은 세종의 트라우마를 건드린다. 자신 때문에 죽어나가는 백성이 더 이상은 생기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며, 그래서 '백성을 위한다는 것'이 오로지 임금의 고단함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원천이었던 세종에게 정기준은 그것이 '백성이 아닌 너를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렇게 요사스런 말의 논리를 깨부수는 건 역시 '지랄'이었다. 그 말에 내상을 입은 세종이 고뇌하고 있을 때, 처음 '지랄'을 알려준 채윤(장혁)이 또다시 일갈한다. "지랄을 하고 계십니다." '백성을 사랑한 적이 없고 대신 미워했다'는 정기준의 논리를 그대로 가져와 채윤은 "그것이 바로 사랑"이라고 말한다. 글을 알게 됨으로써 백성들의 욕망이 생겨나고 그 욕망으로 인해 지옥이 생길 거라고 비관한 정기준의 논리에 채윤은 "소이가 꿈이 생겼다"는 말로 반박한다. 사상과 이념의 논리 앞에 채윤이 던지는 '지랄'은 이처럼 백성들의 목소리를 고스란히 세종에게 전해준다. 한글 반포와 유포를 막는 자들 앞에 목숨을 던져 넣으면서 죽어가는 세종의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렇게 말한다. "멈추지 마십시오." 무엇을? 소통에 대한 노력이다.

'뿌리 깊은 나무'가 창제보다는 반포와 유포 과정에 천착하고, 그 유포 과정에서 현대적 의미를 떠올릴 수 있는 SNS나 '사랑의 편지' 같은 방법들이 제시되는 것은 이 작품이 갖고 있는 소통에 대한 갈급을 말해주는 것이다. 백성들의 언어, '지랄'을 화두로 시작된 '뿌리 깊은 나무'는 그래서 왕과 백성 간의 한글을 매개로 하는 소통을 그려냈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현대인들에게도 깊은 여운을 남긴다. 우리가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이 바로 이 '지랄'로 표현되는 직설적이지만 정직한 대중들의 정서와 그 소통이 아닌가. '지랄'이라는 속된 말이 이토록 가슴을 울렸던 것은 그 속에 담겨진 절절한 소통의 욕구가 드라마에 묻어났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