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한석규 신하균, 대상이 시사하는 것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한석규 신하균, 대상이 시사하는 것

D.H.Jung 2012. 1. 2. 10:52
728x90


드라마 연기의 새 차원 보여준 한석규 신하균

'SBS연기대상'(사진출처:SBS)

만일 한석규와 신하균이 없었다면? '뿌리 깊은 나무'와 '브레인'은 반쪽 자리 드라마가 됐을 것이다. 그만큼 이 두 사람의 연기는 드라마의 차원을 달리하게 만들었다. 한석규는 짧은 순간에도 계속 해서 변화하는 감정의 선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연기해 세종 이도라는 역사책 속의 박제된 인물을 우리 눈앞에 생생하게 살아있는 인물로 되살려냈다. 신하균은 인간의 내면을 꿰뚫는 깊이 있는 연기로 선악의 차원을 뛰어넘는 욕망과 좌절의 이강훈이란 캐릭터를 창출했다.

사실 TV를 통해, 그 중에서도 드라마를 통해 얼굴을 보기가 어려운 이 두 사람이 2011년 마지막 날, SBS와 KBS에서 각각 연기대상을 받은 것은 드라마계에 상당한 의미를 던져준다. 물론 영화인들이 드라마로 진출하는 것은 그다지 새로운 일은 아니지만, 어쩌면 2011년을 기점으로 이것이 가속화될 가능성을 이 두 사람을 통해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와 영화의 연기는 그 장르적 특성 상 다를 수밖에 없다. 영화는 큰 스크린에 담겨지기 때문에 연기자에게 좀 더 섬세한 감정 연기를 요구한다. 또 완성된 작품을 다 찍은 후에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연기에 있어서도 좀 더 완성도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드라마는 좀 더 일상 속에 들어와 있는 특성 때문에 연기한다는 느낌이 묻어나지 않을 만큼의 자연스러움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또 시간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완성도도 중요하지만 순발력을 요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르적 구분은 이제 그다지 의미가 없어지게 되었다. 한석규와 신하균이 보여준 연기의 차원은 영화 속에서의 그 극화된 느낌이 있지만 확실히 섬세하고 완성도 높은 것이었다. 죽은 광평대군 앞에서 오열하는 세종을 연기한 한석규는 그 짧은 시간 속에 끊임없이 변화하는 감정을 표정에 담아내는 놀라운 연기를 보여주었다. '뿌리 깊은 나무'의 김영현, 박상연 작가는 한석규의 이런 섬세한 감정연기에 대한 믿음을 "대본에 여백을 많이 주었다"는 말로 표현했다. 작가들은 오히려 한석규가 그 장면의 감정연기를 어떻게 해석해내는가가 매번 궁금할 정도였다고 말했다.

한편 신하균이 연기하는 이강훈이라는 캐릭터는 실로 연기자로서는 쉽지 않은 캐릭터다. 과거 '하얀거탑'의 장준혁(김명민)이 보여주던 그 폭주하는 욕망을 다시 발견할 수 있으면서도, 어딘지 잔뜩 상처입어 독기가 오를 대로 오른 이강훈이라는 인물은 그 뾰족함에도 불구하고 연민을 느끼게 만드는 캐릭터다. 광기어린 눈빛 속에 가끔씩 드리워지는 텅 빈 공허감이나 한없이 약하게 느껴지는 처연함은 신하균이 아니라면 도무지 담아내기 어려운 연기의 영역이다. '브레인'은 그래서 하균신이라고까지 불리게 된 신하균의 힘이 절대적인 힘을 발휘한 드라마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석규와 신하균이 나란히 연기대상을 받은 것은 그래서 이제 드라마에서도 연기의 차원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후로 읽힌다. 즉 연기의 차원이 달라지고 있다는 건, 작품의 차원이 달라진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제 드라마는 그저 일상 속에 틀어놓는 그런 장르가 아니라, 영화처럼 좀 더 집중해서 몰입하는 장르가 되었다는 얘기다. 그래서 이제 드라마에서도 필요한 것은 영화가 갖고 있던 수준의 대본과 연기와 연출의 완성도가 되었다. 그만큼 대중들의 눈높이는 한껏 높아졌다. 한석규와 신하균의 대상 수상이 앞으로의 드라마에 시사하는 바는 이만큼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