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빛과 그림자' 특정인물과 상관없음, 진짜?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빛과 그림자' 특정인물과 상관없음, 진짜?

D.H.Jung 2012. 1. 26. 09:41
728x90


'빛과 그림자'와 역사 속 실제인물

'빛과 그림자'(사진출처:MBC)

'이 드라마는 특정인물이나 사건과 관련이 없으며 당시 시대상을 배경으로 창작되었습니다.' 드라마를 보다보면 시작 전에 이런 자막을 내보내는 경우가 있다. '빛과 그림자'도 그런 드라마 중 하나다. 특정 시대를 다루기 때문에 그 시대의 인물들이 드라마 속 인물과 겹쳐져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무리 이런 자막을 내보내도 드라마 속 인물들이 역사 속 실제 인물을 떠올리게 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인가 보다. 그래서 자막을 굳이 붙이는 것이겠지만. 어쨌든 '빛과 그림자' 같은 시대극은 이 가상의 캐릭터와 실제인물을 맞춰보는 재미 역시 쏠쏠한 드라마임에 틀림없다.

'빛과 그림자'는 현대사에서도 가장 드라마틱했던(물론 실제로는 암울한 역사였지만) 박정희 군부독재 시절을 다루고 있다. 워낙 드라마틱했기 때문에 이 시절을 다룬 드라마가 꽤 있었지만 '빛과 그림자'는 이 시절을 영화사, 가요사 같은 대중문화사의 눈으로 바라봄으로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드라마에 전면으로 '각하'가 등장하진 않지만 '각하'의 존재감은 이 드라마의 기본전제가 된다. 장철환(전광렬)이나 김부장(김병기)이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며 드라마에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근거는 바로 이 '각하'에 대한 충성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특정인물과 상관없는 가상의 인물'이지만 서로 못 잡아먹어 으르렁대는 장철환과 김부장에서 차지철과 김재규를 떠올리게 되는 건 그런 이유다. 그만큼 당대의 권력자들인데다 그 팽팽한 대립이 결국 궁정동의 총성으로까지 이어진 시대의 인물들이 아닌가. 각하를 두고 벌어지는 비서실과 중정의 대립은 그래서 이 드라마의 기본 얼개가 되어 있다. 그 밑으로 장철환의 비호를 받는 조명국(이종원)이 있고, 김부장이 밀어주는 빅토리아 클럽의 손미진(이휘향)이 있으며, 또 조명국 밑으로 세븐스타쇼단의 노상택(안길강)과 빛나라쇼단의 강기태(안재욱)가 서 있다. 위로는 정치권력의 대립이 있고 그 밑으로 딴따라로 비하되던 쇼단 연예인들의 대결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차지철과 김재규를 떠올리게 하는 그림은 많은 이들에게 궁정동에서 벌어진 '그 때 그 사람'의 실제 사건을 예감하게 만든다. 과연 누가 누군가에게 총을 쏠 것인가와 그 자리에 누가 있을 것인가에 대한 기대감이다. 알다시피 당시 자리에 각하와 이들 권력자들, 그리고 연예인들이 함께 있는 이 그림은 다분히 정치와 연예계를 엮어 그 시대를 풀어내려는 '빛과 그림자'의 풍경이 가진 뉘앙스를 떠올리게 한다. 물론 '특정 사건과 관련 없다'고 주장하는 드라마는 전혀 다른 결말을 향해 갈 수도 있을 테지만 말이다.

시대극이 당대의 현실과 무관한 허구로만 치닫는다면 그것은 오히려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니 당대를 드러낼 수 있는 사건들과 인물들은 어떤 식으로든 이 드라마 속에 들어올 수밖에 없다. 다만 똑같이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재구성되고 재해석될 뿐이다. 하지만 다른 이름으로 인물이 만들어지고 사건이 재해석된다고 해서 너무 실제와 멀어져서도 안 된다. 따라서 어디선가 실제로 본 듯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이세창이 연기하는 느끼남 최성원이나 당대 전국구 주먹으로 나오는 조태수(김뢰하)를 보며 당대의 누군가를 떠올리게 되는 건 그 때문일 게다. 물론 이 드라마는 아예 실제 인물을 오마주로 활용하기도 한다. 박준규가 연기하고 있는 마도로스박이다. 이 인물은 실제 당대 최고 액션배우였던 박준규의 아버지 박노식을 오마주한 캐릭터다.

'이 드라마는 특정인물이나 사건과 관련이 없다'는 드라마의 문구를 볼 때마다 거꾸로 자꾸만 그 특정인물과 사건을 떠올리게 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당대를 살아온 이들의 호기심일 것이다. 그래서 '빛과 그림자'는 암울했던 시대의 정치와 딴따라가 대결하는 그 스토리도 재미있지만, 이 드라마 속 인물들이 과연 실제 역사에서 누구와 닮았는가를 찾아내는 것도 쏠쏠한 드라마다. 저 인물은 도대체 실제 누구를 모델로 한 것일까. 이것은 하나의 놀이(?)이지만 그 놀이가 갖는 역사성은 지금 현재와도 연결고리를 갖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