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넝쿨'엔 '애정남'도 '롤러코스터'도 있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넝쿨'엔 '애정남'도 '롤러코스터'도 있다

D.H.Jung 2012. 4. 29. 09:59
728x90

시청률 넝쿨째 들어온 '넝쿨'의 비결

 

'넝쿨째 굴러온 당신(이하 넝쿨)'은 전체 시청률 1위. 봄철 꽃놀이 인파로 잠재 시청층이 빠져나가기 마련인 요즘, 36.4%의 시청률은 지극히 이례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과거부터 가족드라마는 기본 시청률을 가져간다는 불문율이 있었지만, 요즘은 이런 사정도 많이 달라졌다. 일일드라마라고 해도 그저 비슷한 공식만 반복하는 드라마는 외면받기 일쑤. 늘 시청률 수위를 차지하던 KBS 일일드라마 '당신뿐이야'가 시청률 20%에 머물러 있는 건 주말극으로 '넝쿨'이 매주 최고시청률을 갈아치우는 것과는 사뭇 대조되는 풍경이다.

 

 

'넝쿨째 굴러온 당신'(사진출처:KBS)

'넝쿨'이 가진 가족드라마적인 면모는 기존의 것들과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중요한 것은 시점이 가족주의에 머물던 기존의 가족드라마와 달리, 달라진 세태를 며느리와 아들 입장에서 풀어낸다는 점이다. 물론 이것도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미 '며느리 전성시대' 같은 가족드라마에서 며느리의 관점으로 시댁을 뒤집어보는 시도는 늘 있었던 것이니까. 그렇다면 이 가족드라마만이 가진 진짜 매력은 뭘까.

 

그 답은 드라마보다는 최근 대세를 이루었던 공감개그 혹은 공감에 바탕을 둔 콩트에서 찾아진다. '넝쿨'을 보다보면 그 안에서 우리는 '애정남'이 불쑥 튀어나오고, '롤러코스터'의 '남녀탐구생활'을 떠올릴 수 있다. 이른바 '시월드(시댁)'에서 살아남기 버전처럼 보이는 이 드라마는 누구나 한번쯤 겪어봤을 공감 가는 상황을 곳곳에 배치했다.

 

혼수를 해오지 않은 탓에 세탁기 얘길 하는 시어머니의 이야기를 세탁기가 필요하다는 얘기로 듣고 신형세탁기를 선물하는 며느리, 또 그런 며느리를 씀씀이 헤프다며 잔소리하는 시어머니, 그런 잔소리에 아들이 며느리 편을 드는 것 같자 눈물을 흘리는 시어머니 등등. 이런 시집 식구와의 관계들이 대단히 디테일한 상황으로 보여지는 건 이 드라마의 최대 강점이다. 어쩌면 그렇게 밉상 짓만 골라하는지 미운 짓에도 디테일이 살아있는 시누이의 모습이나 시어머니가 현관문 비밀번호를 물어볼 때 가질 며느리의 곤혹스러움 같은 디테일들은 이 드라마에 대한 더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이 공감 가는 상황 위에 놓여진 반전의 반전은 또 다른 재미다. 며느리 윤희(김남주)의 바쁜 직장생활과 전혀 다른 생활방식 때문에 전형적인 시댁 식구의 공격(?)이 이어지면, 이후에 해결사처럼 남편 귀남(유준상)의 합리적인 해결방식이 제시되며 역공격이 이루어진다. 제사 음식 차리는 걸 돕지 않은 윤희에 대한 시누이의 공격에 귀남이 손수 앞치마를 두르고 부엌에서 제사 음식을 하거나, 시누이의 잇따른 아내 구박에 귀남이 "그러지 말라"고 엄포를 놓는 식이다.

 

기존 공감 가는 상황이 현실적인 디테일이라면, 귀남의 합리적인 해결방식은 일종의 바람직한 판타지에 가깝다. 우리는 이런 상황을 '애정남'과 '롤러코스터'에서 본 적이 있다. 애매한 상황에 어떤 지침을 내려주는 애정남의 방식은 이 드라마가 가진 현실적인 디테일 상황 속에 일종의 해결책을 던져주는 방식과 똑같다. 또 '롤러코스터'가 보여준 리얼한 상황과 그 상황에 대한 통쾌한 내레이션도 마찬가지다.

 

바로 이런 디테일한 공감 포인트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넝쿨'은 시청자 유입에 있어서 유리한 지점을 갖게 된다. 물론 드라마적으로도 충분히 재미를 주지만, 만일 이 드라마를 보지 않아 그 내용을 전혀 모르더라도 보는 순간 즉각적으로 공감가는 상황이 주는 통쾌함을 느낄 수 있다. 마치 '애정남'이나 '롤러코스터'가 굳이 지금까지의 줄거리(?)를 이야기 하지 않고도 매회 공감을 얻는 것처럼.

 

게다가 이 공감 포인트는 그 자체로 드라마에 대한 호감을 만들어낸다. 딱히 드라마가 새로운 이야기를 전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대중들은 이 공감 가는 상황을 보는 것만으로도 심정적인 지지를 하게 된다. 마치 '애정남'에 대한 진짜 재미는 '맞아 맞아'하면서 공감하는 그 대목 자체에 있는 것이지 그것이 대단히 웃기기 때문은 아닌 것처럼. '애정남'을 우리가 공감 개그라고 부른다면 '넝쿨'은 공감 드라마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로 이 점이 '넝쿨'이 승승장구하는 진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