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패션왕>, 그들은 왜 편히 사랑할 수 없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패션왕>, 그들은 왜 편히 사랑할 수 없을까

D.H.Jung 2012. 5. 10. 08:41
728x90

그럼에도 <패션왕>에 빠지는 이유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션왕>에게서 눈을 뗄 수가 없다. 이 불안한 청춘들의 끝없는 방황이 못내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가영(신세경)을 사랑하면서도 끝내 그녀를 밀어내고 최안나(유리)의 접근을 허용하는 강영걸(유아인)을 이해할 수 없다가도, 그 성공에 대한 뜨거운 욕망과 사랑하면서도 버려질 것을 두려워하는 강영걸의 트라우마는 이 모든 걸 이해하기 해준다.

 

 

'패션왕'(사진출처:SBS)

"무서웠어. 누가 날 사랑한다는 게 무서웠어. 너한테 상처주고 너한테 상처받을까봐." 뉴욕출장에서 만나 뜨거운 키스로 마음을 확인한 이가영이 왜 자신을 돌아오지 말라고 했냐고 묻자 강영걸은 그렇게 답한다. 어린 시절 바람난 엄마가 자신을 버리고 떠나고 여동생도 죽게 된 것에 대한 트라우마를 가진 그는 마음을 열지 못하고 사랑을 하지 못한다. 엄마처럼 자기를 버릴까봐, 여동생처럼 자기를 떠날까봐.

 

이것은 가난이 만들어낸 왜곡이다. 불우한 어린 시절의 경험은 사랑마저 늘 불안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그를 만들었다. 그래서 그는 이미 성공한 디자이너이고 심지어 가영의 마음을 확인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불안해한다. 정재혁(이제훈)의 회사에서 이가영이 디자인 팀장이 되고 개인 사무실에 차까지 선물 받게 되자 강영걸은 그녀가 '저들의 세계'로 편입될 것 같은 불안감에 휩싸인다.

 

이가영 역시 강영걸을 사랑하지만 당장 눈앞의 작은 배려와 대접에 마음이 흔들린다. 그녀는 부유함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을 갖고 있다. 갑자기 부모님이 교통사고로 모두 돌아가시자 모든 것을 가로챈 조사장(장미희) 밑에서 굴욕적인 삶을 살아온 그녀는, 그 돈이 만들어내는 권력적인 상황에 진저리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욕망에 흔들린다. 그래서 그녀는 강영걸이 뭐든 해주고 싶다며 집과 차를 사주겠다고 하자 "갑자기 딴 사람이 된 것 같아요"하며 불안해한다. 하지만 정작 정재혁의 회사에서 디자인팀장으로 승진하고 개인 사무실과 자동차까지 선물 받자 기쁨을 감추지 못한다.

 

한편 정재혁은 겉으로는 모든 것을 다 가진 것 같은 황태자지만 사실은 아무 것도 갖지 못하고 사랑을 갈구하는 어린아이 같은 인물이다. 그가 이가영에게 빠져드는 것도 바로 자신과 똑같은 결핍을 그녀에게서 발견하기 때문이다. 아무 것도 없이 조사장 밑에서 굴욕적인 삶을 살아가는 이가영은, 모든 게 부모의 뜻에 의해 휘둘리며 살아가는 정재혁에게는 또 다른 자신인 셈이다.

 

이런 동병상련의 감정은 사랑이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병적이다. 정재혁은 그래서 때론 어린아이로 퇴행된 듯한 모습을 보이곤 한다. 이런 동병상련의 병적인 감정을 보이는 또 한 명의 인물이 최안나(유리)다. 그녀가 강영걸을 찾는 이유는 그가 자신과 같은 성공에 대한 욕망과 좌절을 가진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욕망을 가진 최안나를 강영걸은 역시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친구로 받아들이지만, 최안나는 이것을 사랑으로 착각한다.

 

그녀의 성공에 대한 욕망은 성공 그 자체를 사랑과 동일시하게 만든다. 그녀의 애초 목표가 자신의 성공이 아니라 '정재혁과의 결혼'이었다는 사실이 그것을 말해준다. 정재혁에게 한 번 버려지고 나서 다시 돌아온 이유를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버려졌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싫었기 때문"이라고.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하기가 두려운 것이다. 그녀의 성공에 대한 욕망은 사랑마저 왜곡되게 만들었다.

 

<패션왕>의 반복되어 엇갈리는 남녀를 멜로의 관점으로만 바라보면 그 복잡함에 진저리가 쳐지게 된다. 심지어 이 끝없이 변하는 관계의 변주곡은 세속적인 '어장관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상한 일이다. 이 복잡한 <패션왕>의 멜로의 늪에 빠져들면 좀체 헤어 나오기가 힘든 것은 말이다. 이것은 <패션왕>이 그리는 세계가 단순한 멜로가 아니라 그 멜로를 통해 그 바탕에 깔려있는 이 불안한 청춘들의 욕망과 트라우마이기 때문이다.

 

왜 그들은 편안하게 누군가를 사랑하지 못하는가. <패션왕>은 관계 속에서 끝없이 불안하게 흔들리는 인물들의 감정을 통해 그 사랑을 방해하는 그 무엇을 거꾸로 드러내는 드라마다. 그것은 사회가 만들어낸 계급적인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고, 기성사회가 청춘들에게 강요하는 압력 때문이기도 하며, 어쩌면 비뚤어진 기성세대의 욕망이 만들어낸 왜곡된 세상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프레임 안에 끝없이 얽혀있는 멜로만을 보여주는 듯한 <패션왕>은 어쩌면 거꾸로 프레임 바깥의 무수한 사회적인 문제들을 드러내주는 드라마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네 명의 청춘 남녀들이 겪고 있는 이 사랑과 욕망의 변주곡이 그저 감정게임에 머물지 않고 빠져나올 수 없는 늪처럼 눈을 사로잡는 이유는 그 비뚤어지고 엇나간 이들의 사랑이 이상하게도 이해되기 때문일 게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는 당연하게도 이들의 사랑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들을 우리가 공감한다는 얘기다. <패션왕>은 이처럼 멜로만을 가지고 멜로 바깥의 사회적 프레임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독특한 성취를 하고 있는 작품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