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봉달희, 생명에 대해 묻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봉달희, 생명에 대해 묻다

D.H.Jung 2007. 2. 25. 10:44
728x90

‘외과의사 봉달희’가 던지는 질문들

병원드라마가 재미있는 건 그 공간이 생명을 다루기 때문이다. 환자의 생사 갈림길에서 선택을 해야만 하는 의사라는 직업은 그 자체로서 강력한 드라마성을 갖는다. ‘외과의사 봉달희’는 의사가 늘 직업 속에서 접해야하는 바로 그 선택의 딜레마들을 다룬다.

이 딜레마는 의사라면 당연히 해야하는 원칙적이고 본원적인 이야기들이면서, 의사라는 직업이 가진 특유의 숭고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외과의사 봉달희’는 바로 그 본원적인 질문들을 다시 던짐으로써, 자꾸만 상업화 되어가는 의사라는 직업을 다시 본질로 돌아가라고 말하는 것만 같다.

첫 번째 질문 : 죽일 것이냐 살릴 것이냐
‘외과의사 봉달희’가 서두에서 하고자 한 이야기는 ‘사람 살리는 의사’보다는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의사’라는 문제이다. ‘외과의사 봉달희’가 처음 방영되었을 때, 시청자들은 “도대체 봉달희가 의사 맞냐”는 반응을 보인다. 당장 피를 뽑지 않으면 5분 내에 사망할 환자를 두고 어찌해야할지 몰라 발만 동동 구르는 의사를 보고(물론 울릉도 보건소의 검진의지만) 시청자들이 충격을 받은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의사의 모습과 너무나 달랐기 때문. 그녀가 한국병원 레지던트로 오면서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심근경색 환자를 소화제 처방해 결국 사망하게 하고 식도가 약해진 환자 동건에게 딱딱한 고구마를 먹게 해 중태에 빠뜨린 그녀는 환자들의 생과 사가 자신의 순간적인 선택에 달려 있다는 중대한 사실에 맞닥뜨리게 된다. 우리는 여기서 사람 살리는 의사보다 먼저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의사의 모습을 발견한다. 이 드라마의 갈등상황은 바로 이 중대한 선택 앞에 수시로 놓이게 되는 의사들에게, 일반인으로서의 시청자들이 감정이입되는 순간 발생한다. 이 손에 땀을 쥐고 피 말리는 선택 앞에서 기쁨과 슬픔은 오버랩된다. 봉달희의 판단 착오로 심장이 멎어 죽게된 환자 앞에서 함께 안타까워하다가도, 그녀의 옳은 판단으로 괴사성 근막염으로 사망할 위기에 처한 환자가 살았을 때 무한한 희열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불치병 드라마’를 뒤집어놓은 상태가 된다. 불치병 드라마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를 다루지만, 이 ‘인간으로서의 의사’가 주인공인 드라마는 ‘죽일 것이냐 살릴 것이냐’의 문제를 다룬다. 똑같이 삶과 죽음을 다루지만 ‘불치병 드라마’가 수동적인 입장을 취한다면, 이 드라마는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을 취한다. 여기서 드라마는 좀더 철학적이 되고 좀더 역동적인 모습을 띄게 된다. 이건욱(김민준)의 말을 빌리면 ‘인간에게 칼을 댈 수 있는 유일한 면허를 가진 인간’, 의사라는 직업 특성 상 환자 앞에서의 모습과 인간으로서의 모습은 괴리를 갖게 마련이다.

두 번째 질문 : 의사인가 인간인가
그렇기에 의사 조문경(오윤아)은 아들의 병 앞에서는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는 어머니가 된다. 그 두 정체성(의사와 어머니) 사이에서 그녀는 갈등을 일으킨다. 재미있는 것은 자신의 친자식이 아니라는 사실에 아들을 부정하던 이건욱이 아들의 병을 알고 아버지이기를 자처하는 장면이다. 이것은 죽음 앞의 한 인간(그것도 아주 가까운)에 대한 의사로서의 안타까움일까 아니면 아버지로서의 애절함일까. 혹은 그 둘 다인지도 모른다. 이 복잡 미묘한 의사라는 직업을 가진 이들의 감정 속에는 인간과 의사라는 두 존재가 공존한다.

봉달희는 한 의식불명환자의 생명유지를 위해 벼랑 끝에 매달린 앰블란스 속에서 갈등한다. 의사로서의 판단은 그 환자를 유기할 수는 없다는 것이지만, 의식불명으로 빈사 상태에 있는 환자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을 수 없다는 인간적인 판단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 두려움 앞에 서서 손을 부들부들 떨어가며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하는가 갈등하는 모습은 의사는 의사일 뿐인가 아니면 의사도 한 인간인가 하는 문제를 질문하게 만든다. 이 드라마 속에 존재하는 ‘멜로 라인’은 바로 이 ‘인간으로서의 의사’라는 부분과 연결성을 갖는다.

‘멜로 라인’이 있는 드라마로서 ‘무늬만 전문직 드라마’가 되지 않을까 우려해왔던 것과는 달리, ‘외과의사 봉달희’는 이 ‘멜로 라인’을 ‘인간적인 의사’의 갈등 라인 속으로 끌어들인다. “도대체 그 아이의 친아버지가 누구냐”며 조문경에게 핏발을 올리는 이건욱. 늘 자신보다 앞서있는 경쟁자이자 기분 나쁜 존재인 안중근(이범수)과 조문경이 함께 가는 장면을 보고 증오 섞인 눈빛을 던지는 그의 모습은 강력한 긴장감을 유발한다. 만일 누군가를 살려야할 한 의사가 누군가를 죽이고 싶을 정도의 살의를 가지고 있다면 상황은 어떻게 될까. 의사의 인간으로서의 따뜻한 면모는 때로는 치명적인 약점이 되기도 한다.

세 번째 질문 : 의사로서의 판단과 인간으로서의 판단
모든 환자들을 자신의 동생처럼, 아버지처럼, 어머니처럼, 아이처럼 여기는 ‘인간적인 의사’라는 존재는 이상일 뿐, 현실은 아니다. 봉달희가 “의사도 사람이에요”라고 말할 때, 안중근이 “누가 의사가 사람이래?”라고 되묻는 건, 감정이 들어간 판단은 오히려 환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안중근의 말처럼 “너무나 살리고 싶은 환자가 있어 더 빨리 낫게 하려고 수치 이상의 항생제를 쓰면” 결국 환자는 죽게되는 것이다.

그래서 죽게되는 환아가 동건이다. 1차 항암치료에서 별다른 암세포의 변화를 보지 못하자 좀더 강력한 2차 항암치료를 강행했던 동건이는 일시적인 회복을 보이고는 결국 암세포의 급작스런 전이로 사망하게 된다. “왜 내게 희망을 주었냐”는 동건에게 “그래도 이겨낼 수 있다”고 2차 항암치료를 강권한 봉달희는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감정이 개입된 판단’으로 결국 환자의 죽음을 앞당기게 했던 것. 재미있는 것은 여기에 동건의 담당의로서의 조문경(오윤아 분)의 최종 결정이 개입되어 있다는 점이다. 조문경은 사망자컨퍼런스에서 자신은 이제 둔감해져 사라진, 열정을 갖고 있는 봉달희가 부러워 순간적으로 판단을 잘못했다고 털어놓는다. 그녀는 의사가 환자에 대한 열정으로 기적을 바라는 것은 잘못된 판단으로 환자를 괴롭힐 뿐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설상가상으로 위급환자를 돌보다 혈관이 터져 죽게 하자 봉달희는 공황상태에 빠진다. 그녀는 그 두 환자의 죽음을 동일선상에서 보게 된다. 그러나 안중근은 봉달희에게 그 두 죽음의 의미가 다르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동건의 경우에는 봉달희의 열정이 문제가 되었지만, 그 후에 사망한 위급환자는 제대로 된 판단과 처치를 다 했지만 사망했으므로 의사로서는 할 일을 다 했다는 판단을 내려준 것. 이 판단은 이런 문제가 단지 봉달희 같은 유별난 의사의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 모든 의사들이 갖게 되는 양면의 딜레마라는 걸 말해준다. 즉 봉달희든 안중근이든 똑같이 딜레마에 봉착한다는 것이다.

네 번째 질문 : 생명에 우선순위가 있나
이제 그 질문은 의사의 환자 선택의 문제까지 확대된다. 응급실에 실려온 살인용의자와 그 용의자에 의해 차에 치어 죽을 위기에 몰린 아이. 둘 다 위급한 환자지만 병원에 남은 혈액의 양은 한 명만 살릴 수 있다. 잔인하게도 먼저 실려온 살인용의자는 살고, 몇 분 늦게 도착한 아이는 피를 구하지 못해 수술도중 사망하게 된다. 여기에 대해 아이의 수술을 맡았던 이건욱은 안중근에게 항변을 해보지만, 안중근의 말은 단 하나다. “생명에 우선순위는 없다”는 것. 그건 의사로서는 어쩔 수 없는 판단이지만 인간적인 판단은 아니다.

그런 안중근에게 사태는 더 복잡하게 돌아간다. 살인용의자가 그를 지키는 경찰과 담당의인 봉달희를 칼로 찌르고 도망친 것. 자신이 살린 살인용의자 때문에 아이가 사망했다는 자책감을 갖고 있던 안중근에게는 자꾸 마음이 끌리는 봉달희까지 상처를 입은 상황에 이르자 의사로서의 냉정을 찾기 어렵게 된다. “의사는 의학적 판단만 하면 된다”고 말하는 안중근에게 “아이가 우선”이라는 게 의학적 판단이었다고 이건욱이 추궁하자 결국 안중근은 속내를 드러낸다. 자신의 판단에 이건욱에 대한 개인적 감정이 개입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누구를 살리고 누구를 죽일 것인가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도망친 살인용의자가 결국 쓰러진 채 응급실로 실려온 것. 이건욱과 안중근은 순간 인간적인 판단, 즉 이 살인용의자를 살려야 하는가를 생각하지만 결국 의사로서 그를 살려낸다. 그것이 의사로서의 자기 존재 증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인간으로서의 의사가 가진 미덕
외과의사 봉달희’는 ‘인간으로서의 의사’를 다루었다. 그리고 그 ‘인간으로서의 의사’는 위험천만이 아닐 수 없다.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인간 대 인간의 감정이 섞일수록 그 의사는 더 위험해진다. 아무리 능력 있는 의사라도 자기 자식 같은 사람에게 함부로 칼을 댈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또한 자신의 감정이 조절되지 않는 의사가 칼을 쥔다는 것 역시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 고민하고 더 신중해지는 봉달희를 보면서 우리는 인간의 어떤 위대한 면모를 발견하기도 한다.

결국 봉달희는 의사를 의사답게 만드는 것이 환자라고 말하는 것 같다. 그녀가 이 모진 의사가 되기로 마음먹은 것은 자신의 아팠던 과거와 스스로도 환자로서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던 때문이다. 또한 자신의 잘못된 판단으로 포기하려했던 의사의 길로 다시 돌아오게 만든 존재 역시 자신을 고통스럽게 한 환자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위험천만한 의사에게서 비로소 안심하게 된다. 환자의 입장에 섰던 봉달희야말로 진짜 환자의 아픔을 이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번 생각해볼 문제가 있다. 이 ‘외과의사 봉달희’는 왜 이런 의사라는 직업이 갖는 철학적이고 심각한 질문들을 던지고 있는 것일까. 순수외과에 지원하는 의사들이 점점 줄어들고 성형외과 같은 돈 되는 과에 지원하는 이들이 많아지는 세태, ‘인간으로서의 의사’니 ‘인술’같은 말들이 과거의 가치가 되어버리고 이제는 오로지 부의 축적이 한 목적이 된 세태 속에서 어쩌면 이런 질문들은 아무런 현실성을 띄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이 드라마는 더더욱 그런 질문을 던지고 있는 지도 모른다. 당신이 처음 의사를 선택하고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하던 시절의 그 마음을 드라마라는 틀 속에서 찾아보게 하려는 지도 모른다.
(www.ohmy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