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돈의 맛>, 그 멘탈 붕괴의 현장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돈의 맛>, 그 멘탈 붕괴의 현장

D.H.Jung 2012. 5. 29. 07:22
728x90

<돈의 맛>, 어떤 맛일까

 

"이 맛에 우리가 이거 하는 거예요." 한쪽에서는 사람이 죽었는데, 돈을 건네며 이렇게 말한다. 여기서 '이 맛'이란 다름 아닌 '돈의 맛'이다. 도대체 이 '돈의 맛'이란 어떤 맛일까. 물론 돈에 맛이 있을 리 없다. 하지만 그 뉘앙스에서 우리가 느끼는 맛은 분명 있다. 그것은 누군가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탐하게 되는(혹은 탐할 수 있게 하는) 그런 맛이다.

 

 

사진출처: 돈의 맛

온통 지폐다발로 쌓여진 방에 윤회장(백윤식)과 그의 비서인 영작(김강우)이 들어오는, 영화 <돈의 맛>의 첫 장면에는 사실 이 영화가 맛보여주려는 '돈의 맛'의 대부분이 들어 있다. 그저 종잇조각의 더미에 불과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영작은 이 돈 더미에 압도된다. 튼실한 가방에 누군가에게 뇌물로 전해줄 돈을 챙겨 넣는 영작에게 윤회장은 농담하듯 몇 다발 챙기라고 한다. 누구나 다 그렇게 하는 짓이라고.

 

이미 윤회장은 그 때부터 이미 돈에 대해 냉소적이었던 셈이다. 왜 그렇지 않을까. 여기저기 정관계에 돈을 찔러주면 그것으로 죄도 사라져버리는 그런 세상, 돈이 말 그대로 산더미처럼 쌓여있지만 그래도 더 많은 돈에 대한 탐욕이 끝이 없는 사람들, 돈이면 뭐든 다 되는 것을 목도한 후 인간을 인간이 아니라 하나의 욕망으로 바라보는 그 멘탈 붕괴의 현장에서 살아가는 섬뜩한 느낌. 윤회장은 이런 '돈의 맛'을 '모욕적인 맛'으로 느낀다. 누군가를 죽음에 이르게 하면서도 돈을 챙기는 그 맛에 만족하는 인간이란 모욕적일 수밖에 없다. 스스로 인간이길 포기한 것이기 때문이다.

 

짐멜이 모더니티 분석을 통해 돈이 가진 이중성을 말한 것처럼, 돈이란 개인의 자유를 가능하게 해 이른바 평준화된 삶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각각의 개인들이 갖고 있는 고유의 개성이나 자질 역시 돈이라는 양적인 기준에 의해 그 가치를 잃게 만든다. 결국 "이 맛에 우리가 이거 하는 거예요"라는 말은, 노동조차 그 일이 주는 고유의 맛(보람, 즐거움 같은)이 아니라 돈의 맛(양적인 수치)으로 치러지는 우리네 삶을 말해준다. 하긴 누군가에게 모욕을 당하고 심지어 목적을 위해 누군가를 해치는 일을 하면서 그 일에 무슨 보람을 얻겠는가. 이는 뒤집어 말하면 돈이 있기 때문에 하게 되는 일들이다.

 

이 초재벌그룹의 가족들이 유령가족처럼 느껴지는 건 그 관계가 가족지간이라는 본래의 가치를 벗어나 돈의 관계라는 교환가치로 바뀌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그 공간은 서민들이 보기에는 이질적일 정도로 어마어마하고, 흐트러짐 하나 없이 늘 말끔하고 단정하게 치워져 있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사람 사는 공간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그 말끔함은 무슨 얘기를 하건, 무슨 사건이 벌어지건 아무렇지도 않은 듯한 이들 가족들의 표정과 닮아있다. 그들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누군가와 섹스를 한 이야기를 서슴없이 꺼내놓는다. 물론 대화를 하기 위함이 아니다. 그들은 오로지 자신들만 생각한다. 다만 그 파장에 자신이 피해를 보고 싶지 않은 것뿐이다.

 

<돈의 맛>이 주는 충격은 그 겉으론 말끔하게 생긴 재벌가 사람들의 때론 동물의 왕국 같은 질퍽한 실체가 아니다. 그것은 저 첫 장면에서 영작이 돈 더미가 쌓인 방에서 느꼈던 그 압도적인 돈의 마력을 깨닫게 되는 데서 생겨난다. 돈에 대한 욕망이 없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 하지만 그 돈에 대한 욕망의 끝단은 결국 멘탈 붕괴로 이어진다는 것을 이 영화는 우리 앞에 불편하게 드러낸다. 그것은 심지어 죽은 후에도 마찬가지다. 편안한 안식을 취해야할 관 속에까지 그 놈의 돈은 지긋지긋하게 달라붙는다.

 

이제 그 질문은 우리에게 되돌려진다. 우리는 과연 무슨 맛에 사는걸까. 그 멘탈 붕괴의 크기는 다르지만 여전히 그들과 같은 '돈의 맛'에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아니면 그래도 삶의 다른 가치들을 찾으려 노력하는 삶을 살고 있는지. <돈의 맛>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을 것 같은 저들의 삶을 통해, 지금 우리들의 삶에 그 질문을 되돌리는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