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빛그림', 도돌이표 드라마의 한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빛그림', 도돌이표 드라마의 한계

D.H.Jung 2012. 5. 30. 08:26
728x90

전광렬을 보면 '빛그림'이 보인다

 

이제 누가 누구의 편에 서있는가 하는 것은 이제 놀랄 일도 아니게 되었다. '빛과 그림자'의 캐릭터들은 언제든 어제의 적이었지만 오늘의 동지가 될 준비가 되어있는 모양이다. 이 전형적인 복수극의 근본적인 대립구도는 강기태(안재욱)와 그 가족을 몰락하게 만든 장철환(전광렬)과 조명국(이종원) 그리고 차수혁(이필모)이다. 하지만 이 초반의 관계는 중반을 거쳐 종반에 이르면서 끊임없이 변화했다. 복마전도 이런 복마전이 없는 셈이다.

 

 

'빛과 그림자'(사진출처:MBC)

이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 장철환이다. 장철환은 정장군(염동현)이 실권을 장악하면서 그를 세운 차수혁, 조명국과 대립하게 되고, 새롭게 돌아온 강기태와도 손을 잡는다. 장철환은 그러나 정장군의 신임을 다시 얻어 차수혁을 추락시키고 조명국을 다시 끌어들인다. 이제 다시 그는 강기태와 각을 세운다.

 

이 끝없는 변화의 과정에서 장철환이라는 캐릭터는 조금은 과장되고 우스꽝스럽기까지 한 인물이 되어버렸다. 특유의 야비한 표정과 말투는 화제가 될 정도. 거의 대부분의 장면에서 욕을 하고 분노를 터트리고 책상 앞에 있는 것은 뭐든 집어던지는 그의 모습은 심지어 묘한 중독성까지 갖게 만든다. 왜 그렇지 않을까. 일관성을 찾기 힘든 이 욕망의 노예가 된 인물이 진중함을 유지하긴 어려울 것이다.

 

한때는 이쪽 편에 있었는데 다른 순간에는 정 반대편에 서는 이런 배신과 변심의 연속은 '빛과 그림자'의 마지막 남은 동력인 모양이다. 처음 장철환과 손을 잡았다가 강기태와 함께 해외 도피 생활을 하고 돌아온 조태수는 강기태와 함께 복수를 꿈꾸다가 다시 장철환과 손을 잡는다. 차수혁은 장철환과 초기에 같은 권력에 있었지만 정장군(염동현)을 새로운 권력의 핵심으로 세우면서 대립하는 관계가 된다. 조명국은 차수혁과 함께 장철환과 대립하는 관계였지만 후에 다시 장철환과 손을 잡는다. 강기태의 적이었던 노상택(안길강) 단장 역시 후에는 강기태의 빛나라 기획에서 일하게 된다.

 

사실 더 자잘한 것들까지 일일이 열거하면 캐릭터들의 변심은 끝이 없다. 양태성(김희원)은 이정혜를 돕고자 강기태와 함께 일을 하는 인물이지만 그가 모시는 이현수가 장철환과의 관계를 희망하자 어쩔 수 없이 변심하는 인물이다. 강기태의 애인인 이정혜(남상미) 역시 강기태가 해외로 도피한 사이 차수혁과 관계를 유지해오다 강기태가 돌아오자 그에게로 다시 돌아간다. 그리고 강기태와 이정혜의 관계 역시 단순하지 않다. 이정혜의 친 아버지인 이현수(독고영재)는 강기태가 아버지처럼 모시는 김풍길(백일섭)과 일본에서 악연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어찌 보면 끝없는 대립구조는 드라마의 추진력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빛과 그림자'의 캐릭터 놀이(?)는 조금 지나치다 싶다. 제 아무리 욕망에 의해 의리도 없는 복마전의 세계라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의 논리는 있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캐릭터들은 점점 우스꽝스러워질 수밖에 없다.

 

'빛과 그림자'의 전광렬이 하는 연기에 대한 열광은 그래서 그 안에 빈약한 스토리와 억지스러운 캐릭터 변화에 대한 일종의 조소가 섞여 있다. 역시 전광렬은 어떤 상황에서든 120%의 연기력으로 그 우스움을 승화해내는 연기자임에 분명하다.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도 어떤 일관성을 만들어내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거꾸로 이 드라마가 전광렬이라는 연기자의 거의 모든 것을 우려내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 끝없는 도돌이표 드라마의 한계는 연장 방송의 폐해이기도 하다. 단 몇 회면 끝날 이야기가 수회에 걸쳐 반복되고,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져야 할 캐릭터들은 이리 저리 휘둘린다. 스토리라인도 거의 비슷해서 마치 아이들의 놀이처럼 보일 때가 많다. 적이 나타나서 아군을 괴롭히고 그것을 물리치는 이 단순한 스토리라인의 무한 반복인 셈이다.

 

'빛과 그림자'가 기획단계에서부터 관심을 끌어 모았던 것은 그간 잘 다뤄지지 않았던 우리네 쇼 비즈니스와 시대극을 절묘하게 엮었다는 점 때문이었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의 연예계와 그 뒤안길을 따라가면 거기서 발견하는 시대의 어둠. '빛과 그림자'는 이 두 개의 바퀴로 굴러가는 드라마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이제 종반을 향해 치닫는 이 드라마의 실체는 어떤가. 과연 이 드라마는 그 기획의도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을까.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