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유령>의 질문, 설마 악플했다고 살인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유령>의 질문, 설마 악플했다고 살인을?

D.H.Jung 2012. 6. 8. 08:20
728x90

<추적자>에 이어 <유령>까지, 사회극 선전의 이유

 

'네 손이 일 년 전에 지은 죄를 기억해.'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의 음악이 장중하게 흘러나오면서 모니터 화면에 써지는 글귀, 그리고 살인, 현장 온 벽면을 가득 메운 저주의 글자들... 사이버 범죄를 소재로 다루는 <유령>의 이 장면들은 이 드라마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해준다. <유령>은 사이버 범죄에 대한 복수극이다.

 

 

'유령'(사진출처:SBS)

일상적으로 올리는 댓글 하나, 추측에 의한 근거 없는 소문의 양산, 끝없는 루머로 행해지는 스토킹에 가까운 집단행동들... 사실 사이버 세상에서 매일 일상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이 많은 일들이 어떤 실제 결과로 이어지는가에 대해 사람들은 둔감하다. "설마 악플했다고 사람을 죽입니까?" 한영석(권해효) 경사의 이 대사에는 악플이라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가 들어가 있다.

 

'신효정 놀이 동영상'이 말해주듯 누군가에게는 죽음이 누군가에게는 놀이가 된다. 이것은 또 거꾸로 누군가의 놀이(댓글 같은)가 누군가에게는 죽음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신효정에게 진실을 요구한다'는 이른바 신진요 카페는 우리가 타블로 사건에서 봤던 '타진요'의 드라마적 재현이다. 제 아무리 사실과 그 증거자료를 내놓아도 그것이 오히려 끊임없는 루머로 재생산되며 피해자를 고통스럽게 했던 그 사건.

 

<유령>의 가해자, 팬텀(Phantom)은 이 상황을 거꾸로 되돌려 놓는다. 손가락 몇 번 놀리면 누군가에게 저주를 퍼부을 수 있는 노트북이 거꾸로 그 당사자에게 저주를 쏟아 붓는다. '네 손이 일 년 전에 지은 죄를 기억해', '죽어' 같은 글귀들이 모니터에 떠오르면서 자신의 저주가 똑같이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공포의 경험, 그리고 살인. 살인 현장 벽에 써진 댓글들은 마치 이 죽어가는 가해자(누군가를 죽게 한)이자 피해자(살해당한)의 상황조차 비웃곤 하는 인터넷 상의 댓글들을 닮아 있다.

 

<유령>의 팬텀이 저지르고 있는 빗나간 복수극은 그런 의미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역할 바꾸기를 드라마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악성 댓글에 시달리다 누군가는 스스로 목숨을 버리고 마는 그런 일들은 사실 우리네 현실에서 이미 여러 번 목도되었다. 하지만 그 사건을 접하면서도 '뭐 그렇다고 목숨을 버려?'하고 또 다른 의구심을 품었다면, <유령>은 그 의구심에 뒤통수를 치는 드라마다. 저들의 사건이자 저들의 불행으로 여겨졌던 것들을 우리들의 사건이자 불행으로 되돌리는 작업.

 

흥미로운 건 본격적인 사회적 코드를 보여주면서 <유령>에 대한 관심도 급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처음 2회 동안 수목극 꼴찌의 시청률을 기록하던 <유령>은 3회만에 <아이두 아이두>를 넘어섰다. 이것은 저 <추적자>가 그랬던 것처럼 사회극이 갖는 힘이다. <추적자>가 우리네 정의의 현실을 끄집어냄으로써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면, <유령> 역시 우리 사회가 가진 디지털 세상의 뒤안길을 아프게 들여다봄으로써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사회극이 선전하는 건, 아프게도 우리가 처한 현실이 그리 녹록치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아이두 아이두>나 <신사의 품격> 같은 달달한 멜로들이 고개 숙이고 있는 건 사회극이 제시하는 현실 앞에 이런 멜로들은 너무나 비현실적인 세계처럼 여겨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추적자>에 이어 <유령>까지 이어지는 사회극에 대한 깊은 대중들의 관심은 이제 드라마에 있어서도 허황된 이야기보다는 좀 더 사회현실을 함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요구하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