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나 공무원>, 무엇이 윤제문을 흥분하게 했나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나 공무원>, 무엇이 윤제문을 흥분하게 했나

D.H.Jung 2012. 7. 14. 11:14
728x90

감흥을 포기한 삶에 발랄한 일격, <나 공무원>

 

어쩌다 공무원이 로망인 시대가 됐을까. 물론 여기서 말하는 공무원이란 모두를 통칭하는 얘기가 아니다. 흔히들 말하는 공무원이라는 이미지, 즉 ‘복지부동’으로 통하는 그 이미지로서의 공무원을 말하는 것이다. <나는 공무원이다>는 이 감흥 없는 삶(심지어 “흥분하면 지는 거다”라고 말하는)에 발랄한 일격을 날리는 영화다.

 

'나는 공무원이다'(사진출처:마포필름)

7급 공무원 한대희(윤제문)는 나이 38세에 마포구청 환경과 생활공해팀 주임이다. 이 구청에서 그는 내용보다는 파워포인트 양식을 잘 다루는 것으로 자칭 좀 잘 나가는 공무원이다. 연봉 3천5백에 정시 출근 정시 퇴근. 임금 체불 없고 정년 보장되고, 미래를 위해 집도 하나 갖고 있는데다, 퇴근 하면 자신을 반겨주는 10년째 TV친구 유재석, 경규형이 있는 그는 자신의 삶에 200% 만족한다. 어떤가. 이 정도면 만족할만한 삶으로 여겨지는가? 글쎄.

 

끝없이 쏟아져 들어오는 민원으로 속이 부글부글 끓어도 오로지 평정심만이 자신의 위치를 지켜줄 것이라 믿고 살던 그의 삶에 어느 날 인디밴드 하나가 불쑥 침입한다. 그리고 밤마다 쿵쾅대는 소음에 사람이 “전두환이나 세계금융위기 이런 거시적인 걸로만 시달리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아가던 그는 차츰 잊고 있던 심장박동소리를 듣게 된다. 평정심의 대가에게 흥분은 위험하고도 달콤하게 다가온다.

 

공무원이 로망이 되고 흥분이 위험인 시대. 어딘지 불온한 이 시대의 기점은 어디서부터 비롯됐을까. 아마도 저 IMF라는 그늘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 이전까지 사자 직업이나 혹은 사업가, 심지어 예술가를 꿈꾸던 이들은 이 생존이 불안한 시대에 접어들면서 꿈이 아닌 현실을 선택하기 시작했다. 평생 직업으로서의 교사나 공무원을 꿈꾸게 된 것. 물론 교사나 공무원이란 직업이 잘못된 건 아니다. 다만 이 직업 자체의 매력이 아니라 그 직업이 갖는 안정성을 좇는 세태가 문제라는 것.

 

사실 이렇게 공무원이 로망이 되어버린 힘겨운 현실은 서민들이 의도했다기보다는 가진 자들의 방만한 경영으로 어느 날 갑자기 서민들에게 쏟아진 날벼락이라는 점에서 공분을 자아낼만한 일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분노’보다는 ‘흥분’이라는 문제를 선택한다. 이 영화의 제목은 본래 영어 제목으로 알 수 있듯이 <Dangerously Excited>, 즉 <위험한 흥분>이었다. 왜 분노가 아니라 흥분일까. 이 지점에서 이 영화가 포착하고 있는 보다 날카로운 세태의식을 느낄 수 있다.

 

본래 흥분이란 영어 표현으로 ‘Excited’라 표현하듯 그다지 나쁜 감정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이 흥분이라는 단어는 마치 부정적인 감정 상태인 것처럼 해석되는 게 사회적 통념이다. 흔히들 “흥분하지 마”라고 얘기할 때 흥분이란 어딘지 일을 그르치는 요소로 받아들여진다. 왜 자신의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흥분이라는 상태가 부정적일까. 그 안에는 사회적으로 암묵된 억압의 그림자가 들어 있는 건 아닐까.

 

영화는 한대희가 민원인들의 전화를 받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한껏 흥분해 있는 민원인들의 항변을 한대희는 마치 그것을 아무런 항변 없이 받아주는 것이 자신의 직무인 양 넙죽넙죽 받아낸다. 하지만 한대희라는 공무원 역시 사람일진대 어찌 흥분하지 않을까. 다만 억누르고 있을 뿐이다. 이 억눌려진 감정은 어느 날 한계수위를 넘으면 분노로 표출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한대희가 선택하는 건 분노가 아니라 흥분이다. 자신의 가슴을 다시 뛰게 만드는 그 무엇을 찾는 것. 이 영화가 그토록 귀엽고 사랑스럽게 느껴지는 이유는 이 무거운 현실을 등에 짊어지고 있음에도 바로 이런 세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 흥분이라는 주제를 툭 던져놓는 <나는 공무원이다>라는 영화를 얘기하면서 윤제문이라는 배우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윤제문이라는 배우가 그간 해온 연기들의 맥락 속에 이 흥분이라는 주제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그의 외모에서 풍겨져 나오는 강렬한 인상 때문인지 그는 어딘지 격한 감정을 꾹꾹 눌러 그 안에 숨겨두고 있는 그런 역할을 주로 해왔다.

 

최근작 <뿌리 깊은 나무>에서 정기준은 그 감정이 한없이 숨겨졌다 분노로 표출되는 인물이다. <더킹 투 하츠>의 김봉구 역시 이 분노의 감정을 한없이 억누르고 풀어내는 역할이다. 그런 그이기에 갑작스럽게 보이는 귀요미 연기 변신이 새로우면서도 낯설게 여겨지지 않는다. 억눌려진 감정이 분노에서 흥분으로 바뀐 그 역할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나는 공무원이다>라는 영화는 온전히 윤제문이라는 배우 하나를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고 의미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그 안에는 포복절도의 코미디와 부글부글 끓는 듯한 억눌린 감정들, 그리고 그것이 긍정적으로 풀어져 나오는 기분 좋은 해소의 과정들이 모두 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