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배수정 발언이 끄집어낸 연예인 국적 문제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배수정 발언이 끄집어낸 연예인 국적 문제

D.H.Jung 2012. 7. 30. 10:26
728x90

배수정은 영국인이 맞다, 하지만..

 

“영국인으로서 자랑스럽다.” 올림픽 개회식 방송에 파격적으로 투입된 배수정은 그 개회식에 대한 느낌을 묻는 김성주 아나운서의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 그녀는 실제로 영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영국인이 맞다. 그러니 그녀에게 이런 답변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방송을 보고 있던 시청자들은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었다. 그 ‘영국인’이라는 말이 그간 덮여져 있던 실체를 끄집어낸 것처럼 당혹스러웠기 때문이다.

 

올림픽 개막식 방송(사진출처:MBC)

왜 이런 당혹감을 갖게 되었을까. 그것은 우리가 갖고 있는 특유의 국적에 대한 과도한 민감함에서 비롯된다. <위대한 탄생>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영국에서 온 회계사에 예쁜데다가 노래도 잘하는 배수정이 나왔을 때 우리가 가진 감정은 복합적이었다. 그녀는 분명 영국에서 태어나 자라고 거기서 직업까지 갖고 있으니 영국인이 맞지만, 그녀의 부모는 한국인이니까(게다가 그녀는 한국어도 유창하다) 이 엄친아 역시 한국인일 거라는 암묵적인 동의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녀는 외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여전히 뭐든 잘 하는 한국인으로서의 자랑거리로 대중들에게 인식되었던 것. 하지만 이것은 실체가 아니다. 그리고 그것은 방송을 통해 본인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영국인이라는 선언으로 나타났다. 그러니 대중들은 일종의 ‘속은 느낌(사실은 스스로 속은 것이지만)’을 갖게 된 것이다. 물론 배수정은 속인 적이 없지만.

 

이것은 올림픽이라는 국가 간의 스포츠 행사 속에서 더 도드라지게 드러날 수밖에 없었다. 올림픽은 ‘세계는 하나’라고 소리치지만, 동시에 국가의 존재감을 더 공고히 하는 행사이기도 하다. 올림픽 같은 스포츠를 통해 우리의 스포츠 선수들은 ‘태극 전사’로 거듭난다. 그들이 이기면 국가가 들썩거리는 축제 분위기로 이어진다. 메달 수로 순위 경쟁이 시작되면 몇 위권에 들었느냐가 그 국가의 세계에서의 위치 같은 착각을 주기도 한다. 그런 올림픽에서 자신의 국적을 당당히 드러냈기 때문에 배수정에 대한 배신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 과도한 국적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된 해프닝이기도 하다. 영국에서 벌어지는 축제이고 그러니 영국인으로서 자랑스럽다고 한 것이 뭐가 이상할까. 그렇지만 방송으로서 잘못된 부분은 분명히 있다. 방송을 하나의 쇼라고 본다면 그 내용이 일관성을 가져야 하는 것은 맞다. 옆에 선 김성주 아나운서가 자신의 국적성을 드러내며 ‘우리 선수들’ 혹은 ‘태극 전사들’ 운운하고 있는 상황에서(이것은 그대로 배타적인 한국선수들에 대한 응원방송의 메시지를 갖는다) 돌연 ‘영국인’ 발언은 방송의 일관성에서 적절하다 얘기하기 어렵다.

 

배수정의 발언으로 사실상 대중들의 암묵적인 동의 하에 이면에 놓여져 있던 연예인들의 국적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사실 많은 연예인들 중에는 국적이 외국인 경우가 많지만 자신이 한국인임을 전면에 내세우며 활동하는 이들이 많다. 유난히도 연예인들의 군복무 문제에 대중들이 예민한 이유도 바로 거기서 이 숨겨진 국적의 문제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심지어 어떤 연예인들은 국적이 외국이면서도(그래서 군대에 갈 필요가 없는데도) 굳이 군대에 자원하기도 한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국적은 뜨거운 문제다.

 

하지만 20세기도 아니고 21세기에 이토록 국적에 대해 과도하게 배타성을 갖는 건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사실 우리는 ‘국가가 우리에게 해준 게 무엇인가’라고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그 국가에 대한 소속감을 그 어느 나라보다 더 굳건히 지키려고 안간힘을 쓴다. 아마도 짧고 굴곡진 근대화 과정이 남긴 잔재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외국인 근로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외국인과 결혼해 꾸려진 가정도 점점 늘고 있는 상황에 지나친 국적에 대한 배타성은 위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국적성을 전면에 끌어내기 마련인 올림픽 방송으로서 배수정이 한 말은 그 방송으로서는 적합하다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 놓여진 우리네 국적에 대한 과도한 집착 또한 좋게 보이지는 않는다. 어쨌든 배수정은 결과적으로 이 우리에게 뜨거운 국적의 문제를 끄집어냈다. 그것도 올림픽이라는 국가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국제적인 행사에서. 그렇다면 생각해보자. 우리는 올림픽이 주창하는 ‘세계는 하나’라는 가치를 볼 것인가, 아니면 그 속에 숨겨진 국가의 존재감이 주는 몰입의 희열에 머물러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