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은근슬쩍 사라진 티아라 스캔들, 남은 과제 본문

옛글들/명랑TV

은근슬쩍 사라진 티아라 스캔들, 남은 과제

D.H.Jung 2012. 8. 10. 07:30
728x90

티아라 사태와 왕따를 부추기는 사회

 

한 아이돌 걸 그룹의 문제로 일단락 될 수 있었던 티아라 사태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는 일련의 과정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 놓여진 뿌리 깊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가 드러난다. 그것은 ‘무한 경쟁사회’다. 누구나 자유롭게 경쟁하게 내버려두는 것을 기치로 내세우는 신자유주의의 깃발 아래 우리 사회는 어느 순간부터 ‘무한 경쟁’에 접어들었다. 경쟁사회는 일련의 암묵적인 순위를 대중들의 몸에 각인시켜 놓음으로써 자체적으로 통제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티아라'(사진출처:코어콘텐츠미디어)

경쟁사회에서는 승리자가 아니면 패배자(우리가 흔히 루저라 부르며 민감해 하는)가 된다. 여기서 승리자가 사회의 다수를 지향한다면 패배자는 소수가 되어버린다. 이 다수와 소수를 나누는 사고방식은 왕따가 생겨나는 핵심적인 구조다. 다수에 적응하지 못하면 소수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이는 왕따가 되기 쉽다. 왕따라는 존재는 그래서 자신들이 소수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 일종의 희생양이 되어버린다. 심지어 인간이 할 수 없으리라 생각되는 그런 행동조차 하게 되는 것은 그 왕따와 동류가 되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공포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잘 말해준다. 결국 왕따 문제의 발원지는 경쟁사회라는 통제 시스템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놓고 보면 티아라 같은 아이돌 그룹들(이건 비단 아이돌 그룹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네 아이들의 문제이기도 하다)이 처한 상황이 이 시스템과 얼마나 잘 맞아 떨어지는가를 알 수 있다. 한 명이 아니라 여러 명이 함께 팀을 이루고, 그 팀은 언제든지 멤버를 교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면 퇴출된다는 공포는 많은 관계의 문제를 만들 수밖에 없다. 그것이 사소한 의견 충돌 같이 소소하게 나타날 수도 있지만 왕따 같이 심각한 양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사실 실체가 드러나지도 않은 왕따설로 문제가 일파만파 커져버렸지만 티아라 사태의 핵심적인 문제는 왕따설 그 자체에 있는 게 아니다. 그 핵심은 이 기획사의 매니지먼트의 문제다. 이런 소문이 나올 정도라면 어느 정도의 다툼이나 갈등이 있었다는 얘기인데 기획사는 과연 거기에 합당한 매니지먼트를 했던 것일까. 살인적인 스케줄과 적응하지 못하면 퇴출시키는 그런 시스템 속에서 화영이나 다른 티아라 멤버는 모두 피해자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어린 아이들이 그 힘겨운 스케줄 속에서 부상당한 화영에게 그래도 무대에 오르자며 ‘의지’ 운운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비극이다. 그들은 왜 소속사에 좀 더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요구하지 못했던 걸까.

 

물론 스스로도 성공에 대한 욕구가 강했던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전에 강자로 존재하는 소속사의 압박도 무시할 수 없는 일이다. 사실 시스템을 만들고 제시하는 자가 늘 강자인 법이다. 그래서 게임은 늘 룰을 만드는 이가 이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여기에도 착각은 있다. 제 아무리 소모품처럼 멤버를 갈아치우며 그 통제를 통해 성장 가속도를 유지하려 한다고 해도 이들은 결국 사람이고, 그들이 하는 일은 그래도 음악이라는 창의적인 작업이라는 점이다. 과거에는 소속사가 주도권을 가지고 팀을 만들어 내보내면 대중들은 그것을 소비하는 것으로 끝났지만, 지금은 거꾸로 대중들이 주도권을 쥔 시대다. 대중음악이라는 행복 산업에서 행복하지 않은 그네들이 제대로 행복을 전파할 수 있을까. 또 대중들은 그 가짜 행복에 기꺼이 주머니를 열 것인가.

 

티아라 사태는 본래 사건보다 일파만파 커진 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우리 사회가 굴러가는 무한 경쟁 시스템의 뒤안길에 놓여진 그림자를 끄집어내 보여주었다. 기획사의 멤버들을 즐겁고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제대로 된 매니지먼트가 필요하듯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 역시 경쟁만이 아니라 즐거워서 일할 수 있는 그런 새로운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학교에서 툭하면 벌어지는 왕따 사건들이나 그로 인한 엄청난 결과들을 그저 아이들의 문제(누군가는 가해자고 누군가는 피해자인)처럼 치부한다면 실제 이 가혹할 정도로 비정한 경쟁 시스템이라는 진짜 가해자는 가려지고 말 것이다. 티아라 사태가 왕따 문제로 또 사회 문제로까지 비화된 것은 그 안에 들어 있는 우리 사회의 이런 핵심적인 문제들이 분노의 형태로 그 사태에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이 일을 그저 티아라의 문제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이제 표면화된 사회의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고 거기에 맞는 근본적인 대책을 생각해야 할 때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