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정글의 법칙', 병만류에 담긴 깊은 뜻 본문

옛글들/명랑TV

'정글의 법칙', 병만류에 담긴 깊은 뜻

D.H.Jung 2012. 10. 12. 08:41
728x90

병만류가 있어 다큐 그 이상이 가능했다

 

<정글의 법칙>의 이지원 PD는 마다가스카르에 가기 전 많은 관련 프로그램 제작진들로부터 자문을 얻었다고 한다. <TV 동물농장>의 한 제작진은 “이미 다큐 등을 통해 마다가스카르의 동물들은 거의 다 찍었다”며 <정글의 법칙>만의 차별화된 영상이 가능할까 의구심을 표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지원 PD 역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는 것. 이 고민은 사막을 빠져나와 마다가스카르의 숲으로 들어가는 날까지 계속되었다고 했다.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그러다 여우원숭이들이 서식하는 숲으로 막 들어서면서 번뜩 아이디어가 이지원 PD의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병만족을 ‘병만류’로 설정해 직접 동물 대 동물로서 마다가스카르의 생물들과의 교감을 갖게 하자는 것. 어찌 보면 대단해보일 것도 없는 아이디어처럼 보였지만, 바로 이 ‘병만류’라는 설정은 <정글의 법칙>만의 독특한 장면들을 잡아낼 수 있는 바탕이 되어 주었다.

 

김병만은 원숭이처럼 나무 위로 올라가 여우원숭이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심지어 바나나 키스(?)를 하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정진운이나 류담, 리키 역시 여러 종류의 여우원숭이들(시파카, 브라운 리머 같은)과 스킨십을 하는 장면을 보여주기도 했다. 근거리에서 카멜레온이 색을 바꾸는 모습은 여느 다큐에서 이미 봐왔던 것들이지만 병만류들이 그 장면에 환호하고 직접 손으로 만져보고 손바닥 위에 올려보고 하는 장면들은 희귀한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피그미 카멜레온 같은 희귀한 종을 만날 수도 있었고, 옆으로 뛰는 모습과 앉아있는 모습이 인간과 유사한 시파카 같은 여우원숭이와 직접 교감할 수 있었으며 그 와중에 다큐에서도 촬영하기 힘든 새끼 시파카를 포착하기도 했다. 또 먹거리를 찾아 나선 병만류의 류담, 박정철, 노우진은 많은 식물들을 발견해 보여주었다. 브래드 프루트의 사촌격인 잭 프루트, 별 모양으로 생겨 달콤 시큼한 맛을 자랑하던 스타 프루트, 블루베리처럼 생긴 인디언 라즈베리, 고구마 모양의 카사바가 소개됐다.

 

물론 이러한 식물들이 소개되는 방식 역시 병만류가 직접 먹이(?)를 찾아나서는 과정을 통해 보여주기 때문에 훨씬 더 기억에 남는 장면이 될 수 있었다. 만일 다큐였다면 그저 교과서적으로 식물을 찍어주고 이름을 소개하는 정도로 지나칠 수 있었던 것이 이처럼 직접 먹어보고 체험함으로써 다른 느낌의 영상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병만류’라는 아이디어에는 인간과 자연을 갑과 을로 보지 않고 동물 대 동물의 수평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들어있다. 이것이 있었기 때문에 마다가스카르의 자연과 직접적인 교감이 가능했던 것. 인간의 관점으로 자연을 만지는 것 자체가 훼손의 의미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을 같은 동물의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자연스레 넘어설 수 있었던 것. 물론 여기에는 마다가스카르라는 자연 속에서는 오히려 더 멸종(?)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는 병만류의 생존도 바탕이 되어 있다.

 

하지만 병만류의 생존은 자연법칙이 보여주는 적자생존이 아니다. 이미 사막에서 류담이 쓰러졌을 때 그를 챙겨주고 함께 하려 노력하는 병만류의 모습에서 드러나듯(만일 적자생존이라면 류담을 버리고 가는 것이 맞지 않을 게다) 그들은 공존하는 것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길을 찾아가고 있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도 공존의 길이 그토록 어렵게 여겨지는 시대에, 인간이 아닌 하나의 동물인 병만류로 돌아간 그들이 마다가스카르의 동물들과 어우러져 보내는 한 때의 장면들이 우리에게 깊은 의미를 전해주는 건 그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