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예능의 미래를 보는 자, '런닝맨' 본문

옛글들/명랑TV

예능의 미래를 보는 자, '런닝맨'

D.H.Jung 2012. 10. 23. 08:59
728x90

<런닝맨>이 본 예능의 미래

 

미래의 예능은 어떤 형태일까. 어찌 미래를 점칠 수 있겠냐마는 때론 현재의 징후가 미래를 살짝 먼저 보여주기도 한다. <런닝맨>의 ‘미래 딱지’가 등장한 ‘미래를 보는 자’ 특집 편이 그렇다. 사실 예능의 리얼 게임에서 ‘미래를 봄으로써 현재를 바꾼다’는 것은 지금껏 시도할 수 없었던 불가능의 영역처럼 여겨졌다. <런닝맨>이 제 아무리 기존 영상 콘텐츠의 장르들, 예를 들어 멜로에서 액션, 미스테리, 추리 등등을 잘 흡수했다고 해도 SF는 무리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리얼 게임에서 미래란 늘 물음표의 영역에 남아있기 마련이다.

 

'런닝맨'(사진출처:SBS)

하지만 ‘미래를 본다’는 설정이 가능한 것은 <런닝맨>이 가진 게임쇼적인 속성, 즉 리얼과 버라이어티의 절묘한 지점 덕분이다. 게임은 가상의 놀이이면서 그 과정과 결과는 리얼이다. 즉 게임의 룰과 구성은 가상일 수 있지만, 그 속에서 벌어지는 과정은 실제 상황이 된다는 것이다. 결국은 룰을 어떻게 구성하고 짜느냐에 따라서 게임은 전혀 다른 스토리텔링을 할 수가 있다. 거기에는 리얼한 상황도 있지만 룰에 의해 지켜지는 상황극적인 요소도 있게 마련이다.

 

<무한도전>이 처음 이 게임쇼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거기에 확고한 캐릭터들이 있고, 그들이 새로운 상황(게임적인)에 언제든 반응할 준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김태호 PD는 이들에게 때론 유아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는 상황(예를 들면 돈 가방을 갖고 튀는 설정 같은)을 부여하고, 그들이 보이는 지나칠 정도로 승부에 집착하는 진지함을 포착함으로써 그 게임이 주는 긴박감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소한 게임에 목숨을 거는 데서 발생하는 웃음을 만들어냈다.

 

<런닝맨>은 <무한도전>에서 이 한 곁가지를 가져와 새로운 하나의 영역을 구축해가고 있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역시 여행이라는 아이템을 가져와 하나의 영역을 구축한 <1박2일>이 하는 게임이 조금은 단순하고 촌스러운(바로 그것이 <1박2일>만의 맛이다) 느낌을 준다면 <런닝맨>은 대단히 세련되고 창의적인 게임을 만들어낸다. 이것은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1박2일>이 복불복 게임에 집착하게 되면 그 본분인 여행지 소개가 빠져있다는 비판을 받지만, <런닝맨>은 거꾸로다. 오히려 게임 그 자체가 식상해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진화시켜야 생존할 수 있다. ‘미래를 보는 자’ 같은 과감한 시도가 가능한 것은 그 때문이다.

 

<런닝맨>이 미래 예능의 징후를 보이고 있는 것은 그것이 원형적인 게임의 형태를 그대로 갖고 있지만 그 스토리텔링은 끝없이 변주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미래를 보는 자’의 미래 딱지는 사실 액면으로 보면, 게임에서 죽어도 한 번 더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아이템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미 죽은 자가 미래 딱지를 바닥에 던지며 “미래를 보는 자!”를 외침으로써 그 상황이 미래로 바뀌어 다시 반복되는 장면으로 연출되자 이 게임쇼는 전혀 다른 스토리텔링을 구현한다. SF적인 장르적 느낌을 갖게 된 것이다.

 

사실 게임이란 아주 오래 전부터 원초적인 형태로 끊임없이 이어져 내려온 것들이다. 마치 달리기나 술래잡기, 보물찾기처럼. 하지만 여기에 카메라의 트릭과 캐릭터들의 룰에 입각한 상황극, 그리고 리얼한 반응이 엮어지면 사실상 무한한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국 대중들이 즐기는 것은 원형적인 게임이 주는 놀이의 긴박감보다는 바로 이 스토리텔링이 주는 묘미라고 할 수 있다. 같은 것이라도 어떻게 다른 형태로 보여주느냐에 미래의 예능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런닝맨>의 ‘미래를 보는 자’는 이미 초능력자 특집에서 그 전조를 보인 적이 있다. RPG형의 캐릭터쇼가 가능한 이 게임 형태는 그러나 ‘미래를 보는 자’를 통해 좀 더 구체화된 느낌이다. ‘미래를 본 자는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설정으로 일종의 업보(?) 상황으로 아줌마 부대가 달려들고, 안대를 착용한 채 이상한 곳으로 끌려가며, 때로는 서로의 이름표가 바뀌는 상황은, 이 ‘죽어도 다시 사는’ 단순한 설정을 ‘미래를 보는 자’로 스토리텔링함으로써 더 나아간 진화의 산물이자 덤이다.

 

세상에 새로운 게임이 없듯 새로운 예능도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새로운 방식으로 스토리텔링 하는 게임이 있고 예능이 있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런닝맨>은 그 끝없는 스토리텔링의 진화를 통해 우리에게 예능의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당장의 다소 낯설고 어려운 지점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미래의 어느 날 우리가 <런닝맨>의 영상을 보게 된다면 어떨까. 어쩌면 미래의 그들에게 웃음을 주는 예능의 원류를 거기서 발견하게 될 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