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SNL 코리아'의 패러디가 불편한가 본문

옛글들/명랑TV

'SNL 코리아'의 패러디가 불편한가

D.H.Jung 2012. 11. 9. 09:16
728x90

왜 패러디를 패러디로 못볼까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념, 특정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여 익살스럽게 변형하거나 개작하는 수법.’ 다소 문학적인 틀에 갇혀 있던 이러한 패러디의 고전적 의미는 현대에 들어서는 다양한 영상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표현기법 중의 하나가 되었다. 표절과 헷갈리는 부분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원본이 전면에 드러나느냐 아니냐다.

 

'SNL코리아'(사진출처:tvN)

알다시피 패러디는 원본이 있다는 것을 수용자가 인지해야 가능한 기법이다. <짝>을 같은 서체로 <쨕>이라고 쓰고 그 형식을 가져오면 누구나 그것에서 <짝>이라는 원본을 떠올릴 수 있다. 따라서 패러디에서 원본은 늘 전면에 내세워진다. 반면 표절은 늘 원본을 숨긴다. 그저 가져다 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본이 드러나지 않기 위해 교묘하게 위장술을 펴는 것. 그것이 바로 표절이다.

 

아예 19금을 전면에 내세운 <SNL코리아>의 경우, 패러디는 빼놓을 수 없는 표현 기법 중 하나다. 하지만 이 <SNL코리아>의 패러디가 영 불편한 이들도 있는 모양이다. 최근 <짝>을 패러디한 <SNL코리아>의 <짝> 재소자 특집이 SBS로부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한다며 소송당한 데 이어, <여의도 텔레토비 리턴즈>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선거방송심의위원회의 안건으로 오른 것.

 

새누리당 홍지만 의원은 국감장에서 “박근혜 후보로 등장하는 출연자가 욕을 많이 하고, 안철수 후보로 등장하는 출연자는 순하고 욕을 많이 안하는 것으로 표현됐다. 이미지가 시청자들에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여의도 텔레토비>에 문제로 지목하는 것은 이 욕설과 관련한 ‘방송언어위반’ 및 ‘후보자 품위 손상’ 등이다. 물론 여기에 대해 <SNL코리아> 측은 “특정 후보를 비하, 비방, 폄하할 의도가 없다”며 “단순 정치 풍자”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패러디라는 것이 본래 그 기법 속에 권위에 대한 해체가 주는 카타르시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때로는 그 패러디의 대상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의도적인 정치적 목적을 갖고 있다면 그것은 당연히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SNL코리아>의 <여의도 텔레토비>의 목적이 정치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듯하다. 사실상 거기 등장하는 다른 후보들의 패러디 역시 비슷한 강도로 희화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여의도 텔레토비>의 목적은 예능의 목적, 즉 재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패러디가 만들어내는 권위 해체와 희화화는 좀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오히려 그 패러디 대상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만들어줄 수도 있다. 즉 그만큼 대중들의 정서와 문화를 위해 기꺼이 한 몸 망가진들 무슨 상관이랴 하는 열린 자세를 거기서 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패러디는 그 대상이 되는 것만으로도 그 권위를 인정받는 셈이 되기도 한다. 즉 전술한 대로 패러디는 원본을 전제하고, 그 원본이 드러나야 비로소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가 잘 알고 있고 권위 있는 원본이 대상이 되곤 한다. 물론 그 권위에도 차이는 있지만.

 

<SNL코리아>에서 ‘토론배틀’로 패러디 대상이 된 진중권은 패러디에 대처하는 좋은 예에 해당한다. 이 코너에서 진중건(진중권의 패러디)은 상대가 아이든 아줌마이든 상관없이 무조건 논리를 들어 상대방을 깨는 모습을 보여준다(그래서 그의 닉네임도 ‘모두까기’다). 여기에 대해서 진중권은 자신의 트위터에 ‘저 역은 원빈이 해야 하는데 섭외가 안 됐나 봐요’라는 글을 남겨 오히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패러디가 준 웃음에 웃음 하나를 덧붙인 셈이다.

 

패러디는 힘없는 서민들의 문화다. 권위 없고 힘없는 그들이 권위 있는 원본을 비틀고 풍자하는 것으로 어떤 자신들만의 새로운 재해석을 붙이는 그런 문화. 물론 어떤 패러디는 그 대상을 아프게 만들기도 하지만, 권위 있는 분들이 서민들을 위해 이 정도를 허용해주는 게 그리 어려운 일일까. 정치가 기꺼이 제 몸을 풍자와 패러디의 대상이 되어주어, 작게나마 힘겨운 서민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 세상이었으면 좋겠다. 그들은 진정 서민들에게 그만한 웃음을 준 적이나 있단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