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멘토 김태원과 프로듀서 박진영, 그 장단점 본문

옛글들/명랑TV

멘토 김태원과 프로듀서 박진영, 그 장단점

D.H.Jung 2012. 12. 17. 08:57
728x90

김태원과 박진영, 너무 다른 심사방식의 의미

 

<위대한 탄생3>가 지난 시즌보다 뜨거워진 데는 독특한 개성을 가진 참가자들 덕분이다. <K팝스타2>의 박진영이 말한 이른바 스웨그(SWAG 자신만의 멋과 개성 스타일을 나타내는 신조어로 여유와 심지어 약간의 허세까지 느껴지는 것)를 <위대한 탄생3>에서도 느낄 수 있다. 가창력은 기본이고 그 위에 자신만의 독특한 음색과 스타일을 얹은 참가자들이 넘쳐나기 때문에 이 두 오디션 프로그램은 최근 오디션 홍수 속에서도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다.

 

박진영, 김태원(사진출처:SBS,MBC)

더 중요해진 건 심사다. 이른바 스웨그를 찾는 오디션에서 이제는 과거처럼 발성이나 박자, 호흡 같은 기본적인 심사 멘트는 거의 불필요해졌다. <K팝스타> 시즌1의 유행어가 되었던 박진영의 ‘공기 반 소리 반’은 이제는 농담거리가 될 만큼 식상해진 표현이 되었다. 수없이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나왔고, 또 그만큼의 심사를 들어온 시청자들은 이미 충분히 학습되었다. 그러니 심사 또한 새로워져야 한다.

 

<위대한 탄생3>의 대표 심사위원이자 멘토는 당연히 김태원이다. 물론 용감한 형제가 투입되어 좀 더 실용적인 차원의 심사(지금 트렌드에 먹히는 발성이나 목소리, 창법 같은)를 부가시켜주면서 그 존재감이 한껏 높아져 있긴 하지만(이것은 참가자들이 용감한 형제의 심사에 더 집중한다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그래도 그 중심을 잡는 건 김태원이다. 그는 오디션의 심사를 하면서도 프로그램의 재미를 위해 다른 심사위원들과 또 참가자들과 밀당을 하기도 한다. 전체를 조율하고 있다는 얘기다.

 

‘은유의 마술사’라는 표현에 걸맞게 그는 끊임없이 참가자들의 개성과 노래를 특유의 은유적 표현으로 풀어낸다. 절정의 화음을 보여준 ‘맘에들조’팀에게는 “화음은 신의 숨결”이라는 은유를 썼고, ‘소울사람들’팀의 박우철에게 “리듬의 신인 것 같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심사평이 구체적이지 않고 너무 모호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그만의 은유적 표현은 참가자들의 매력을 강화하고 주목시키는 데는 확실한 효과를 발휘한다. 가능성 있는 참가자들의 캐릭터를 대중들에게 인식시켜주는 것도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심사위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본격적인 멘토링에 들어가면 아마도 김태원보다는 용감한 형제에 더 참가자들이 몰릴 가능성이 높다. 즉 프로그램을 감동적으로 만들고 참가자들의 캐릭터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키는 능력에 있어서 김태원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지만 결정적으로 참가자들의 능력을 지금 트렌드에 맞게 프로듀싱 하는 데는 용감한 형제에 약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참가자들이 실질적으로 가수 데뷔를 하는데 있어서는 실로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면에서는 확실히 <K팝스타>가 가진 환경을 따라갈 수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없다. 심사위원들이 아이돌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인 SM, YG, JYP의 대표선수(?)들이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두 기획사의 사장인 박진영과 양현석은 참가자들에게 훨씬 더 실질적인 심사위원으로 다가온다. 물론 기획사의 무게감으로는 SM이나 YG가 훨씬 높지만 오디션 프로그램의 심사로만 보면 박진영이 <K팝스타>에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다. 박진영이 사실상 이 오디션 심사의 대표선수인 셈이다.

 

박진영은 프로듀서이면서도 동시에 가수다. 따라서 때로는 가수의 입장에서 노래를 표현하는 방법 같은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때로는 프로듀서로서 가수가 가진 스웨그를 찾아내 그것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얘기하기도 한다. 그의 심사방식은 그대로 자신의 프로듀싱 방식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그 실질적인 이야기는 <K팝스타>라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독특한 재미가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그는 현재 기획사의 사장으로서 지금 현재의 트렌드에 민감하다.

 

하지만 프로듀싱의 관점에서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지만(또 때론 아픈 이야기가 더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그는 확실히 김태원과 비교해 인간적인 따뜻함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참가자들에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패는 중요하지만 그것이 전부일 필요는 없고 또 그 어린 나이에 그 오디션에서의 성공만이 유일한 길일 필요도 없다. 물론 박진영이 그걸 강요하고 있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좀 더 인생 전체를 두고 참가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는 김태원이 훨씬 여유롭다는 얘기다.

 

이것은 아마도 두 사람이 걸어온 너무 다른 음악인생에서 비롯된 것일 게다. 오디션 프로그램에 있어서 실질적인 면들(진짜 가수가 되고 성공하는)은 물론 가장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더 넓게 인생을 바라보면 그 오디션에서의 성패가 그 사람의 전체 음악 인생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라는 여유로운 시선이 더 중요할 지도 모른다. 이것은 같은 심사위원이라도 한 사람은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프로듀서로 보이고 다른 한 사람은 무언가 인생에 도움을 줄 멘토로 보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K팝스타>와 <위대한 탄생>이라는 비슷해 보이는 두 오디션 프로그램의 완전히 다른 성격인지도 모르겠다. 여러분은 이 인생의 오디션에서 어느 쪽을 더 원하는가. 프로듀서인가 멘토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