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메이퀸', 어쩌다 그녀는 아버지가 셋이 됐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메이퀸', 어쩌다 그녀는 아버지가 셋이 됐나

D.H.Jung 2012. 12. 19. 08:30
728x90

<메이퀸>, 출생의 비밀 하나로는 부족했나

 

출생의 비밀 하나로는 부족했나. <메이퀸>이 마지막 반전 카드로서 또 다른 출생의 비밀을 꺼내들었다. 해주(한지혜)가 윤학수(선우재덕)의 딸이 아니라 사실은 장도현(이덕화)의 딸이었다는 것. 해주가 사실은 친모인 이금희(양미경)를 장도현이 강제로 품어 낳게 된 딸이라는 것이다. 이로써 해주의 아버지는 셋이 되었다. 그녀를 키워준 천홍철(안내상)과 딸로 받아들여준 윤학수, 그리고 피를 이어받은 장도현이다.

 

'메이퀸'(사진출처:MBC)

드라마가 극적 장치로서 출생의 비밀을 활용하는 것은 그 카드 하나로 모든 상황을 뒤집는 반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특유의 핏줄의식을 끄집어냄으로써 사실을 알고 있는 시청자들을 더욱 몰입하게 만들 수도 있다. ‘알고 보니 누구의 자식’이라는 그 단순하고도 효과적인 방식은 그래서 이제 가족을 다루는 거의 모든 드라마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도 어느 정도다. 너무 반전의 반전을 활용하기 위해 억지스런 출생의 비밀 코드를 활용하면 시청자들은 우롱당한 느낌을 받기 마련이다. 결국 작가의 장난에 휘둘린 꼴이 되니까.

 

이것은 극중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해주가 자신의 피붙이인 줄 알고 그토록 애타게 찾던 윤정우(이훈)가 대표적이다. 그는 이 사실을 알게 된 후 이금희를 만나 이렇게 분노를 터트린다. “그럼 난 뭐야? 이 세상에 유일한 피붙이는 유진인 줄 알고 그리워하고 평생 한으로 남겨온 난 뭐냐구? 유진이를 보며 형을 떠올린 난 뭐냐고?” 이 토로는 아마도 시청자들의 마음 그대로일 게다. 윤정우와 해주를 어렵게 다시 만난 가족이라 생각하며 흐뭇해했던 시청자들은 뭐냔 말인가.

 

결국 이런 무리한 설정을 하게 된 것은 뻔한 가족의 테두리로 모든 것을 끌어안으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죽을 죄를 지어도 가족이기 때문에 결국은 용서해야 한다는 그 뻔한 메시지. 하지만 과연 가족이면 모두 용서가 되는 것일까. 장도현은 윤학수를 죽인 살인자이고 평생 박기출(김규철)을 머슴 부리듯 부려온 그런 인물이다. 게다가 강산(김재원)의 할아버지인 강대평(고인범)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인물이기도 하다. 이런 인물을 굳이 해주의 친 아버지로 변신시켜 놓은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 무리한 출생의 비밀 때문에 이상한 캐릭터가 되어버린 윤정우는 그래서 이 사실을 알고는 해주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신을 자책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내가 잘못했다. 우리 형이 너를 딸로 생각한 건 핏줄이 아니라 사랑이야. 넌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였어. 그러니까 넌 우리 형이 낳은 딸이 맞아. 널 키운 천홍철씨도 너를 더 큰 사랑으로 안았으니까 그 분도 너의 아버지야.” 이것은 하나의 설명이자 의미부여다. 과도한 출생의 비밀이 낳은 너무 많은 아버지들을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라는 작가의 이야기다.

 

그 근거로 제시되는 것은 조달순(금보라)이 윤정우에게 해주는 이야기 속에 들어있다. “죽은 상태 아버지가 해주한테 그랬대요. 가족은 피를 나눠서 가족이 아니라 배고픔도 슬픔도 고통도 나누는 게 가족이라구. 그게 뭔 말인지 이제 알겠더라구요.” 핏줄을 넘어선 가족애. 어찌 보면 이 대사는 잘만 활용되었다면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주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 번 출생의 비밀 카드를 끄집어내 시청자를 이리 저리 휘두른 다음 나오는 이런 대사는 이제 변명처럼 다가온다.

 

“밥 먹기 전에 꽈배기를 먹었나. 왜 이렇게 꼬였어?” 상태(문지윤)가 밥상머리에서 해주에게 핀잔을 주며 던지는 이 대사는 마치 이 드라마를 두고 하는 얘기 같다. 배배 꼬아서 뒤집을 건 죄다 뒤집어 자극적인 상황에만 몰두하던 드라마가 이제 결말을 위해 제 멋대로 가족 관계를 엮어놓는 것은 그래서 시청자들을 희롱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어쩌다 아버지가 셋이나 되어버린 캐릭터는 또 무슨 죄인가. 해도 해도 너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