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학교 2013>, 왜 이종석이 더 어른스러워 보일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학교 2013>, 왜 이종석이 더 어른스러워 보일까

D.H.Jung 2012. 12. 27. 08:41
728x90

<학교 2013> 도대체 누구를 위한 학교인가

 

물론 모든 작품이 기성사회에 대한 불만과 반항을 담기 마련이지만, 요즘처럼 작품 속에 어른 같지 않은 어른들이 많은 경우도 없었던 것 같다. 어른들의 세상과 싸우는 아이들(순수함을 간직했다는 의미로서의)의 이야기는 이제 이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어른들이 만든 폭력 속에 내몰려진 채 수십 년을 그 트라우마에 발목 잡혀 살아가는 이들을 그린 <보고싶다>가 그렇고,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태생적인 시스템 속에서 제 실력으로 벗어나려 안간힘을 쓰는 <마의>의 백광현(조승우)이나 <청담동 앨리스>의 한세경(문근영)이 그렇다. 세상은 어른들에 의해 더럽혀졌고 그 속에서 무고한 아이들은 고통 받는다.

 

'학교2013'(사진출처:KBS)

<학교 2013>은 그 아이들의 이야기를 좀 더 직접적으로 다룬다. 아이들은 한참 비뚤어져 보이지만 가만히 그 이유를 들여다보면 거기에 어른들의 세계가 그림자처럼 드리워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난 무성의한 태도와 아이들이 맞나 싶을 정도의 폭력과 경쟁에서 비롯된 친구들 사이의 갈등, 그리고 선생님을 비롯한 학교에 대한 아이들의 불신은 그 이면에 놓여진 부조리한 현실을 자꾸만 떠올리게 만든다.

 

남순(이종석)과 흥수(김우빈)는 어떻게든 학교를 졸업하고자 안간힘을 쓰지만 학교는 그들을 학생으로 보지 않는다. 이것은 자신의 아이만 잘 되면 그만이라는 몇몇 학부모들(이를테면 김민기(최창엽)의 어머니 같은)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심지어 학생을 ‘폭력배’라고 부르기도 한다. 승리고등학교의 교장인 임정수(박해미)는 학교의 이미지와 실적을 위해 이들을 쫓아내려 한다. 학교는 아이들을 마지막까지 보호해주는 그런 곳이 더 이상 아니다. 학교는 이 힘겨운 아이들을 자꾸만 어른들의 잘못된 세상으로 내몬다. 오로지 경쟁과 승자독식의 세상으로 밀어 넣고 살아남으려면 누군가를 밟고 올라가라고 한다.

 

<학교 2013>은 그래서 한참 들여다보면 거기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자발성을 발견하기가 어렵다. 그들은 억지로 그 학교라는 공간 속에 들어와 있을 뿐이다. 그 놈의 수능성적을 따기 위해 억지로 앉아 있거나, 그저 고등학교라도 졸업하려 버티고 있거나, 이도 저도 아니라면 그 지옥 같은 젊음의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만을 바라며 하루하루를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그런 아이들뿐이다. 학생을 위한 학교는 더 이상 없고 기성사회를 위한 학교만 덩그러니 남아있다. 이 속에서 불만과 불신과 불안이 싹트지 않을 수 있을까.

 

물론 극화된 부분이 많다. 하지만 <학교 2013>은 분명 학생들이 겪는 무한경쟁의 고통을 통해 학교의 위기를 말하고 있다. 그 성숙되지 못한 어른들 속에서 오히려 고남순 같은 학생이 더 어른스럽게 그려지는 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남순은 묵묵히 반 친구들을 위해 자신을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왕따를 당하다가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가게 될 위기에 처한 한영우(김창환)가 마지막 인사를 하러 들어왔을 때 읊조린 나태주 시인의 ‘풀꽃’이란 시는 그래서 가장 강렬한 저항으로까지 느껴진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아름답다. 너도 그렇다.’

 

자세히 그리고 오래. 과연 세상은 아이들을 이렇게 보고 있는 것일까. 그렇게 예쁘게 아름답게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어쩌면 경쟁적인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수능 몇 점과 반 등수 몇 위의 숫자로만 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학교는 있지만 학생은 없는 현실. 그것이 <학교 2013>이 안타깝게 그리고 있는 2013년 우리네 학교의 디스토피아다. 그리고 이 학교의 어두운 모습은 무수한 작금의 드라마들이 그려내고 있는 어른(부패와 부조리)과 아이(순수)의 대결구도가 만들어지는 그 첫 시발점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