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외과의들, 조선으로 간 까닭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외과의들, 조선으로 간 까닭은

D.H.Jung 2013. 1. 17. 10:03
728x90

사극과 의드의 만남, 그 진화의 계보학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 ‘몸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함부로 훼손할 수 없다는 <효경>에 실린 공자의 말은 동양의학에서 외과의 영역을 위축시켰다. 칼로 째고 바늘로 꿰매는 외과술은 이 효를 근간으로 하는 동양의 가치관과 부딪치면서 좀체 빛을 보지 못했던 것. 하지만 드라마는 사정이 조금 다른 것 같다. 사극과 의학드라마라는 두 장르의 결합이 만들어내는 강력한 극성 때문에, 최근 사극은 과거에는 좀체 존재하지 않았던 외과의에 주목하고 있다.

 

'마의'(사진출처:MBC)

<마의>에서 백광현(조승우)은 뼈가 썪어 가는 부골저를 치료하기 위해 스승인 고주만(이순재)의 뇌수술을 감행했다. 머리에 구멍을 뚫고 그 병변에 직접 약재를 투입했던 것. 하지만 파상풍 부작용에 의해 스승이 죽게 되자 도망자 신세가 되어 중국까지 흘러들어간 백광현은 다시 그 부골저라는 병과 마주하게 된다. 그는 부골저를 앓는 청나라 황비를 고쳐 조선으로 돌아오려고 하지만 스승을 죽게 했다는 트라우마는 그를 괴롭힌다.

 

이처럼 <마의>는 뼈에 구멍을 내고 살갗을 갈라 병변을 제거해내는 외과술을 보여준다. 조선시대라는 배경에 외과술은 그 자체로 볼거리를 제공한다. 즉 태반이 뒤틀어져 옆구리로 비어져 나온 아기를 수술로 받아내는 장면이나, 유방에 종양이 생긴 처자를 외과술로 치료하는 장면은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외과술은 단지 볼거리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당대 신분사회 체계 속에서 외과를 천대하는 시선과의 싸움은 그 자체로 현 시대적 의미를 담아내기에 용이하기도 하다.

 

백광현이 인의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마의에서부터 시작했다는 것은 여러모로 의미가 깊다. 말을 고치기 때문에 외과술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는 것이고, 병을 바라보는 시선도 양반 상놈의 구분 없고 심지어 동물과 인간의 구분이 없는 바로 그 똑같은 몸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인식이 가능했다는 점이다. <마의>에서 백광현이 대단한 것은 그 놀라운 손기술이 아니라 신분과 사회와 풍습의 제약 속에서도 인간의 몸을 똑같은 생명으로 바라보는 그 시선일 것이다.

 

바로 이 생명에 대한 현대적인 가치는 과거의 신분제 같은 가치와 충돌을 일으키면서 의미 있는 갈등들을 만들어낸다. 한 촉망받는 인물의 성장이 태생적으로 차단되는 조선 사회의 경직성은 이 시대의 청춘들이 겪고 있는 ‘끊겨진 성장의 사다리’를 환기시킨다. 바로 이 천한 태생 때문에 심지어 생명을 살려낸 외과술조차 천시하는 세상이다. 사람 몸에 칼질을 하는 것은 ‘백정’이나 하는 짓이라 치부하며 오히려 그 앞길을 막아서는 행위는, 작금의 실력이 아닌 태생으로 미래가 결정되는 우리 현실을 떠올리게 한다.

 

<제중원>에서 그 주인공인 황정(박용우)이 백정이었다는 사실은 조선에서의 외과술을 소재로 하는 사극이 어떤 동일한 시각을 갖고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구한말 서양의 선교사들이 들어와 ‘제중원’ 같은 서양식 의료기관을 세우기 시작하던 그 혼돈의 시기에 황정은 소 잡는 칼을 사람 살리는 칼로 변모시킴으로서 근대적인 인간을 탄생시킨다. <제중원>에서 우두백신을 만들어 예방접종을 하는 장면은 그래서 근대적 사고방식, 즉 과학적 사고방식을 조선사회에 접종하는 장면처럼 그려진다. 어느 정도 생채기가 남겠지만 그것은 결국 합리적인 근대적 이성을 형성해내는 기폭제가 될 것이다.

 

<제중원>은 사극과 의학드라마의 하이브리드를 시도한 공적이 컸지만 초반의 신선한 발상과 시도가 드라마의 과정의 재미로는 이어지지 못한 점이 있다. 후반부로 와서는 본래 하려던 이야기에서 자꾸만 멜로로 주저앉는 안타까움을 보였던 것. 하지만 이 하이브리드의 가능성은 이후 사극과 의학드라마의 접목을 하나의 트렌드로 만들었다. <닥터 진>과 <신의>는 이 하이브리드에 대한 욕망이 SF와 판타지까지 나간 경우다.

 

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했던 <닥터 진>은 조선으로 갑자기 떨어지게 된 진혁(송승헌)이 생명을 구해내려는 의사 본연의 마음과 그로 인해 뒤죽박죽 되어버리는 역사와의 대결구도를 흥미롭게 그려냈다. 반면 <신의>는 타임 터널을 통해 고려말로 들어가게 된 성형외과의 유은수(김희선)와 최영(이민호)의 만남을 다뤘지만 본격적인 의학드라마와 사극의 접목이라기보다는 멜로에 머무는 한계를 보였다. 어쨌든 두 작품은 SF나 판타지라는 장르적 장치를 등에 업고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역사극이나 외과술에 대한 리얼한 접근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보여진다.

 

이런 의학드라마와 사극의 하이브리드를 보여준 작품들의 계보를 통해 바라보면 <마의>가 가진 가치를 새삼 느낄 수 있다. <마의>는 이 하이브리드를 마의라는 당대의 직업적 성격에서부터 끄집어내 자연스럽게 조선사회와 외과술을 연결시켜내면서도 동시에 그 이병훈표 사극 특유의 미션 구조를 통해 대중성까지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백광현의 흥미로운 성장과정을 자연스럽게 보다보면 우리는 거기서 조선사회와 비견되는 우리 현재의 사회를 바라볼 수 있고, 현대적 가치가 더 돋보이는 생명에 대한 존엄을 발견할 수 있다. 사극이 의학드라마와 만나 생겨난 진화는 그래서 대중성과 진지함을 모두 잃지 않는 <마의>에 의해 어쩌면 꽃을 피우고 있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