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조승우는 남자 캔디, 권상우는 남자 신파 왜?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조승우는 남자 캔디, 권상우는 남자 신파 왜?

D.H.Jung 2013. 1. 23. 09:29
728x90

<마의>와 <야왕>, 뒤바뀐 남자 캐릭터 왜?

 

<마의>에서 백광현(조승우)을 보면 떠오르는 캐릭터가 있다. ‘외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 울어-’하고 노래 부를 법한 캔디 캐릭터다. 어린 시절 버려져 마의로서 자라오지만 그가 힘겨운 시간들을 버텨낼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주변에 많은 인물들이 그를 도와주고 챙겨주었기 때문이다. 특히 백광현은 여복(女福)을 타고 난 인물이다. 드라마에 나오는 대부분의 여인들이 백광현 바라기일 정도다.

 

'야왕(사진출처:SBS)'과 '마의'(사진출처:MBC)

어린 시절부터 백광현을 그리워했던 강지녕(이요원)은 물론이고, 숙휘공주(김소은) 역시 그에게 연심을 품고 뒤에서 모르게 그를 돕는다. 그로 인해서 병을 고친 서은서(조보아) 역시 마음 한 구석에 그를 품고 사라진 그를 찾아다닌다. 사암도인의 제자였던 소가영(염현경)은 연심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늘 백광현 옆에서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주는 인물이다. 즉 <마의>는 백광현이라는 남자 캔디 주변에 그를 사랑하거나 돕는 여성들이 배치된 드라마다.

 

이렇게 된 것은 드라마의 구조상 고난에 빠진 주인공과 그를 돕는 인물들을 병치함으로써 드라마가 균형을 잡히게 하기 위함이지만, 또한 달라진 남녀 관계의 세태가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사회적 위치가 높아지고 활동도 많아진 여성들과 상대적으로 위축된 남성들은 그 남녀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주도적인 여성과 어딘지 소극적인 남성. 한 때는 이것이 <대장금> 같은 여성 영웅의 성장과정을 공감하게 만들었었다. 하지만 이제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마의>의 남자 캔디 백광현은 그 역전된 남녀 관계가 점점 고착화되어가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마의>의 경쟁작으로 등장한 <야왕> 역시 역전된 남녀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야왕>은 퍼스트레이디가 되는 주다해(수애)와 그를 몸 바쳐 뒷바라지 하지만 버림 받고 복수를 꿈꾸는 하류(권상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같은 고아원에서 자라 헤어졌다가 다시 만난 주다해를 위해 하류는 아낌없이 모든 걸 주는 인물이다. 주다해가 자신을 어린 시절부터 괴롭혀온 양아버지를 우발적으로 살해했을 때 그 죄를 자신이 뒤집어쓰려하기도 하고, 그녀의 학비를 벌기 위해 호스트바에서 몸을 팔기도 하는 인물이 바로 하류다.

 

이런 인물들을 우리는 70년대 전형적인 신파극 속에서 본 적이 있다. 남편 뒷바라지하기 위해 몸을 바치지만 결국은 남편에게 버림받는 그런 여성상. 헌신적인 여성이 헌신짝처럼 버려지는 전형적인 신파극 속의 인물들 말이다. 78년에 김수현 작가에 의해 빛을 본 <청춘의 덫>은 99년에 다시 만들어지면서 심은하의 그 유명한 대사 “당신 부숴버릴거야!”로 우리 기억에 생생히 남아 있다.

 

그런 여성 신파를 뒤집어 놓은 <야왕>의 하류라는 캐릭터 역시 역전된 남녀 관계의 일단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야왕>에서 주다해가 끝없는 욕망의 질주를 하는 능동적인 여성이라면, 하류는 그녀에게 종속된 남성이다. 과거 여성 신파극에서 그 여성이 남성에게 복수를 감행한 것처럼, 이제 하류는 주다해를 향한 헌신이 복수로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줄 것이다.

 

물론 이런 남녀 관계의 역전은 드라마라는 장르가 가진 특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무래도 여성 시청층에 주도되는 드라마이기 때문에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시각이 그 안에는 들어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그럼에도 한 걸음 더 나간 듯한 남자 캔디, 남자 신파는 확실히 작금의 남성들이 처한 ‘위기 상황’을 잘 말해주는 듯하다. 지금은 여성 대통령이 나오는 시대가 아닌가. 남성성의 시대가 한 걸음 뒤로 물러나고 여성성의 시대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 남성들이 점점 사회적 약자가 되고 있다는 얘기는 그래서 앞으로도 많은 드라마를 통해서 회자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