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7번방', 류승룡은 왜 딸바보로 돌아왔을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7번방', 류승룡은 왜 딸바보로 돌아왔을까

D.H.Jung 2013. 2. 12. 09:19
728x90

류승룡은 어떻게 이 시대의 아이콘이 됐을까

 

<7번방의 선물>에서 류승룡이 연기하는 용구는 딸바보다. 용구가 영화 속에서 한 가장 많은 대사는 아마도 “예승아!”라고 딸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었을 게다. 얼굴만 쳐다봐도 그 간절한 부성애가 넘쳐나는 용구는 정신지체의 장애를 갖고 있는 실제 바보이기도 하다. 강풀 원작의 <바보>가 그러한 것처럼 이 시대에 바보의 의미는 오히려 똑똑하고 계산적인 이들이 갖지 못한 순수한 사랑의 결정체다. <7번방의 선물>에서는 그 바보가 아빠로 돌아왔다. 진정한 딸바보의 탄생이다.

 

사진출처: 영화 '7번방의 선물'

아무런 조건 없는 사랑의 결정체는 그러나 지독한 현실과 만날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바보라는 존재가 늘 이른바 정상이라고 하는 이들의 변명거리나 희생양이 되는 건 어느 시대나 마찬가지였을 게다. 용구는 그렇게 7번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그 안에서도 딸 예승이를 부르며 애끓는 부성애를 보여준다. 그 부성애의 존재가 사회적으로는 어떤 아이의 강간 살해범이라는 무시무시한 누명을 쓰게 된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딸바보 류승룡이 이 땅의 모든 부모들을 눈물 짓게 만드는 것은 이 바보 같은 용구라는 존재가 그 부모들이 살아왔던 삶을 극적으로 재현하기 때문이다. 자식 하나만을 보며 살아온 부모세대는 그러나 지금 이 청춘들이 길거리로 내몰리는 현실의 발원지처럼 백안시되는 존재이기도 하다. 지난 대선에 자신들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투표장을 향했다는 그 세대들은 어찌 보면 자신의 시대가 배척당하고 부정되는 현실의 억울함을 느꼈을 지도 모를 일이다.

 

<7번방의 선물>처럼 최근 들어 모성애가 아닌 부성애가 귀환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내 딸 서영이>는 그 제목에서 드러나듯 아버지의 시선이 담겨진 드라마다. 과거의 잘못을 저지른 것은 맞지만 딸에게 그 존재 자체가 부정당하면서도 그 딸의 앞날만을 생각하는 아버지의 모습이 그려지면서 시청률 40%를 넘어 50%를 향해가는 신드롬을 만들고 있다.

 

<아빠 어디가> 같은 예능 프로그램이 아이하면 늘 먼저 떠오르는 엄마를 집에 남겨두고 대신 아빠와 함께 하룻밤을 보내게 된 데도 그만한 이유가 있는 셈이다. 아빠들은 이 1박2일의 여행을 통해 아이들의 사랑을 재확인하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본다. 성동일이 조금은 권위적이었던 자신의 모습을 아이를 통해 돌아보고, 김성주가 주눅이 든 아들의 모습에 자신이 너무 윽박지르며 아이를 대했던 것에 대해 참회의 눈물을 흘리는 건 보는 이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이처럼 최근 부성애를 다루는 콘텐츠들은 부모와 자식 간의 소통을 통해 그 양자를 힐링하는 장면들을 보여준다. <7번방의 선물>의 류승룡이 한 때 거친 수컷의 향기를 뿜어내던 작업남에서 부성애의 끝단을 보여주는 딸바보로 돌아오면서 계속 대중들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그 바탕에 깔린 남성들의 욕망이 있기 때문이다. 이 시대 아버지들은 그렇게 수컷이라는 것조차 잊어버릴 정도로 고개를 숙이게 되었고, 이제는 그 차원을 넘어서 판타지를 통해서라도 어떤 힐링을 꿈꾸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류승룡이 왜 최근 새로운 아이콘으로 급부상하고 있는가를 읽을 수 있다. 딸바보 류승룡이 보여주는 <7번방의 선물>은 우리 시대의 수많은 바보 아빠들은 물론이고 그를 새롭게 바라보고픈 자식들을 위한 판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