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한대결, '대조영’ 무한끌기 안되려면 본문

옛글들/명랑TV

무한대결, '대조영’ 무한끌기 안되려면

D.H.Jung 2007. 4. 9. 00:07
728x90

무한대결 ‘대조영’이 처한 상황
사극이 가진 힘은 바로 대결구도에서 나온다. 그런 면에서 ‘대조영’은 여타의 사극들과 비교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대결구도를 만들어왔다. 그 대결구도는 대조영(최수종)이 어엿한 제 자리를 차지하기 전까지 대중상(임혁)이 중심이 되어 당태종(송용태), 설인귀(이덕화) 등과 대결구도를 이루다가, 대조영이 연개소문(김진태)의 집에서 개동이란 이름으로 키워질 때는 애증의 유사부자관계를 유지하며 대조영과 연개소문이 역시 대결구도를 형성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연개소문과 양만춘(임동진)이라는 두 호랑이의 대결이 드라마의 맛을 살린다.

그 사이 대조영은 당나라와의 전투를 벌이며 차근차근 자신의 입지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는 이해고(정보석)라는 대결자가 나선다. 연개소문과 양만춘이 죽게되자 이제 상황은 고구려의 내부로 오게되고 그러자 연남생(임호)과 연남건 형제를 이간시키며 망국의 길로 이끄는 부기원(김하균)과 사부구(정호근)가 대조영의 확고한 적으로 등장한다. 이제 고구려 부흥의 기치를 걸고 당나라와 싸우고 있는 대조영은 설인귀를 축으로 하는 이해고, 부기원 등과 대결구도를 이루고 있다.

대조영, 조금은 다른 영웅
고구려 사극의 기치를 걸고 등장했던 ‘주몽’, ‘연개소문’과 비교해 ‘대조영’은 조금은 다른 영웅의 면면을 보여준다. ‘주몽’은 국가를 세우는 영웅으로서 강력한 카리스마와 함께 융합력이 돋보이는 인물이었다면, ‘연개소문’은 절대적인 카리스마로 이렇게 세워진 국가를 지켜내는 인물이다. 어찌 보면 주몽과 연개소문은 자신의 입지를 하나씩 넓혀나갔던 인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비해 ‘대조영’은 잃었던 것을 찾는 영웅으로 그려진다.

이것은 단지 패망된 고구려의 부흥이라는 거대한 틀 안에서의 대조영의 역할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는 처음부터 모든 것을 잃었던 인물이다. 부모를 잃고 신분을 잃었던 그는 성장해 부모를 되찾고(물론 어머니는 그 과정에 죽지만), 자신의 신분도 되찾는다. 그런 그의 캐릭터가 고구려라는 민족의 희원을 되찾는 행보를 보이는 것은 드라마의 구조상 가장 잘 맞아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가진 것 위에서 무엇을 세우는 것이 아니고 잃은 것을 되찾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대조영은 여타의 영웅들보다 더 강렬한 이미지를 갖는다. 그가 되찾고자 하는 소망과 현재의 모습 사이에서 비롯되는 간극은 그만큼의 간절함을 만들어낸다. 가진 것 없던 그가 성공을 이루는 방식은 온 몸을 던지는 것. 나라의 패망이 내부적인 갈등에서 비롯되었기에 그는 초기 연개소문과 양만춘 사이에서 연남생과 연남건 사이에서 중재자의 역할을 맡는다. 그리고 지금은 결국 잃게된 나라를 되찾는 영웅의 길을 가고 있다.

단순 대결이 아닌 두뇌싸움으로서의 대결
‘잃은 것을 되찾는다’는 기치를 내건 대조영의 적은 ‘잃게 만든 이들’이다. 빼앗으려는 자와 빼앗기지 않으려는 자 사이에 벌어지는 이 대결은 그러나 단순한 물리적 충돌이 아니다. 거기에는 전략가들이 등장한다. 대조영과 미모사(김정현)가 전략을 짜고, 반대편에서는 설인귀와 신홍(김규철), 부기원, 이해고가 머리를 짠다. 똑같은 전투 신, 전쟁 신이 나오더라도 그 재미의 깊이가 달라지는 것은 바로 이 전략의 부딪침으로 그 장면들이 이해되기 때문이다.

굳이 초대형의 전쟁 신이 그다지 의미가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대조영’은 몇 명되지 않는 게릴라 전투로 좀더 아기자기한 두뇌싸움이 갖는 대결의 세계로 시청자들을 끌어들인다. 스케일 논란을 빚었던 ‘주몽’과 초기 과도한 전쟁 신으로 제작비 문제를 일으킨 ‘연개소문’의 행보에 비교하면 경제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즉 같은 사극이라도 ‘대조영’은 국가 간의 대결보다는 인물들간의 치밀한 대결구도를 중심으로 이어가는 사극이라 할 수 있다.

인물 간 대결구도 중심 사극의 양면성
하지만 여기에도 문제점은 있다. 아무리 인물들 간의 치열한 대결구도가 계속 해서 이어진다고 해도 굵직한 사극 전체를 꿰뚫는 커다란 대결구도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너무 잔재미에 머물 수 있다. 지금 ‘대조영’이 처한 상황이 그렇다. 한 회도 빠지지 않고 이어지는 대결구도는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계속 유발해왔던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은 또한 끝없는 대결로 인한 긴장감 또한 무한히 떨어져온 것도 사실이다. ‘보고는 있지만 무언가 미진한’ 느낌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엎치락뒤치락하는 것도 어느 정도이지 너무 많이 지속되면 지루해지기 마련. 이제는 대결구도가 만들어지면 ‘어떻게든 해결될 것이다’라는 잠재적인 안도감을 갖게된다. 그것은 대조영이 이해고에게 칼을 맞아 거의 죽음 직전까지 가게되고 반신불수의 몸에서도 재활(?)에 성공하는 장면이 나오면서 더욱 심화됐다. 이제 대조영은 어떤 상황에서도 일어서는 인물이 된 것이다. 이것은 무한대결이 갖고 온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대결구도는 조금씩 더 강도가 강해져야 하는데 거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대조영은 분명 그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이 상황에서 대조영 역을 하고 있는 최수종이란 배우가 갖게될 부담감은 당연하다. 무한대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단계적인 발전인데 지금 대조영은 거의 수평적인 진행을 밟고 있다. 다만 최수종을 위시한 배우의 열연으로 그 힘이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있을 뿐이다. 무한대결은 사극이 가진 힘이 분명하며 ‘대조영’이란 매력적인 드라마는 바로 그걸 추구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 이제 ‘대조영’은 새로운 국면을 향해 나가야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지금까지 보였던 잃었던 것을 되찾는 인물, 대조영에서 이제 새로운 것을 세우는 인물, 대조영으로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것이 무한대결, '대조영'에서 무한끌기의 혐의를 벗어내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