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세계의 끝', 왜 지상파는 이런 시도를 못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세계의 끝', 왜 지상파는 이런 시도를 못할까

D.H.Jung 2013. 3. 21. 09:24
728x90

<세계의 끝>, 종편이라 안 봐? 그렇다면 지상파는?

 

사실 종편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일 게다. 이것은 그간 종편의 모체인 보수 언론들이 기득권 세력으로 인지되는 한, 또 그 언론과 종편 채널이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을 거라는 생각이 있는 한 바뀌기 어려운 정서일 지도 모른다. 그래서 종편에서 방영되기 때문에 무조건 안 본다는 시청자들의 마음도 이해가 간다. 하지만 정서를 빼놓고 콘텐츠만 놓고 볼 때 어떤 경우에는 이런 생각이 무색해질 때가 있다. JTBC에서 새로 시작한 <세계의 끝> 같은 드라마가 그렇다.

 

'세계의 끝'(사진출처:jtbc)

<하얀거탑> 같은 명품 드라마를 연출한 안판석 감독의 작품답게 <세계의 끝>은 지금껏 드라마들이 다루지 않았던 바이러스라는 소재를 가져왔다. 흔히 재난영화에서나 봐왔던 장르적 요소들을 드라마로 끌어온 <세계의 끝>은 그래서 그 자체가 도전이다. 아마도 미드나 일드에서나 볼 수 있었던 촘촘한 스토리와 구성, 드라마라기보다는 영화에 가까운 연출은 어딘지 낯선 느낌마저 든다. 그러니 늘 우리네 드라마하면 떠오르는 식상하지만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되는 코드들이나 장치들이 전무한 이 드라마는 시청률의 잣대로 보면 무모하게까지 여겨진다.

 

하지만 이런 새로운 실험작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끝>은 조금도 서두르는 기미가 없다. 재난장르가 가진 특성에 맞게 아주 서서히 조금씩 긴장감을 높여가면서 드라마의 극적 재미를 만들어낼 요소들을 차근차근 알려준다. 질병관리본부의 셜록 홈즈로 불리는 강주헌(윤제문)의 탐정 뺨치는 치밀한 캐릭터를 세우고, 일단 감염되는 순간 누구든 포기되고 격리될 수밖에 없는 그들의 직업적 특징이 소개된다.

 

또 감염된 본인에겐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진 않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치명적인 존재로서의 장티푸스 메리의 등장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그 장티푸스 메리라는 존재가 갖는 심리까지 설명된다. 즉 가해자이지만 동시에 피해자의식을 갖기 마련인 장티푸스 메리는 누군가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그 죄책감을 자기 또한 피해자라는 자기 연민으로 넘어선다는 것. 즉 그만큼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처음 2회 분량은 이 장치들을 설명하고 깔아놓는 단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하얀거탑>에서 이미 보여주었듯이 <세계의 끝>은 본격적인 대결구도와 극적 긴장감을 높여나갈 것으로 보인다. 시청률은 알 수 없지만 그것이 적어도 이 작품에는 그다지 중요한 건 아니다. 더 중요한 건 이런 새로운 드라마적 시도를 한다는 것 그 자체다. 무엇보다 우리가 흔히 신문 한 귀퉁이에서 봤음직한 바이러스가 앞으로 일으킬 대혼란에 대한 공포감이 이 드라마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그 낯선 소재와 연출 때문에, 또 어쩌면 조금은 실험작으로서의 한계 때문에 이 드라마는 지루하게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세계의 끝> 같은 드라마가 지금껏 늘 반복된 코드들만을 보여주던 드라마들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요소들을 제공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런 점에서 <세계의 끝>은 늘 반복적으로 때우듯이 먹어왔던 음식이 아니라 새롭기 때문에 낯설고 또한 설레는 음식인 셈이다. 그렇다면 최근 지상파의 드라마들은 어떨까. 새로운 시도를 한다기보다는 그저 시청률에 목매고 있는 건 아닐까.

 

심지어 막장으로까지 치닫는 복수극(야왕), 한 때 새롭게 여겨졌지만 무한히 반복되면서 이젠 지겨워져 버린 미션 구조의 성장드라마(마의), 매번 출연자만 달라지는 듯한 전형적인 가족드라마(최고다 이순신), 볼거리에만 치중해 내용이 부실한 블록버스터(아이리스)... 그 밖에도 지상파 드라마라면 어디든 존재하는 출생의 비밀이라는 공식이나 신데렐라의 변종 혹은 캔디형 캐릭터 같은 흔해빠진 지상파 드라마의 코드까지. 스타급 연기자를 캐스팅하고 거기에 맞춰 비슷한 코드의 무한 반복에 머물러 있는 것이 작금의 지상파 드라마들의 현주소가 아닌지.

 

이런 지극히 보수적인 덫에 걸려 있는 지상파 드라마들을 보다보면, 종편이기 때문에 안 본다는 그 정서를 이해하면서도 <세계의 끝> 같은 드라마 앞에서 고개가 갸웃거려질 수밖에 없다. 도대체 뭐가 더 보수적인가라는 회의. 지상파는 왜 <세계의 끝> 같은 드라마를 시도하지 못하는가. 그저 기존 시청률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존 시청층에 안주해 언제까지 비슷비슷한 드라마의 무한 반복에 머물러 있을 것인가. 그렇게 안주해버리는 지상파 세계의 끝은 불을 보듯 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