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배종옥과 김태우가 보여준 악역의 품격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배종옥과 김태우가 보여준 악역의 품격

D.H.Jung 2013. 3. 23. 08:30
728x90

<그 겨울>의 배종옥과 김태우, 악역에도 격이 있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이하 그 겨울)>에서 왕비서(배종옥)과 조무철(김태우)은 미스테리한 인물들이다. 누가 봐도 악역이지만 그 속내를 좀체 알 수가 없다. 왕비서는 눈 먼 오영(송혜교)의 뒷바라지를 하며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 마치 엄마처럼 오영을 걱정하고 챙기지만, 그녀가 사실 오영의 눈을 멀게 방치했다는 사실은 그것이 모성이 아니라 모성에 대한 괴물 같은 집착이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그녀는 오영을 평생 옆에 두고 챙기는 것으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려 했던 것.

 

'그겨울 바람이 분다(사진출처:SBS)'

왕비서가 자신의 집착이면서도 그것을 모성으로 꾸몄다면, 조무철은 정반대 악역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조무철은 오수(조인성)로 하여금 오영에게 거짓 오빠 노릇을 하게 만드는 장본인이다. 100일 안에 78억을 갚지 않으면 죽이겠다는 위협은 이 드라마의 가장 강력한 장치가 된다. 이 드라마는 자본의 문제와 동시에 죽음의 문제를 겹쳐서 돈을 무화시키는 죽음의 힘,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인간애 같은 것을 다루고 있는데 조무철은 오수에게 바로 그 죽음을 드리우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 겨울>에는 그래서 세 명의 시한부 인생이 등장한다. 뇌종양이 재발해 죽어가는 오영이 그렇고, 말기암 판정을 받은 조무철이 그러하며 그로 인해 100일이라는 시한부인생을 선고받은 오수가 그렇다. 죽음이라는 명제와 78억이라는 돈은 늘 같이 병치되어 나오면서 동시에 삶과 사랑, 사람에 대한 가치가 부각되는 게 이 드라마의 핵심구조다. 조무철이라는 악역은 그래서 겉으로 보면 악역이지만 사실상 오수라는 탕자에게 진짜 삶을 부여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박진성(김범)과 오수를 죽이려는 김사장에게 100일을 채울 동안 기다리라 오히려 협박하는 조무철의 행동은 그래서 그가 실제로는 악역이 아닌 존재라는 걸 감지하게 해준다.

 

마치 엄마처럼 행동하고, 모성마저 가장하는 왕비서라는 존재와, 악역처럼 행동하지만 사실은 오수에 대한 애증을 갖고 있는 조무철이라는 존재는 <그 겨울>이 가진 격이 다른 악역의 결을 보여준다. 심지어 오영의 눈을 멀게 방치하는 왕비서라는 인물은 점점 그 밑바닥을 드러내면서 악역이라기보다는 측은한 마음까지 들게 만드는 인물이 된다. 무엇이 그녀를 그토록 모성에 집착하게 했던 것일까 하는 마음.

 

'그겨울 바람이 분다(사진출처:SBS)'

반면 가장 비열한 것처럼 보였던 조무철은 그 이면에 깔린 오수와의 애증이 드러나면서 점점 상처받은 짐승 같은 동정심을 유발한다. 어쩌면 조무철의 죽음은 오수를 구원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아마도 악역이 이 정도의 구원자 역할을 해낸 캐릭터는 지금껏 우리네 드라마에서 흔치 않았을 게다.

 

무엇보다 놀라운 건 이 특별한 악역들을 연기하고 있는 배종옥과 김태우의 연기력이다. 배종옥의 오영을 바라보는 눈은 엄마처럼 자애롭다가도 갑자기 치켜떠지면 공포영화의 그것처럼 보는 이들을 소름끼치게 만든다. 김태우의 오수에 대한 증오심은 한없이 폭발하다가도 어느 순간 언뜻언뜻 그 내면의 애정이 묻어난다. 눈가의 흉터는 잔인한 악마의 모습과 동시에 쓸쓸한 상처의 흔적을 담아낸다. 이들은 눈빛 하나만으로도 이 양가감정을 가진 캐릭터를 넘나들고 있는 셈이다.

 

악역조차 인간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것은 아마도 노희경 작가가 가진 휴머니즘과 닿아 있을 것이다. 그저 이해할 수 없는 악마 같은 존재들이 그저 드라마의 극성을 만들기 위해 기능적으로 활용되는 <야왕>이나 <백년의 유산> 같은 드라마의 악역들과는 그래서 확연히 다른 격을 보여준다. 악역에게조차 어떤 온기를 부여하는 것. 이것은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과 이해에서나 가능한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