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 겨울>, 기막히게 적절했던 벚꽃엔딩의 의미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 겨울>, 기막히게 적절했던 벚꽃엔딩의 의미

D.H.Jung 2013. 4. 5. 09:02
728x90

<그 겨울>과 버스커버스커의 '벗꽃엔딩'

 

그것은 해피엔딩이었을까 새드엔딩이었을까.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의 엔딩은 봄바람에 벚꽃이 흩날리는 어딘지 동화적인 공간 속에서 서로의 눈을 마주보게 된 오수(조인성)와 오영(송혜교)의 키스로 끝이 났다. 겉으로 보면 해피엔딩처럼 보여지지만, 그 장면이 가진 동화적인 느낌은 그것이 모두 한 자락 꿈 같은 아련함을 남기기도 한다. 보는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가능한 열린 선택이었던 셈이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사진출처:SBS)

드라마의 스토리구조 상 <그 겨울, 바람이 분다>는 비극일 수밖에 없다. 죽음이라는 대전제를 깔고 그 위에서 삶의 의미를 새삼 되새기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살아야 되는 이유’ 혹은 ‘사랑이라는 삶의 존재 근거’ 같은 주제의식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것은 결국 죽음일 것이다. 하지만 그 죽음이라는 비극을 그저 비극으로만 바라볼 필요는 없다. 어떤 삶은 죽음만도 못한 비극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오수와 오영이 서로를 만나기 전까지 살아온 삶처럼.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의 인물들이 저마다 눈물을 흘리면서도, 또 죽음을 향해 달려가면서도 그 입가에 미소를 지었던 것은 바로 그 지점에서 삶의 행복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처럼 죽음과 삶은, 또 비극과 희극은 동전의 양면처럼 같이 공존하기 마련이다. 이 희비극의 관점을 통해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의 엔딩을 바라보면 그 선택이 얼마나 절묘하고 적절했는가를 느낄 수 있다.

 

결국 동생처럼 따르던 박진성(김범)의 칼에 맞아 피를 흘리면서도 오영에게 가야한다고 발걸음을 떼던 오수가 쓰러지는 장면은 어쩌면 이 드라마의 진짜 끝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보면 그 이후에 이어지는 이듬해 봄의 이야기들은 죽어가던 오수 혹은 오영의 짧은 판타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심지어 죽음을 향해 스스로를 내던질 정도로 원했던 만남일 테니 말이다.

 

도저히 살 수 없을 것 같은 오수의 상황, 가능성이 10%에 불과하다는 오영의 수술을 앞두고 두 사람이 만나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는 장면은 그래서 슬프면서도 행복감을 안겨준다. 여전히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미래를 꿈꿀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행복할 수 있을 테니까.

 

혹독했던 ‘그 겨울’의 바람이 따스할 수 있었던 것은 잠 못 이루는 오영의 방에 오수가 걸어준 풍경처럼 그 바람이 아름다운 소리로 전화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보이지 않는 암흑 속에서 차가운 바람이 아름다운 소리로 바뀐 것처럼, 그들의 판타지 같은 재회에서는 따스한 봄바람에 흩날리는 벚꽃 잎이 아름다운 풍경으로 우리를 설레게 한다. 그렇게 겨울에서 봄으로 오면서 바람은 청각에서 시각으로 바뀌는 마법을 선사한다.

 

사실 해피엔딩이든 새드엔딩이든 겉으로 드러난 결과가 뭐 그리 중요할까. 중요한 것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것일 게다. 죽음을 맞이했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그것을 아름답게 기억할 때 그것은 더 이상 슬픈 끝에 머물지는 않을 것이다. 그 겨울의 바람조차 따스한 추억이 될 수 있으니. 그렇게 겨울의 끝자락을 채워준 <그 겨울, 바람이 분다>는 봄바람에 벚꽃 잎이 살랑살랑 흩날리는 계절에 끝을 맺었다. 마치 1년이 지나 다시 들려오는 버스커버스커의 ‘벚꽃엔딩’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