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직장의 신', 이 땅의 미스 김과 정규직에게 고함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직장의 신', 이 땅의 미스 김과 정규직에게 고함

D.H.Jung 2013. 4. 24. 09:41
728x90

<직장의 신>, 능동적 비정규직과 파리 목숨 정규직... 눈물 난다

 

“죄송합니다. 부장님. 그 제안은 거절하겠습니다. 저는 회사에 속박된 노예가 될 생각이 없습니다.” <직장의 신> 미스 김(김혜수)의 도발적인 말에 장규직(오지호)는 “예의가 없다”며 발끈한다. 그러자 미스 김이 한 마디 덧붙인다. “그런 예의는 정규직들끼리 지키십시오. 저에게 회사는 일을 하고 돈 받는 곳이지 예의를 지키러 오는 곳이 아닙니다.” 실제로 그런 게 있을까 싶지만 그녀는 이른바 능동적 비정규직이다.

 

'직장의 신'(사진출처:KBS)

“IMF 이후 16년 비정규직 노동자 8백만 시대에 이제 한국인의 소원은 통일이 아니라 정규직 전환이 된” 시대에 그녀는 왜 능동적으로 비정규직을 고집하게 됐을까. 그것은 이른바 ‘미스 김 어록’이 되어버린 명대사들을 통해 미루어 알 수 있다. ‘업무의 연장’으로 끌려가 ‘몸 버리고 간 버리고 시간 버리는 자살테러’인 회식에 억지로 참석해야 하고, 우정이다 예의다 하는 사적인 말로 은근슬쩍 업무를 하게 되는 것이 싫기 때문이다.

 

미스 김은 대신 모든 걸 ‘미스 김 사용설명서’의 계약조건 속에 기재했다. 회식에 나가 고기를 자르는 것도, 노래방에 가서 탬버린을 치는 것도 그녀에게는 그래서 ‘시간 외 수당’이 추가되는 일이다. 합리적이다. 하지만 회사 관계를 지나치게 업무 관계로만 만드는 차가움이 존재한다. 회사에서 절대로 사사로이 웃지 않는 미스 김은 그래서 ‘일하는 로봇’ 같다. 퇴근 하면 마추피추 같은 살사 바에서 사교를 나누며 웃음을 되찾지만 미스 김은 업무 속에서 늘 데드마스크를 쓴다.

 

미스 김의 이 극단적인 행동에는 좀 더 사적인 이유가 있다. 아직 정확히 그 이유가 나오진 않았지만 여러 차례 복선을 통해 그녀가 과거 은행원이었고 그 은행에 화재가 났었으며 그 화재로 인해 자신을 친동생처럼 챙겨주던 직장 언니가 사망했으며 무슨 일인지 그 은행에서 정리해고 당했다는 것이다. 그 트라우마가 그녀를 직장 내 로봇으로 만들었다는 것.

 

하지만 이것뿐일까. <직장의 신>이 미스 김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보여주려는 것은 한때 그토록 ‘가족’을 외쳤던 회사들이 어느 날 그들을 길바닥에 나앉게 만들었던 IMF 시절 이후 생겨난 직장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다. 평생직장 개념이 끝장나버린 시대에 회사와 사원 사이에 그 어떤 가족 개념이 남아있을 수 있단 말인가. 그러니 차라리 모든 걸 계약관계로 환원하는 미스 김의 직장생활이 훨씬 합리적이란 풍자가 거기에는 녹아있다.

 

그렇다면 심지어 정규직 우월주의(?)에 빠져 있는 듯한 장마초 장규직은 어떨까. 미스 김과 사사건건 대립하는 장규직은 과연 정규직으로서 행복한 직장생활을 하고 있을까. 벚꽃잎이 떨어지는 어느 날 밤 장규직이 자신도 모르게 미스 김에게 입맞춤을 한 것에 대한 그녀의 표현이 의미심장하다. 그녀는 그걸 “파리”라고 표현했다. 그저 자신의 입에 닿았다가 날아간 파리. 그런데 왜 하필 파리일까. 그것은 혹시 파리 목숨 정규직을 상징하는 건 아닐까. 장규직이 보이는 정규직 우월주의란 따라서 비정규직이 되는 것에 대한 공포를 드러내는 것은 아닐까.

 

<직장의 신>은 미스 김과 장규직이라는 캐릭터들의 대결이 코미디로 그려져 있지만 이 두 사람(부류) 어느 누구도 행복하지 못하다. 모든 능력을 다 갖춘 미스 김은 과연 행복한가. 그녀의 절대로 웃지 않는 데드마스크는 그녀의 불행한 삶을 에둘러 말해준다. 이것은 살아남기 위해 늘 발을 동동 대는 장규직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상한 일이지만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대는 미스 김과 장규직이 어느 날 갑자기 입맞춤을 하는 장면이 하나도 어색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그것은 이 두 인물 모두 회사라는 조직에 의한 희생자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스 김과 장규직이 같은 기일에 같은 납골당을 찾는 장면은 의미심장하다. 아마도 그건 화재로 인해 상처를 입은 건 미스 김만이 아니라 장규직도 마찬가지였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사실 미스 김과 장규직이 마치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대표선수가 되어 싸우고 있지만 그들은 모두 회사의 피해자다. 그 트라우마로 인해 한 사람이 절대 회사와의 사적 관계나 감정을 맺으려 하지 않는 데드마스크의 삶을 선택한 반면, 다른 한 사람은 어떻게든 그 시스템에서 쫓겨나지 않기 위해 발버둥치는 삶을 선택한 것뿐이다.

 

그렇다면 누가 그들을 그렇게 비인간적인 삶(로봇 같은 미스 김, 혹은 배려 없는 장규직)을 살게 만든 것일까. 그것은 그들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눠 끝없이 경쟁하게 만든 회사라는 시스템이다. 장규직이 회사의 논리를 들어 미스 김에게 “예의가 없다”고 말하지만, 사실 예의가 없는 건 회사라는 시스템이다. 그렇게 우리를 비인간화하는 회사에 우리가 왜 예의를 차려야 하는가. 그건 예의가 아니라 굴복이 아닌가. 이것이 미스 김이 던지는 메시지다. 또 이것은 대립하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장규직이 미스 김에게 끌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들은 어쩌면 똑같은 피해자라는 동류의식을 공유하기 시작했으니까.

 

<직장의 신>의 능동적 비정규직과 파리 목숨 정규직이 그려내는 코미디는 그래서 아프고 슬프다. 그것은 회사의 시스템에 의해 상처 받은 두 인물이 꼭꼭 숨겨놓은 서로의 상처를 발견해가는 과정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장의 신>의 코미디가 이 땅을 살아가는 수많은 미스 김들과 정규직들에게 고하는 이야기는 결코 가볍지 않다. 특히 지금처럼 고용불안이 일상이 된 삶 속에서는 더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