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김혜수, 이효리, 씨엘, 나쁜 언니 전성시대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김혜수, 이효리, 씨엘, 나쁜 언니 전성시대

D.H.Jung 2013. 6. 3. 08:49
728x90

무엇이 그녀들을 나쁜 언니로 만들었을까

 

이효리는 신곡 ‘배드걸’에서 “욕심이 남보다 좀 많은 여자. 지는 게 죽는 것보다 싫은 여자. 거부할 수 없는 묘한 매력 있는”, 이른바 나쁜 여자가 ‘영화 속 천사 같은 여주인공’보다, ‘TV속 청순가련 여주인공’보다 더 끌린다고 노래했다. 그녀가 말하는 ‘배드걸’은 “독설을 날려도 빛이 나는 여자. 알면서 모른척하지 않는 여자. 어딘지 모르게 자꾸만 끌리는” 그런 여자다.

 

이효리와 김혜수(사진출처:MBC,KBS)

나쁜 여자라고 수식어를 달았지만 사실 여기서 나쁘다는 것은 의미가 다르다. 즉 흔히 사회적 통념이 요구하는, “화장은 치열하게 머리는 확실하게 허리는 조금 더 졸라매야” 하고 또 “표정은 알뜰하게 말투는 쫀득하게 행동은 조금 더 신경 써야” 하는 그런 여자의 모습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나쁘다’는 표현일 뿐이다. 즉 이는 뒤집어 말하면 이런 통념에 빠뜨리는 사회가 나쁘다는 뜻일 게다.

 

공교롭게도 씨엘이 솔로곡으로 발표한 신곡 ‘나쁜 기집애’에서도 나쁜 여자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등장한다. 스스로를 ‘나쁜 기집애’라고 부르면서도 “당당한 지조, 고귀한 품위, 눈 웃음은 기본, 내 눈물은 무기”인 자신에 대한 프라이드를 숨기지 않는다. 흥미로운 가사는 “남자들은 허니라” 부르고 “여자들은 언니라” 부른다는 대목이다. 걸그룹으로서는 특별하게 여성 팬층이 많은 2NE1에게 ‘언니’라는 지칭은 남다르게 다가온다.

 

이른바 ‘나쁜 언니 전성시대’다. 이효리와 씨엘이 남성들은 물론이고 여성들에게도 어필하는 부분은 ‘멋있다’는 평판 덕분이다. 즉 남성의 시선에 포획된 여성이 아니라, 이들은 독립적인 여성 자신으로서의 매력을 주장한다. 그런데 바로 이 지점은 자연스럽게 기성 사회와의 긴장관계를 만들어낸다.

 

김혜수가 <직장의 신>에서 호평 받은 것은 그 캐릭터가 가진 이른바 ‘나쁜 언니 포스’ 덕분이다. 김혜수가 연기하는 미스 김이라는 캐릭터는 장규직(오지호)이라는 정규직 우월주의자와 부딪치면서 동시에 약자로 그려지는 정주리(정유미)를 보호하는 ‘언니’로 등장한다. 직장이라는 조직 속에서 미스 김이 취하는 과감한 행보들은 기존 통념들을 뒤집는 것들이었다. 그러니 이를 보는 시청자들이 통쾌함을 느낄 수 있었던 것. 특히 여성들에게 미스 김은 호감 가는 포스 강한 ‘나쁜 언니’로서 자리 잡는다.

 

청순가련형 혹은 공주 스타일의 착한 여성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호감도는 과거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다. 대신 악녀나 독한 여성 캐릭터에 대한 주목도가 훨씬 높아졌다. <백년의 유산>에서 막장 시어머니에 대립하는 막장 며느리 역할로 주목을 받았던 심이영이나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 대비의 갖은 악행에 맞서 악녀로 변신하는 장옥정 역할의 김태희가 새삼 주목받은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독한 세상에 맞서는 독한 언니들에 대한 카타르시스라고 할까.

 

결국 나쁜 언니 전성시대는 편견과 통념, 심지어 금기로 꽉 막혀 있는 현실을 살아가는 여성들의 답답증 속에서 탄생한다. 그리고 급기야 이효리가 ‘배드걸’에서 말하듯, ‘착하게 살아봤자 남는 거 하나도 없는’ 현실에 대해 ‘이젠 못 참겠다’고 나선다. 최근 트렌드처럼 쏟아져 나오는 ‘나쁜 언니들’ 속에는 그래서 그들을 나쁘게 만든 나쁜 세상이 어른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