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내 남자의 여자’, 남자는 어디로 갔나 본문

옛글들/명랑TV

‘내 남자의 여자’, 남자는 어디로 갔나

D.H.Jung 2007. 4. 17. 03:00
728x90

여자들을 혹은 여자들만을 위한 드라마

김수현이 그려내는 불륜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는 그 제목부터가 심상찮다. 불륜이라면 당연히 여자와 함께 남자가 있어야 하는 법. ‘내 남자의 여자’란 제목은 남자를 사이에 둔 두 여자라는 관계를 설정한다. 중요한 것은 이 제목에 방점이 찍히는 부분이 ‘남자’와 ‘여자’, 양쪽이 아니라는 점이다. 강조되는 부분은 궁극적인 지칭대상인 ‘여자’에 있다. ‘남자’라는 단어 역시 ‘내’라는 여자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존재. 그러니 이 제목에서 ‘남자’는 그냥 가운데 가만히 멈춰선, 혹은 양쪽에 포획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왜 홍준표는 침묵하고 있을까
제목처럼 이 드라마에서 남자를 찾아내는 것은 어렵다. 홍준표(김상중)가 남자일까. 교수에 나이 들어서도 여전히 부모의 돈으로 풍족한 생활을 하며, 게다가 천사표 부인까지 있는 홍준표는 과연 이 드라마에서 남자로 그려지고 있을까. 이화영(김희애)과 김은수(하유미)가 마치 입에 기관총이라도 단 듯 거침없이 속내에 잔뜩 품은 총알을 쏘아대고 있을 때, 홍준표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그는 침묵하고 방관하고 있었다. 한 손에는 가정을 쥐고 또 한 손에는 욕망을 쥔 채 어느 한 쪽도 잡지 못하고, 또 버리지도 못하면서 “어쩔 수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었다.

그가 이화영과의 불륜을 저지른 것에 무언가 그만의 이유가 있음직도 한데, 그와 이화영이 밝히고 있는 것은 두 가지뿐이다. “의도하지 않았다”와 “그래도 멈출 수 없었다”. 의도하지 않았다는 것은 불꽃처럼 순간적으로 벌어진 일을 뜻하니, 그것은 운명적인 것이었을까. 그런데 잘 보면 누구나 알겠지만 이 드라마는 운명이나 금지된 욕망에 대해 논하려는 의도가 없다. 머리채를 잡고 프라이팬으로 머리통을 내려치며 주먹과 발길질이 오가는 상황이 그걸 말해준다. 이 드라마는 이화영이 대사 속에서 말한 것처럼 불륜이라는 상황 속에서 “끝까지 가보는”, 그래서 어떻게 될 것인가의 화학반응을 보는 쪽을 택했다.

남자라는 족속은 다 그렇다(?)
그런데 김수현의 직설화법 속에서 왜 유독 홍준표는 그다지도 입이 무거운 걸까. 혹 이유가 없는 건 아닐까. 그저 남자라면 다 그런 족속이라고 드라마가 말하는 건 아닐까. 적어도 등장하는 남자들의 면면을 볼 때 그런 혐의를 벗을 수는 없을 것 같다. 트렌디하기 이를 데 없는 불륜전과자(?), 허달삼(김병세)은 남자란 존재가 ‘다 그렇고 그런 수컷’이라고 말한다. 그의 대사를 보면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그 놈의 수컷 기질은 어쩔 수 없는 철없는 남자라는 존재가 그려진다. 불륜 사실을 알고 괴로워하는 지수(배종옥) 앞에서 오히려 더 열불을 내고 있는 은수에게 “당신도 처음이 제일 힘들었지?”라고 묻는 남자다.

불륜 사실이 밝혀지고 집 앞에서 어쩔 줄 몰라하는 홍준표를 데리고 가 코치랍시고 하는 대사들 속에도 남자는 없고 수컷만 존재한다. “무조건 빌어라. 빈다고 해결되지 않지만 그렇게 지나간다”는 게 허달삼이 코치한 내용이다. 중요한 건 이런 허달삼의 이야기를 홍준표 역시 듣고만 있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 역시, “그게 통할까요?”라고 묻고, “차라리 한 일주일 숨었다가 오라”는 허달삼의 말에, “저도 그러고 싶어요.”라고 맞장구를 치는 캐릭터다. 여기서 그려지는 남자의 모습은 가정이 파탄 날 상황에서도 남자들은 저 혼자 도망칠 궁리만 한다는 것이다.

이 드라마가 그리고 있는 저질이고 철없으며 책임회피만 하면서 여자라면 사족을 못쓰는 남자들의 모습은 거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준표의 아버지인 홍회장(최정훈)이 가정부의 가슴을 만지는 장면, “남자란 족속들은 나이가 드나 젊으나 마찬가지”라고 말하는 듯한 그 장면 속에서 우리가 발견하는 건 남자가 아닌 수컷이다. 왜 이다지도 남자를 극단적인 모습으로 그려 가는 것일까. 이것은 그 남자가 침묵하고 있다는 것과 만나면서 드라마 속에 묘한 기류를 형성한다. 그것은 이 불륜 게임에서 남자를 소외시키고 여자들만의 대결구도를 만들어낸다. “남자들은 어쩔 수 없어. 그러니 우리가 해결해야되는 거야”라고 말하는 것이다.

여자들을 혹은 여자들만을 위한 드라마
김희애라는 팜므파탈이 탄생하는 것은 바로 이 여자들의 대결구도를 흥미진진하게 이끌기 위함이다. 적이 도무지 이가 들어가지 않는 인물이어야 대결은 더 극적으로 전개된다. 이 대결구도는 윤리적으로 말하면 선악구도가 너무나 명징해서 오히려 식상해진 설정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주로 여자와 남자의 대결이었던 과거의 선악구도와 달리 여자와 여자가 맞붙게 되자 이야기는 참신해진다. ‘내 남자의 여자’라는 관계 속에서 화영과 지수는 서로 자리싸움을 시작한다. ‘내 남자의 여자’는 화영의 관점에서 보면 지수가 되고, 지수의 관점에서 보면 화영이 된다. 여기서 변하지 않는 인물, 남자는 홍준표이고 그는 침묵을 통해 드라마 전체가 말해주는 ‘남자라는 속물’을 묵인하고 있는 셈이다.

‘내 남자의 여자’는 여자들을 위한 드라마이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이 드라마가 불륜이란 소재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갖게되는 최대의 강점이 된다. 그러기 때문에 은수가 지수를 위해 화영을 찾아가 ‘박살을 내버리는’ 장면에서 “저런 언니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또한 이러한 여자들만의 구도 속에서 남자 캐릭터가 일방적으로 그려져 상황 자체에서 배제되는 것 역시 사실이다. 단 한 명 그렇게 그려지지 않는 유일한 남자인 지수와 은수의 친정아버지인 김용덕(송재호)이란 캐릭터가 있다는 건 그나마 다행이다. 적어도 아버지는 남자로 그려지고 있는 셈이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