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정글', 왜 자꾸 다큐가 되려는 걸까 본문

옛글들/명랑TV

'정글', 왜 자꾸 다큐가 되려는 걸까

D.H.Jung 2013. 6. 23. 08:03
728x90

<정글> 병만족의 생고생, 재미는 없는 이유

 

<정글의 법칙> 히말라야편에서 병만족의 웃음을 찾는 것 쉽지 않다. 이들이 서 있는 공간이 웃음을 허락할 만큼 호락호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히말라야 트레킹은 말 그대로 고행의 연속이었다. 고산병으로 숨 쉬는 것조차 불편한 그 곳을 20킬로가 넘는 배낭을 짊어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극도로 예민해진 병만족이 말다툼을 하는 장면은 그들이 얼마나 힘겨운 고투를 벌이고 있는가를 말해주었다.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그 와중에도 김병만의 희생과 도전정신은 보는 이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오지은의 무거운 배낭까지 대신 짊어지고 오르는 모습은 마치 인간의 한계를 시험해보려는 것만 같았다. 그렇게 목적지인 폭순도 호수까지 가까스로 올라가 그 절경 앞에 감탄하지만 그것도 잠시 고산병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장면이 이어졌다. 정준은 숨을 쉴 수가 없다며 고통을 호소하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날 것의 생고생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해졌고, 그래서 그 땀이 보여주는 진정성이 분명해진 것만은 사실이다. 하지만 <정글의 법칙>이 그간 시청자들에게 전해주었던 즐거움과 재미는 상대적으로 사라져버렸다. <정글의 법칙> 히말라야편은 마치 등산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처럼 깨알 같은 재미를 찾기가 어려워졌다. 한 편 내내 산을 오르고 오르며 고통스러워하는 병만족의 모습을 확인했을 뿐이다.

 

이번 히말라야편은 현지 적응 훈련으로 들어간 바르디아 정글에서도 생각만큼의 재미를 끌어내지는 못했다. 야생동물 관찰이라는 새로운 재미요소가 있었지만 그것이 너무 오랫동안 반복되면서 지루해진 것도 사실이다. 야생의 뱅갈호랑이를 보는 장면은 물론 흥미로운 일이지만 그 과정은 오로지 기다리는 것일 수밖에 없다. 먹거리를 자체적으로 해결하기가 어려운 척박한 환경이기 때문에 야생동물을 찍은 대가로 음식을 제공하는 방식이 반복됐는데 이것 역시 <정글의 법칙> 특유의 재미를 반감시키기도 했다.

 

그나마 이번 편에서 발견한 웃음은 안정환이었다. 그는 깨알 같은 농담으로 고생하는 병만족들의 웃음을 잃지 않게 만들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이번 히말라야편은 <정글의 법칙> 특유의 다큐와 예능 사이에 놓여진 재미가 상당부분 사라져 버렸다. 사냥의 재미도 찾기가 어려웠고 힘겨운 와중에도 즉석에서 상황극을 할 정도로 여유 있는 웃음은 더더욱 찾기 어려웠다. 숨어서 야생동물을 내내 관찰하거나, 하루 종일 산을 오르는 장면만이 반복되서 나온 느낌이다.

 

이것은 히말라야라는 공간의 특징 때문일 수도 있다. 극에서 극으로 바뀌는 기후와 그냥 서 있는 것조차 힘든 고산지대의 특성이 웃음이 사라지게 된 원인이라는 점이다. 결국 히말라야라는 공간은 그림은 멋있지만 다양한 재미를 만들어낼 수 있는 예능의 공간으로서는 너무 혹독했다는 점이다.

 

<정글의 법칙>이 다큐와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건 거기에 여유와 웃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 예능적인 포인트가 없다면 굳이 <정글의 법칙>을 볼 까닭이 없다는 얘기다. 물론 지난 뉴질랜드편에서 불거져 나온 진정성 논란에 대한 해답으로서 히말라야 같은 극한의 오지를 선택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정글의 법칙>만이 갖고 있는 다큐와 예능 사이에서 벌어지는 재미는 담보할 수 있었어야 한다.

 

<정글의 법칙>은 생존을 위협하는 극한의 정글 속으로 뛰어들면서도 그 안에서 또한 도시인들이 느끼기 어려운 자연이 주는 행복감을 전해주었던 프로그램이다. 휴대폰이 터지지 않는 곳은 불편하지만, 바로 그 불편함 때문에 누리게 되는 관계의 해방이나 자유 같은 즐거움이 병존하는 곳, 그곳이 바로 <정글의 법칙>이 아니었던가. 극한의 오지에서 생고생을 하는 병만족의 노력은 그래서 그 진심이 전해지지만, 안타깝게도 재미는 그다지 없는 편이다. 다큐가 아닌 예능 <정글의 법칙>이 살아나야 이 프로그램만의 독특한 매력이 되살아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