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엇이 '무도' 추격전을 제로섬 게임으로 만들었나 본문

옛글들/명랑TV

무엇이 '무도' 추격전을 제로섬 게임으로 만들었나

D.H.Jung 2013. 9. 23. 09:45
728x90

<무도> 추격전을 살린 -300의 위험한 정체

 

지난 주 <무한도전> ‘100 빡빡이의 습격’ 특집의 전반부는 지금껏 무수히 봐왔던 추격전의 또 다른 버전을 반복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이번 주 후반부에 들어오면서 추격전의 양상은 갑자기 방향을 틀었고 지금껏 보던 추격전과는 사뭇 다른 느낌을 연출했던 것이 사실이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이렇게 된 것은 전반부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300만원 가방’이 후반부에 갑자기 등장하면서 출연진들을 혼동에 빠뜨렸기 때문이다. 그저 미션을 성공하면 300만원을 번다는 사실만 알았을 때와 -300만원 가방을 들게 되면 그 미션 우승자에게 돌아가는 300만원을 자신이 내야한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제로섬 게임이다. 우승자와 패자가 있어 그 합이 제로가 되는 게임. 즉 누군가 가져가면 누군가는 잃는 게임이라는 점이다. 즉 그저 우승상금을 받는 게임은 노력한 대가의 의미를 주지만 제로섬 게임은 치고받는 생존 게임이 될 수밖에 없다. 잃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일종의 도박판 게임이 되는 식이다.

 

제로섬 게임은 <무한도전>의 후반부를 그래서 더 팽팽하게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로섬 게임은 방송 게임으로서는 무리수가 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이 무슨 권리가 있어서 멤버들에게 돈을 낼 것을 강요하는가. 그저 300만원을 벌 수 있는 게임이라면 추석 보너스의 개념이 될 수도 있고 또 늘 <무한도전>이 그래왔듯이 우승자가 기부의 형식으로 훈훈함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300만 원은 다르다. 이것은 프로그램이 멤버들을 게임에 끌어들여 그 누군가는 300만원을 잃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게임이 절실해지고 흥미로워질 수는 있겠지만 방송이라면 신중했어야 하는 선택이다. 이번 미션의 결과 노홍철이 300만원을 버는 우승자가 되고 박명수가 -300만 원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그 결과의 장면을 실제적으로 보여주지 않은 것은 <무한도전> 스스로도 그것이 방송용으로는 적합한 장면이 아니었기 때문일 게다.

 

박명수가 개인 돈 300만원을 빼앗기고 노홍철이 그 300만원을 가져가는 장면이 연출되었다고 생각해보라. 그건 방송의 출연자에게는 너무 가혹한 짓이 된다. 물론 과거 멤버들이 사비를 냈던 일이 없었던 건 아니다. 박명수의 ‘기습공격’이나 ‘정총무가 쏜다’ 같은 콘셉트가 그랬지만 그것은 일종의 기부의 또 다른 형태였기에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100 빡빡이의 습격 특집에는 그런 의미가 없다. 그것은 그저 돈 놓고 돈 먹는 도박과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제로섬 게임이 주는 의미는 있다. <무한도전>이 늘 그래왔듯이 게임 속에 지금 현실을 투영한 거라면 이 제로섬 게임은 더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우리네 현실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컸을 게다. 그저 더 많이 돈을 벌겠다고 아둥바둥하지만 사실 그럴수록 이 사회의 시스템은 다른 누군가의 돈을 빼앗고 있는 제로섬 사회라는 것. 제로섬 게임은 이 살벌한 현실을 에둘러 보여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돈을 소재로 한 게임은 방송에서는 신중해야 한다. 자칫 돈 놓고 돈 먹는 게임이 되어버리면 그것은 의도와 달리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무한도전> 후반부를 살려낸 ‘-300만원’의 정체는 실로 위험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 사회의 시스템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이야기다. 누군가 더 가져가면 누군가는 빼앗겨야 하는 시스템. 그런 살벌한 현실을 그 누가 조장하는가.